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59n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550063 | |
005 | 20100805020725 | |
007 | ta | |
008 | 090923s2009 ulk 000a kor | |
020 | ▼a 9788993225198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3 | ▼a a-ko--- | |
082 | 0 4 | ▼a 070.44/93054/095195 ▼2 22 |
090 | ▼a 070.4493054 ▼b 2009 | |
100 | 1 | ▼a 황인자 ▼g 黃仁子 |
245 | 1 0 | ▼a 왜 여성인가? : ▼b 황인자의 칼럼&인터뷰집 / ▼d 황인자 지음. |
260 | ▼a 서울 : ▼b 해피스토리 , ▼c 2009. | |
300 | ▼a 267 p. ; ▼c 21 cm. | |
650 | 0 | ▼a Women ▼z Korea (South) |
650 | 0 | ▼a Women ▼z Korea (South) ▼x Social conditions.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4493054 2009 | 등록번호 11154699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공직생활 23년 동안 여성정책을 주도적으로 만들었던 저자는 GO(Government Organization)의 관점에서 여정정책의 첫 아이디어와 설계 및 실행과정을 꼼꼼하게 기록한 글들을 모아 책으로 엮었다.
이 책의 1부 ‘공직, 여성을 향해 빗장을 활짝 열어젖혔다’에서는 여성들에게 보다 넓은 기회를 제공하는 여성공직세계의 변화된 상황을 정리하며 2부 ‘男다른 여성이 나서자 달라졌다’에서는 여성이 설계한 대한민국 정책들이 어떤 강점들을 가지고 있는지를 설명한다.
3부 ‘아직도 여성이 할 일이 많다’에서는 최근 군가산점제 부활 논란, 만년 하위를 기록하는 ‘여성권한척도’와 여성정치 참여 등 여성정책과 이슈를 풀어야할 과제들을 설명하며, 마지막 4부 ‘여성이슈는 글로벌 이슈다’에서는 여성이슈가 비단 국내 여성문제에 국한한 한정된 이슈가 아닌,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글로벌 스탠다드’ 관점에서 풀어야할 과제라는 것을 강조한다.
“대한민국 여성정책 변천사를 압축한
여성이슈 종합백과사전”
황인자씨, 공직생활 23년 근무하면서 여성정책과 이슈를 꼼꼼히 기록하고 총망라한
책『왜 여성인가?』출간
정무장관실, 행정자치부, 여성부, 서울시 등에서 23년간 공직자로 근무한 황인자씨가 GO(Government Organization)의 관점에서 총정리한 대한민국 여성정책변천사를 압축한 여성 종합백과사전
호주제 폐지, 군가산점제 부활 논란, 남녀차별금지법, 잠정적 우대조치, 주부가사노동가치, 성매매방지법, 세계 여성의 날, 여성보육, 여성정책 주류화 등...
위의 열거한 여성정책 ‘키워드’, 즉 차별의 실화에 바탕을 두고 평등의 신화에 도전하는 모든 대한민국 여성정책의 변천사와 여성정책의 모든 이슈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책이 나왔다.
공직생활 23년 동안 여성정책을 주도적으로 만들었던 저자는 GO(Government Organization)의 관점에서 여정정책의 첫 아이디어와 설계 및 실행과정을 꼼꼼하게 기록한 글들을 모아 책을 펴냈다.
왜 여성인가?
아직도 여성이슈가 ‘마이너리티(minority)’ 이슈인가? 아직도 왜 여성인가?를 질문해야하는가? 여성은 이제 더 이상 소수자가 아니고, 주류화에 성공하지 않았나?
이런 질문에 『왜 여성인가?』의 저자 황인자씨는 여성이슈는 여전히 ‘마이너리티’이슈이며, ‘왜 여성인가?’에 대한 질문이 아직도 대한민국 사회에 유효하다고 책에서 강조한다. 왜 여성인가? 아직도 여성이 중요한 이슈인가에 대한 답은 책을 한 장 한 장 넘기면 자연스럽게 도달할 수 있다.
지금은 익숙한 여성정책이 사실은 저자와 같은 여성공무원의 숨은 노력과 땀으로 만들어졌다는 숨은 진실을 이 책을 통해서 새롭게 발견하게 된다. 또한 책을 읽으면서 부지런한 여성공직자가 세상을 이렇게 많이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사실도 알게 된다.
80년대 말 주부의 가사노동가치를 공식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을 때나, 공중화장실에 여자화장실이 부족하다고 문제를 제기하자 반응은 참으로 싸늘했다. 하지만 20여년이 지난 지금 주부의 가사노동가치는 나라의 재산인 국부에 반영되고, 공중화장실법도 바뀌어 여성용 변기를 더 많이 설치하게 되었다.
