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목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탈진에 미치는 영향

목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탈진에 미치는 영향 (1회 대출)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기종서
서명 / 저자사항
목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탈진에 미치는 영향 = (The)influence of pastors' stress management method on burnout / 기종서.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2009.  
형태사항
89 장 : 삽도 ; 26 cm.
기타형태 저록
목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탈진에 미치는 영향   (DCOLL211009)000000008720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조직관리전공 , 2009.8.
학과코드
0510   6K04   73  
일반주기
단면인쇄임  
지도교수: 강수돌  
부록: 설문지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76-80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목회자 , 스트레스 , 대처방식 , 탈진 , 탈진예방 ,,
000 01084namccc200301 k 4500
001 000045550660
005 20100805021419
007 ta
008 090707s2009 ulka bmAC 000a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a 0510 ▼2 KDCP
090 ▼a 0510 ▼b 6K04 ▼c 73
100 1 ▼a 기종서
245 1 0 ▼a 목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탈진에 미치는 영향 = ▼x (The)influence of pastors' stress management method on burnout / ▼d 기종서.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c 2009.
300 ▼a 89 장 : ▼b 삽도 ; ▼c 26 cm.
500 ▼a 단면인쇄임
500 ▼a 지도교수: 강수돌
500 ▼a 부록: 설문지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c 조직관리전공 , ▼d 2009.8.
504 ▼a 참고문헌 : p. 76-80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목회자 ▼a 스트레스 ▼a 대처방식 ▼a 탈진 ▼a 탈진예방
776 0 ▼t 목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탈진에 미치는 영향 ▼w (DCOLL211009)000000008720
900 1 ▼a 강수돌 , ▼e 지도교수
945 ▼a KINS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목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탈진에 미치는 영향 (490회 열람)
PDF 초록 목차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73 등록번호 1630503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73 등록번호 1630503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3층)/ 청구기호 0510 6K04 73 등록번호 1530576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73 등록번호 16305034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73 등록번호 16305034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3층)/ 청구기호 0510 6K04 73 등록번호 1530576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초록

성직(聖職)을 천직(天職)으로 알고 감당하는 목회자들에게도 소리 없이 다가오는 것이 스트레스라고 하는 것이다. 어쩌면 이것은 삶의 일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누구에게든지 크고 작은 어려움과 여러 가지 문제들로 인해 항상 안고 살아가는 스트레스, 이것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통제하는 시스템을 가진 인간이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음은 말할 나위 없다. 
  특히 목회자들의 경우에는 목회생활을 통해서 더 심각한 스트레스에 노출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교회의 지도자인 목회자의 스트레스는 대단히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회자들이 받는 스트레스에 대처방식이 탈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목회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탈진과의 상관성 등을 설정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합동/서울시 강남구 대치 3동 1007-3)에 소속한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A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였다.
  이상실(2003)의 스트레스 측정, 최의수(1993)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이관직(2000)의 Lee Burnout Inventory 등을 활용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첫째, 스트레스는 탈진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자가 목회활동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탈진에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스트레스 형태에 따라 대처방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자들이 어떤 종류의 스트레스를 받느냐에 따라서 대처방식이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대처방식에 따라 탈진형태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자들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라서 탈진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에 있어 대처방식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자들이 어떻게 스트레스에 대처하느냐에 따라서 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동일한 스트레스 상황 하에서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라 대처방식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자들이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라서 대처방식이 달라지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분류된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합동/서울시 강남구 대치 3동 1007-3)에 소속한 목회자들이 목회활동을 하면서 받는 스트레스와 그에 대처하는 방식과 탈진과의 상관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후속연구에서는 목회자들의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대처하는 방식과 스트레스로 인한 탈진을 미연(未然)에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각 교회에서 당회나 공동의회에서, 그리고 상회기관인 노회나 총회 차원에서 목회자들의 재교육과 지원프로그램이 필요하리라고 사료된다. 아울러 목회자 자신은 건강하고, 행복한 목회를 위해서 스스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식을 터득하고, 탈진에 이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힘을 키워야 할 것이다.
  한국교계 뿐 아니라 신앙생활을 하는 분들이나 그들을 지도하는 모두에게 만족함과 행복을 채워줄 수 있는 지원과 프로그램을 개발, 확대시켜 볼 수 있는 연구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Influence of Pastors' Stress Management Method on Burnout By Kee, Jong-Seo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ang, Su-dol Ph.D Pastors also are under much stress. It is a part of life. Humans can maintain a healthy life when they recognize and control the stress that arises from problems. Specially, the pastors who are church leaders get serious amount of stress from their pastoral mini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ethods of dealing with stress affect exhaustion. Pastors of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were survey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 method of dealing with stress to exhaustion using the SAS statistics package.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using 'Measurement of stress' Sang-sil Lee(2003), 'The method of dealing with stress' of Eui-soo Choi(1993), 'Lee Burnout Inventory' of Kwan-jick Lee(2000) show Firstly, stress does effect exhaustion. Pastor's stress through their pastoral life is connected with exhaustion. Secondly, a method of dealing with stres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s of stress. Thirdly, forms of exhaust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ethod of dealing with the stress. Fourthly, a method of dealing with stress has an effect on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of stress to exhaustion. Lastly, a method of dealing with stress changes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demography in the same situation. This study shows pastors'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method of dealing with stress and exhaustion. We should do further research about a pertinent method of dealing with stress through programs for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exhaustion. Moreover, re-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for pastors will be necessary. Pastors also should take care of themselves for a good pastorate.

목차

목     차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 2절 연구의 의의	3
  제 3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4

제 2장 이론적 배경	5

  제 1절 목회자에 대한 이론적 고찰	5
      1. 목회자의 이해	5
       1) 목회자의 정의	5
       2) 목회자의 역할	7
       3) 목회자와 관련된 목회 기능의 특수성	11
  제 2절 스트레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14
      1. 스트레스의 개념	14
       1) 스트레스의 일반적 정의	14
       2) 스트레스 원(stressor)과 스트레스 반응	16
       3) 스트레스 증상	18
  제 3절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대한 이론적 고찰	19
      1.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개념	19
      2.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유형	21
      3. 성경적 관점에서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23
  제 4절 탈진에 대한 이론적 고찰	27
      1. 탈진에 대한 일반적 이해	27
       1) 탈진의 정의	27
       2) 탈진의 증상	29
       3) 탈진의 발생원인	30
제 3장 선행연구	34

  제 1절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	34
  제 2절 목회자의 스트레스와 탈진에 대한 연구	36

제 4장 연구모형과 조사 설계	42

  제 1절 연구모형 및 가설	42
      1. 연구모형	42
      2. 가설	43
  제 2절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44
  제 3절 설문지 구성 및 자료처리	44
      1. 설문지 구성 및 측정도구	44
      2. 자료처리	46
       
제 5장 연구결과	47

  제 1절 표본의 특성	47
  제 2절 연구모형 검증	49
      1.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49
       1) 신뢰성 검증	49
       2) 요인 분석	50
       3) 연구표본의 요인별 제 특성	54
       4) 상관 분석	55
  제 3절 연구가설 검증 	56
    
제 6장 결론 및 논의	72

  제 1절 요약 및 결론	72
  제 2절 논의 및 제언	74
  제 3절 한계점	75

참고문헌	76
ABSTRACT	81
부록 : 설문지	8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