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朝鮮後期 士林의 現實認識과 政局運營論

朝鮮後期 士林의 現實認識과 政局運營論 (Loan 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재철 李在喆
Title Statement
朝鮮後期 士林의 現實認識과 政局運營論 / 李在喆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집문당 ,   2009.  
Physical Medium
426 p. ; 24 cm.
ISBN
978893031402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03-409)및 색인수록
000 00625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553318
005 20100805024017
007 ta
008 090819s2009 ggk b 001c kor
020 ▼a 9788930314022
035 ▼a (KERIS)BIB000011758667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951.902 ▼2 22
085 ▼a 953.057 ▼2 DDCK
090 ▼a 953.057 ▼b 2009z2
100 1 ▼a 이재철 ▼g 李在喆 ▼0 AUTH(211009)29275
245 1 0 ▼a 朝鮮後期 士林의 現實認識과 政局運營論 / ▼d 李在喆 저.
260 ▼a 파주 : ▼b 집문당 , ▼c 2009.
300 ▼a 426 p.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403-409)및 색인수록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57 2009z2 Accession No. 1115490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953.057 2009z2 Accession No. 11154909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조선시대 사림정치기에 사림들이 어떻게 정치/사회적 변화에 대응하면서 성리학적 질서를 운영해 나갔는지를 살핀 책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우선 사림정치론의 관점에서 연구동향과 운영원리를 제시하여 기초로 삼고, 이어서 이 시기의 다양한 정국운영론을 밝히고자 했다. 그 연구 대상은 중앙과 지방에서 사림정치의 중심에 있던 여러 인물들이다. 먼저 사림정치의 이념과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중앙 고위관료로서 정온, 최명길, 남구만,최석정을 선정하고 그들의 현실인식과 정국운영론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지방 사림의 동향도 추적하였는데, 저자가 현장을 답사하고 자료를 섭렵하기가 비교적 쉬운 대구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책은 중앙과 지방을 망라한 다양한 정치세력의 사상적 프리즘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조선후기 사림정치의 실체를 좀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 사림정치기에 사림들이 어떻게 정치?사회적 변화에 대응하면서 성리학적 질서를 운영해 나갔는지를 살핀 것이다. 16세기는 성리학적 이념이 확산되던 시기로 학파가 표방한 현실인식과 대응 자세에 따라 다양한 정치세력이 분화되던 때였다. 이들은 정치 현안에 따라 권력을 두고 갈등과 대립을 보였지만 근본적으로는 사림정치의 이념에 충실하고자 했다. 따라서 조선후기 정치사는 1970년대 학계에서 확립된 붕당정치론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사림정치론의 관점에서 보아야 보다 명확해질 수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우선 사림정치론의 관점에서 연구동향과 운영원리를 제시하여 기초로 삼고, 이어서 이 시기의 다양한 정국운영론을 밝히고자 했다. 그 연구 대상은 중앙과 지방에서 사림정치의 중심에 있던 여러 인물들이다. 먼저 사림정치의 이념과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중앙 고위관료로서 정온?최명길?남구만?최석정을 선정하고 그들의 현실인식과 정국운영론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지방 사림의 동향도 추적하였는데, 저자가 현장을 답사하고 자료를 섭렵하기가 비교적 쉬운 대구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책은 중앙과 지방을 망라한 다양한 정치세력의 사상적 프리즘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조선후기 사림정치의 실체를 좀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재철(지은이)