셋째 아이 이후 자녀에게 보육료를 전액지원하는 일, 육사?해사?공사 등 여성의 진입이 금지되었던 교육기관에 여성 10% 입학을 허용한 일, 성매매방지법 초안을 마련한 일, 호주제 폐지의 실무 총괄, 한국인 여성의 유엔 여성차별위원 최초 진출, 세계 여성지도자대회 서울 유치 등등... 위의 열거한 성과들은 여성운동 단체들의 드라이브 못지않게 중요했던 것이 바로 저자와 같은 여성공직자의 적극적인 역할과 행동 때문이었다.
1980~90년대 여성공무원은 20%대였고 근래 40%대로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관리직 여성공무원은 여전히 한 자리 수를 맴돌고 있다. 20여 년 전 1%에 불과했던 여성 국회의원은 이제 겨우 10%를 넘어섰고, 덕분에 한국 여성의 권한지수도 90위권에서 60위권으로 올라섰다. 꼴찌는 면했어도 그러나 여전히 세계 하위권이다.
또한 17대 국회에서 군가산점 폐지되었던 것이, 18대 국회에서 군가산점제 부활로 가려는 움직임은 우리에게 왜 아직도 여성이슈가 중요하며, 왜 여성인가? 왜 아직도 여성정책 주류화가 필요함을 거꾸로 역설하고 있다.
이 책에서 황인자씨는 “공직 생활의 상당 부분을 여성정책 분야에서 일했던 만큼 엮어놓고 보니 여성정책의 산 역사가 고스란히 묻어난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저자는 “앞서간 여성들의 발자국은 뒤에 오는 여성들의 이정표가 되고 공직을 꿈꾸는 여성들에게 이정표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책을 펴낸다”며 출간배경을 밝힌 뒤 “공직사회는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깨끗한 이미지에 상상력이 풍부한 미래지향적인 여성을 환영하며, 많은 여성들이 공공의 살림살이에 도전하여 세상을 리드해나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책은 1부 ‘공직, 여성을 향해 빗장을 활짝 열어젖혔다’에서는 여성들에게 보다 넓은 기회를 제공하는 여성공직세계의 변화된 상황을 정리하며 2부 ‘男다른 여성이 나서자 달라졌다’에서는 여성이 설계한 대한민국 정책들이 어떤 강점들을 가지고 있는지를 설명하고 3부 ‘아직도 여성이 할 일이 많다’에서는 최근 군가산점제 부활 논란, 만년 하위를 기록하는 ‘여성권한척도’와 여성정치 참여 등 여성정책과 이슈를 풀어야할 과제들을 설명하며, 마지막 4부 ‘여성이슈는 글로벌 이슈다’에서는 여성이슈가 비단 국내 여성문제에 국한한 한정된 이슈가 아닌,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글로벌 스탠다드’ 관점에서 풀어야할 과제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은 한마디로 우리시대 여성정책 변천사와 여성정책 이슈를 통시적, 공시적인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망라한 ‘여성이슈 종합백과사전’이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황인자(지은이)
[학 력] 성균관대 국정관리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서울대 대학원 정치학과 졸업(정치학 석사) 한국외국어대 영어과 졸업 [경 력] 제19대 국회의원│새누리당 비례대표 (안전행정위원회·여성가족위원회·윤리특별위원회 위원) 서울시 복지여성정책보좌관│여성가족정책관(1급) 여성부 권익증진국장│차별개선국장(이사관) 행정자치부 여성정책담당관 정무장관(제2)실 조정관 체신부 국제우편과│체신공무원교육원(행정사무관) 상명대·영산대 겸임교수(행정학과) 한국가족관계학회 부회장 순국열사 김마리아 기념사업회 이사 전문직여성세계연맹 유엔위원 한국미래사회여성연합회 초대회장 2011 세계장애여성대회 자문위원 2004 세계여성지도자회의 서울 유치 OECD 여성장관회의│UN 여성특별총회 정부대표(2000) 제4차 세계여성회의(1995, 북경) 범정부실무대책팀장 APEC HRD 장관회의 정부대표(1997) ESCAP 아태지역 여성담당 국가기구회의 유치 UNDP 여성 무보수노동 가치평가 국제워크숍 유치 UN 여성지위위원회 의장단 서기 ESCAP 아태 인신매매 대책회의 정부수석대표 [상 훈] 대한민국 유권자대상(2014.5) 대한민국 홍조근정훈장(2000.12) 보건복지부장관 표창(1996.5) 대통령 표창(1993.2) 체신부 장관 표창(1984.12)

