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Foreword = 5
역자 서문 = 8
감사의 글 = 11
여기를 먼저 보세요! = 16
약어 = 18
제1장 최적성이론 입문 = 19
1.1 OT의 태동 = 19
1.2 왜 제약은 위배가능한가? = 27
1.3 OT 제약의 본질 = 33
1.4 후보자 집합: OT의 GEN 성분 = 37
1.5 후보자 평가: OT의 평가자 성분 = 41
1.6 제약 활동 = 45
1.7 언어 간의 차이 = 50
1.8 이 책에서 논의된 OT 유형 = 51
1.9 추가 읽기에 대한 제언 = 52
제2장 분석하는 요령 = 55
2.1 어디에서 시작하나? = 55
2.2 제약등급 정하기 = 69
2.3 음운론 분석 해보기 = 83
2.4 등급논증의 한계 = 96
2.5 등급논증의 후보자들 = 104
2.6 조화한계 = 114
2.7 등급논증의 제약들 = 117
2.8 등급논증의 입력형 = 122
2.9 통사론 분석 해보기 = 133
2.10 분석에서 문제 발견과 손질 = 143
2.11 연산과 컴퓨터에 의한 제약등급 = 156
2.12 제약등급과 그것의 이용 논리 = 166
제3장 분석 결과를 글로 옮기기 = 177
3.1 들어가기 = 177
3.2 논문 구성방법 = 178
3.3 OT 분석 제시방법 = 185
3.4 수준급 학문의 책임 = 196
3.5 명료하게 기술하는 방법 = 204
3.6 연구 주제에 관한 일반적인 조언 = 210
제4장 새로운 제약 개발하기 = 215
4.1 들어가기 = 215
4.2 언제 CON 수정이 필요한가? = 216
4.3 새로운 제약을 어떻게 찾나? = 221
4.4 새로운 제약을 어떻게 정의하나? = 225
4.5 유표성제약의 특성 = 227
4.6 충실성제약의 특성 = 252
4.7 제약의 정당화 = 275
4.8 일반적인 음운론적 유표성제약의 항목별 목록 = 290
제5장 언어유형론과 보편성 = 301
5.1 계승유형론 = 301
5.2 언어 보편성과 OT에서의 설명 = 302
5.3 제약집합의 계승유형론 탐구 = 307
5.4 계승유형론의 새로운 제약 시험 이용 = 316
5.5 미지의 CON에서의 계승유형론 = 319
5.6 유형론에서 제약으로 나아가는 방법 = 324
제6장 몇 가지 현안 문제들 = 331
6.1 들어가기 = 331
6.2 말이 어떻게 다른가? = 331
6.3 말은 어떻게 습득되나? = 336
6.4 OT에 도출이 필요한가? = 339
6.5 비문법성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 346
6.6 충실성이면 족한가? = 350
후기 = 355
참고문헌 = 357
언어 색인 = 381
주제 색인(영한) = 383
주제 색인(한영) = 387
제약 색인 = 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