<조선후기 비변사연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편 朝鮮後期 政治史의 理解 方向
 제1장 朝鮮後期 政治史의 硏究 動向 = 13
 제2장 17세기 朝鮮政治史에서 名分과 利害 = 25
  1. 머리말 = 25
  2. 名分과 利害의 論理 = 27
  3. 名分과 利害의 葛藤 = 32
   (1) 斥和論과 主和論의 葛藤 = 32
   (2) 元宗 追崇論과 禮訟의 展開 = 34
   (3) 三司와 備邊司의 葛藤 = 36
   (4) 君子小人論과 調劑論의 葛藤 = 38
   (5) 原則論者와 現實論者의 葛藤 = 41
  4. 名分과 利害의 調停 = 43
  5. 名分의 虛構化와 利害의 重視 = 47
  6. 맺음말 = 53
제2편 中央 進出 士林의 現實認識과 政局運營論 
 제1장 桐溪 鄭蘊의 現實認識과 政局運營論 = 59 
  1. 머리말 = 59
  2. 生涯와 師友 關係 = 61
  3. 現實認識 = 75
   (1) '敬' 思想의 內面化 = 75
   (2) 名分과 原則의 堅持 = 81
  4. 政局運營論 = 87
   (1) 綱常倫理의 確立 = 87
   (2) 對明義理의 實踐 = 95
   (3) 對民賦稅의 ◆U8832◆減 = 101
  5. 맺음말 = 105
 제2장 遲川 崔鳴吉의 經世觀과 官制變通論 = 109
  1. 머리말 = 109
  2. 家系와 生涯 = 111
  3. 經世觀 = 115
   (1) 時勢의 變化에 따른 變通論 = 115
   (2) 民生의 安定을 위한 均賦論 = 131
  4. 官制 變通論 = 135
   (1) 大臣權의 强化 = 137
   (2) 言論活動의 效率性 提高 = 142
   (3) 蔭官 初入仕職의 制限 = 148
  5. 맺음말 = 152
 제3장 藥泉 南九萬의 現實認識과 政局運營論 = 155
  1. 머리말 = 155
  2. 家系와 生涯 = 157
  3. 現實認識 = 162
   (1) 原則論의 堅持 = 162
   (2) 現實狀況의 重視 = 169
  4. 政局運營論 = 182
   (1) 法治主義의 確立 = 182
   (2) 黨論의 抑制 = 187
  5. 맺음말 = 196
 제4장 明谷 崔錫鼎의 現實認識과 政局運營論 = 201
  1. 머리말 = 201
  2. 家系와 生涯 = 203
  3. 現實認識 = 209
   (1) 積極的 變通意志 = 210
   (2) 實利的 對淸認識 = 214
  4. 政局運營論 = 219
   (1) 朋黨 間의 葛藤 解消 = 219
   (2) 效率的인 國政執行 = 228
   (3) 能力 重視의 人事行政 = 236
  5. 맺음말 = 240
제3편 地方 士林의 現實認識과 政局對應  
 제1장 朝鮮後期 大邱地域 西人勢力의 動向 = 247
  1. 머리말 = 247
  2. 士林政治의 展開와 西人勢力의 擡頭 = 248
  3. 西人勢力의 成長과 南人勢力과의 葛藤 = 256
  4. 西人勢力의 中央政界 進出 試圖 = 265
  5. 맺음말 = 272
 제2장《退軒日記》에서 나타난 大邱 兩班 全克泰의 벼슬살이 = 272
  1. 머리말 = 277
  2. 退軒 全克泰의 家系와 生涯 = 278
  3. 官吏로서의 立身 = 283
  4. 당시 官僚 生活의 斷面 = 288
  5. 客地에서의 日常生活 = 293
  6. 맺음말 = 295
 제3장 朝鮮後期 竹軒 都愼徵의 議禮疏와 國政 變通論 = 299
  1. 머리말 = 299
  2. 家系와 生涯 = 301
  3. 禮訟의 展開와 議禮疏의 捧入 = 306
   (1) 己亥禮訟의 顚末 = 306
   (2) 甲寅禮訟과 議禮疏의 捧入 = 309
  4. 國政 變通論의 提示 = 316
   (1) 國王 中心의 國政 運營 = 317
   (2) 大臣權의 强化 = 321
   (3) 賦稅와 軍政의 改革 = 325
  5. 맺음말 = 329
 제4장 18세기 慶尙右道 士林과 鄭希亮亂 = 333
  1. 머리말 = 333
  2. 仁祖反正 후 慶尙右道 士林의 動向 = 336
  3. 18世紀 慶尙右道 士林의 分裂原因과 樣相 = 352
  4. 鄭希亮亂의 顚末과 影響 = 361
  5. 맺음말 = 373
 제5장 百弗庵 崔興遠의 時代와 그의 現實對應 = 375
  1. 머리말 = 375
  2. 朝鮮後期 嶺南儒林의 動向 = 376
   (1) 仁祖反正 후 嶺南儒林과 西人과의 葛藤 = 376
   (2) 甲戌換局 후 嶺南儒林의 政治的 沒落 = 380
  3. 崔興遠의 家系와 師友 關係 = 387
  4. 崔興遠의 出處와 現實對應 = 392
  5. 맺음말 = 400
參考文獻 = 403
찾아보기 = 41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갑동 (2022)
정만조 (2022)
서울역사박물관 (2022)
三品彰英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