목차
머리말 = 3
제1장 다중지능이론 = 11
1. 이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의 패러다임 = 13
2. 지능에 대한 새로운 시각 = 15
3. 다중지능이론 = 18
1) 가드너가 제시한 여덟가지 지능 = 18
2) 여덟 가지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 활동 = 22
3) 다중지능이론의 핵심 = 25
4. 다중지능이론과 학교교육 = 27
1) 통합 주제 단원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 28
2) 교사와 학생들의 강점에 초점을 맞춘 수업 설계 = 28
3) 도제식 교육 장려 = 29
4)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학습 평가 = 29
5. 결론 = 30
제2장 다중지능이론과 교육 = 33
1. 주제 중심 학습 = 35
1) 주제 중심의 통합 교육과정 = 35
2) 주제 중심의 교육 활동 = 39
3) 유아교육의 통합적 교육과정 = 45
2. 프로젝트 = 48
1)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 목적과 목표 = 49
2) 프로젝트 접근법의 운영 = 50
3) 프로젝트의 수업 방법 = 62
3. 프로젝트 스펙트럼 = 68
1)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의미와 목적 = 68
2)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특징 = 69
3)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개발과 효과 = 70
4) 한국적 유아용 수행평가 도구 = 72
5) 한국적 유아 다중지능 질문지 = 75
6) 작업 유형 = 83
4. 이해를 위한 교육과정 = 87
1) 이해를 위한 교수 모형 = 88
2) 이해를 위한 교수 모형의 구성요소 = 91
3) 이해의 영역 = 95
4) 이해를 위한 교수 모형의 평가 방법 = 99
5. 다중지능 평가 = 106
1) 평가관의 새로운 변화 = 106
2) 다중지능이론과 평가 = 108
3) 다중지능 평가 방법 = 112
4) 다중지능 평가 프로젝트 = 117
제3장 다중지능이론과 실제 = 123
1. 학급 경영 = 125
초등학교: 아름다운 변화를 꿈꾸는 무지개반 이야기 = 125
1) 변화, 그 아름다운 움직임 = 125
2) 변화를 위한 시작 = 130
3) 변화를 위한 수업의 실제 = 134
4) 맞춤식 학급 경영의 실제(자연친화지능 계발 학급 예시) = 141
5) 변화를 위한 교사와 학부모 = 147
유치원 = 154
1) 다중지능 학교의 교육환경 = 154
2) 환경 구성 = 157
2. 주제 중심 학습 = 164
1) 학생들과 함께하는 주제 통합 설계 순서 = 164
2) 주제망 짜기 = 165
3)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 = 166
4)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주제 수업의 예 = 168
3. 한국적 유아용 수행평가 도구의 실제 = 184
1) 언어지능 = 185
2) 논리 - 수학지능 = 192
3) 신체 - 운동지능 = 195
4) 공간지능 = 199
5) 음악지능 = 204
6) 자기이해지능과 대인관계지능 = 206
7) 자연친화지능 = 210
4. 지능 영역별 학습 = 216
1) 학습 지도 = 216
2) 생활 지도 = 222
3) 교수-학습의 실제 = 227
5. 프로젝트 = 253
유치원 직업 프로젝트 = 253
1) 프로젝트의 선정 이유 = 253
2) 프로젝트의 목표 = 253
3) 프로젝트 조직망 = 254
4) 프로젝트 실행과정 = 257
5) 프로젝트 활동의 예 = 258
6) 평가 = 288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진로 탐색 프로젝트 - 꿈도 새싹부터 = 289
1) 프로젝트 준비하기 = 289
2) 프로젝트 진행하기 = 294
3) 프로젝트 돌아보기 = 300
4학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학습 - 나만의 즐거운 세계 = 307
1)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환경 = 307
2) 프로젝트 학습의 진행 단계 = 310
3) 프로젝트 학습의 장점 = 317
4)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 높이기 = 318
5) 프로젝트 학습의 실제 = 319
6학년을 대상으로 한 세계 문화 홍보 프로젝트 = 323
1) 프로젝트 목표 = 323
2) 프로젝트 실제 = 323
3) 마무리하기 = 337
참고문헌 = 338
찾아보기 =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