목차
추천의 글 4 추천의 글 1 이회창 자유선진당 총재 _4 추천의 글 2 오명 건국대 총장_8 추천의 글 3 이충언 저자의 딸 _10 책을 내며 18 프롤로그 23 외로운 여성 전문 정책관, 불모지를 개척하다 _23 성공한 비즈니스우먼 6인의 일과 여가 _30 여성분야 국제활동 견인차_32 제1장 공직, 여성을 향해 빗장을 활짝 열었다 37 1. 17:17_39 2. 여성공무원의 인사운영 실태와 개선방안_41 3. 남녀차별금지법은 평등신화 창조의 첫걸음_47 4. 잠정적 우대조치_50 5. 채용 과정의 남녀 차별은 곤란 능력따라 제대로 평가받아야_53 6. 여성이 사회 변화의 원동력되고 시정발전 중추적 역할하도록 노력_56 7. 사무관서 13년 만에 초고속 국장 승진 업무 추진 탁월 남자 동기 제쳐_60 8. 여성정책 남녀평등에 초점 남성 참여 역할 새롭게 조명_62 9. 공직의 멘티·멘토가 되어_65 제2장 男다른 여성이 나서자 달라졌다 69 1. 여성 공무원 30% 시대, 나는야 GAG계의 CEO! _71 2. 아줌마의 섬세함으로 주민들 매료시켰죠_76 3. “중앙과 지방간의 교류 더욱 활발히 이뤄졌으면…”_82 4. 빈 곳 많은 ‘여성 수레’ 가득가득 채우고파_84 5. “일 위안부 문제 추가, 강도 높게 요구할 것”_89 6. 다양한 경험·전문성 모아 여성정책 펼친다_91 7. 성매매 방지, 다시 함께 가야할 길_99 8. 권익증진 공직사회 ‘우먼파워’_102 9. 여성신문사의 평등부부운동 어떻게 전개되었나_105 10. 아동문제, 여성정책 시각에서 풀어야_108 11. 현장에서 본 행정학_111 12. 한글사랑은 ‘살림’에서 나온다_116 13. 정책 통해 ‘건강가족’ 만들자_119 14. 주부 가사노동 가치 평가한 ‘신국부론’_122 15. “평등사랑방”을 열고 드나들면서_125 16. 16일간의 여성폭력 대추방_131 제3장 아직도 여성이 할 일은 많다 135 1. 한국사회의 평등체감지수_137 2. ‘여성권한척도’ 중점관리 바람직_140 3. ‘실버’시대… 할머니 만세!_ 143 4. 여성, 청소년, 가족정책 통합 시너지 효과 기대_146 5. 5·31 지방선거에서 여성이 성공해야 할 6가지 이유_149 6. 양성평등 성공은 공중화장실부터_152 7. 여성이 살기좋은 도시 만들자_155 8. 신보육정책과 한국형 가족친화정책의 방향_158 9. 여성의 건강을 위하여_162 제4장 여성이슈는 글로벌 이슈다 167 1. 세계 여성의 날을 생각한다_169 2. 여성·아동 ‘매매’가 세계 위협_173 3. 아시아 여성의 위치_176 4. 여성정책 주류화(GM) 전략의 의의_180 5. 여성지위 국가경쟁력을 위한 갈무리_183 6. 세계일류의 양성평등 도시를 향하여_186 7. ‘성 착취 피해여성 보호’ 국제적 인식 확산_189 8. 미국·캐나다의 여성관련 정부제도_192 9. 지방자치와 여성에 관한 세계선언문_201 10. 국제 전문 여성 인력 양성 및 진출방안_204 11. 북경 세계여성회의 의의와 성과_209 12. 에스캅 첫 서울총회 여성의 ‘법률문맹’ 계몽 절실_215 13. 93년도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참가 보고_222 14. 제2차 아·태지역 여성개발 각료회의 참가보고_227 15. 여성이슈에 대한 국내적·여성적 관점, 세계 이슈와 연결 필요_233 16. ‘뒷전 여성’ 편견깨는 리더들의 외침 _ 242 17. 세계 80개국 여성리더 서울 온다_246 에필로그 248 세상을 리드하는 W코드_248 부록 260 글로벌 여성이슈_260 여성권한척도_262 관리직(5급 이상) 여성 공무원 비율_ 263 전체공무원중 여성인원 현황_264 행정부소속공무원중 여성인원 현황_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