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법적 논증론 . 1 : 발전사와 유형

법적 논증론 . 1 : 발전사와 유형 (Loan 1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성룡.
Title Statement
법적 논증론 . 1 , 발전사와 유형 / 김성룡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대구 :   준커뮤티케이션즈 ,   2009.  
Physical Medium
273 p. ; 23 cm.
ISBN
9788993272086 9788998272123 (세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62-265) 및 색인수록
000 00876camccc200265 k 4500
001 000045551229
005 20100805022055
007 ta
008 090703s2009 tgk b 001c kor
020 ▼a 9788993272086 ▼g 94360(1)
020 1 ▼a 9788998272123 (세트)
035 ▼a (KERIS)BIB000011692113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40.1 ▼2 22
090 ▼a 340.1 ▼b 2009z5 ▼c 1
100 1 ▼a 김성룡. ▼0 AUTH(211009)66996
245 1 0 ▼a 법적 논증론 . ▼n 1 , ▼p 발전사와 유형 / ▼d 김성룡 지음.
246 1 1 ▼a Legal reasoning : a survey of theories on the legal reasoning
246 1 1 ▼a Juristische Argumentationslehre : eine Untersuchung uber die Art von der juristischen Argumentionslehre
260 ▼a 대구 : ▼b 준커뮤티케이션즈 , ▼c 2009.
300 ▼a 273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262-265) 및 색인수록
900 1 1 ▼a Kim, Sung-Ryong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2009z5 1 Accession No. 11154768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0.1 2009z5 1 Accession No. 11154982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성룡(지은이)

•현재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미국 University of Florida Levin College of Law, Visiting Research Scholar •독일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Doktor der Rechte •독일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Magister Legum •경북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과정 수료 •경북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 •경북대학교 법학사 주요 저서 및 역서 •법적 논증의 기초,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6 •법적 논증론(I)-발전사와 유형, 준커뮤니케이션즈, 2009 •프리트요프 하프트 지음/김성룡 옮김, 법 수사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10 •법 수사학, 준커뮤니케이션즈, 2012 •법 이론의 쟁점, 책과 세계, 2013 •한스켈젠 지음/김성룡 옮김, 규범의 일반이론 (I), (II), 아카넷, 2016 •프란츠 비들린스키·페터 비들린스키 지음/김성룡 옮김, 법적 방법론 강요, 제3판, 준커뮤니케이션즈 , 2021 •법 논리학, 준커뮤니케이션즈, 2022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편 법적 논증론의 발전사 = 1
 제1장 법적 논증론의 부활과 그 부흥의 배경 = 2
  Ⅰ. 법적 논증론의 부활 = 2
   1. 법적 논증론의 독자성 = 2
   2. 법적 논증론의 부활 = 3
  Ⅱ. 법적 논증론의 부흥 배경 = 6
   1. 도덕철학에 있어서 일반 논증이론의 부흥 = 6
   2. 전통적 이원론의 결함극복으로서 제3의 길 = 9
   3. 제3의 길 - 통합ㆍ포괄적 법이론의 필요성 = 10
   4. 법적 논증론의 기능 = 10
   5. 실질적 법치국가ㆍ민주사회의 정치적 요청 = 12
 제2장 법적 논증론의 특성과 현황 = 16
  Ⅰ. 법적 논증론의 특성 = 16
   1. 법학방법론과 법적 논증론에서의 논증의 의미차이 = 16
   2. 사이버논증의 위험 = 17
   3. 규범적 전제(법률)에의 구속 = 18
   4. 법적 논증의 질과 판결의 질 = 19
   5. 법적 논증의 포괄성 = 20
  Ⅱ. 법학방법론과 법적 논증론 = 22
   1. 법학방법론에서의 근거지음 = 22
   2. 발견과 근거지음 = 23
  Ⅲ. 판결의 근거지음의 법이론적 의미 = 27
  Ⅳ. 판결의 근거지음의 정치적 의미 = 30
  Ⅴ. 논증이론의 기초와 다양성 = 33
   1. 법적 논증과 논리적 사고(논리학) = 34
   2. 법적 논증에서 소위'보편화ㆍ일반화가능성원칙'의 의미 = 35
   3. 법 해석학과 법문의 가능한 의미 = 36
   4. 법적 논증과 실천ㆍ실용적 대화 = 36
   5. 대화, 청중 그리고 결과정향 = 37
  Ⅵ. 법철학과 논증이론 = 39
   1. 형이상학적ㆍ규범적인 전제에서 해방된 정의론의 구성가능성 = 39
   2. 법원(法源)에 대한 새로운 접근가능성 = 40
   3. 법의 기능론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능성 = 41
  Ⅶ. 현황과 전망 = 42
제2편 법적 논증론의 유형 = 43
 제1장 법적 논증론의 최근 경향과 유형 구분 = 44
  Ⅰ. 개요 = 44
   1. 법적 논증론의 최근 경향 = 44
   2. 법적 논증론의 주요 물음 = 46
  Ⅱ. 법적 논증론의 유형구분 = 49
   1. 페테리스의 구분 = 49
   2. 논리적 접근방법 = 50
   3. 수사학적 접근방법 = 51
   4. 대화(론)적 접근방법 = 51
   5. 법적 논증연구에서의 주제들 = 53
   6. 소결 = 58
 제2장 논리적 법 논증모델 = 63
  Ⅰ. 개요 = 63
   1. 논리학적 지식의 필요성 = 63
   2. 법논리학 = 66
   3. 규범논리학과 법적 논증론 = 68
  Ⅱ. 사망한 삼단논법과 부활한 삼단논법 = 70
  Ⅲ. 논증도식으로서 법적 삼단논법에 대한 비판 = 73
  Ⅳ. 논증과 논리적인 추론과의 관련성 = 85
  Ⅴ. 특수한 법적 논증의 논리적 구조에 관하여(argumentum a fortiori, argumentum per analogiam, argumentum e contrario) = 88
  Ⅵ. 다양한 유형의 논리적 접근방법 = 91
  Ⅶ. 소결 = 92
 제3장 학문이론, 비판합리주의와 법적 논증론 = 94
  Ⅰ. 배경 = 94
  Ⅱ. 경험과학의 귀납적 방법론의 한계 = 97
  Ⅲ. 소위 '반증모델'의 법적 논증에서의 의미 = 98
  Ⅳ. 소결 = 105
 제4장 언어분석ㆍ언어비판과 법적 논증 = 106
  Ⅰ. 개요 = 106
  Ⅱ. 판결의 근거지음에 있어서 의미론적 규칙의 역할 = 108
  Ⅲ. 법적 논증에 대한 비판으로서 언어비판 = 113
 제5장 법적 논증론으로서 법적 토픽과 법 수사학 = 116
  Ⅰ. 개요 = 116
  Ⅱ. 법체계로서의 Jurisprudenz와 법학 또는 법철학의 구별 = 119
  Ⅲ. 수사학적 기호학과 법적 논증론 = 121
  Ⅳ. 논증의 상황의존성 = 123
  Ⅴ. 합리적인 비판박탈기능으로서의 존재론적 법적 논증 = 126
  Ⅵ. 법적 논증으로서 페렐만의 신수사학 = 127
   1. 개요 = 127
   2. 신수사학의 개념 = 131
   3. 청자의 의? = 132
   4. 논증기준의 보편성과 역사적 상대성 = 134
   5. 페렐만의 신수사학에서 법적 논증론 = 135
 제6장 화이트와 하프트의 법 수사학과 법적 논증 = 141
  Ⅰ. 화이트의 법수사학으로서 법적 논증 = 143
   1. 구성적 수사학의 일부로서 법 수사학 = 146
   2. 법관의 에토스의 발현으로 법 수사학 = 149
  Ⅱ. 하프트의 법 수사학 = 150
   1. 삶의 다양성과 논증의 무한성 = 151
   2. 사실과 언어 = 153
   3. 법에 있어서 수사학의 기능 = 155
   4. 법적 논증의 세 층휘 = 159
  Ⅲ. 소결 = 160
 제7장 하버마스의 합리적 대화이론과 법적 논증론 = 161
  Ⅰ. 진리론ㆍ진리의 합의이론 = 161
  Ⅱ. 이론적ㆍ경험적 담론 = 164
  Ⅲ. 실천적 담론 = 167
  Ⅳ. 담론의 논리학 = 168
  Ⅴ. 이상적 대화상황 = 169
  Ⅵ. 하버마스의 법적 논증론 = 172
  Ⅶ. 소결 = 174
 제8장 알렉시의 합리적 논증대화이론 = 175
  Ⅰ. 내적 정당화 = 176
  Ⅱ. 외적 정당화 = 180
   1. 개관 = 180
   2. 해석의 카논에서의 논거 = 183
   3. 판결례의 사용 = 196
   4. 특수한 법적 논증유형의 사용 = 197
  Ⅲ. 법적인 대화에 있어서 일반적ㆍ실천적 논거의 역할 = 199
  Ⅳ. 소결 = 208
 제9장 월튼과 암스테르담 학파의 논증론 = 210
  Ⅰ. 월튼의 변증술적 논증론 = 210
   1. 법적 논증에서 오류의 기능에 대한 재조명 = 214
   2. 월튼의 변증술적 논증론의 하부기재 = 215
   3. 소결 = 226
  Ⅱ. 암스테르담학파의 화용ㆍ변증적 논증론 = 227
   1. 용어의 출처 = 227
   2. 화용ㆍ변증적 접근방법의 주요내용 = 228
   3. 법적 논증의 화용ㆍ변증적 분석 = 230
   4. 법적 논증의 화용ㆍ변증적 평가 = 232
   5. 소결 = 233
 제10장 맥코믹의 정치이론으로서 법적 논증론 = 235
  Ⅰ. 논증 = 236
  Ⅱ. 순수한 실천적 논증 : 독립적인 근거들 = 236
  Ⅲ. 제도적 논증 : 권위적 논거들 = 238
  Ⅳ. 해석적 논증 = 240
  Ⅴ. 해석적 논거의 범주 = 242
   1. 언어적 논거 = 243
   2. 체계적 논거 = 244
   3. 목적론ㆍ의무론적 논거 = 247
  Ⅵ. 논거(논증)의 충돌과 충돌의 해결 = 249
  Ⅶ. 맥코믹의 결론 = 250
  Ⅷ. 정치이론으로서 법적 논증의 의미 = 252
 제11장 법정보학과 법적 논증 = 254
  Ⅰ. 논의 현황 = 254
  Ⅱ. 법정보학과 법적 논증 = 256
   1. 법정보학과 법적 논증의 상호관계 = 256
   2. 법정보학의 한계로서 법적 논증의 특성 = 257
  Ⅲ. 전망 = 258
 제12장 맺는말 = 260
주요참고문헌 = 262
찾아보기 = 26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진원 (2022)
Montesquieu, Charles de Secondat, baron de (2023)
신동호 (2023)
이준서 (2022)
최유경 (2022)
조태제 교수 정년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2023)
한미법학회 (2022)
Engstrom, David Freeman (2023)
Dreier, Horst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