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법경제학

법경제학 (8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Cooter, Robert Ulen, Thomas 한순구 , 1968- , 역 한성수 , 감수
서명 / 저자사항
법경제학 / Robert Cooter, Thomas Ulen ; 한순구 역 ; 한성수 감수.
발행사항
서울 :   經文社 ,   2009.  
형태사항
xix, 660 p. : 삽도 ; 26 cm.
원표제
Law & economics. 5th ed.
ISBN
9788942005727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Law and economics.
000 00898namccc200313 k 4500
001 000045549433
005 20100805020047
007 ta
008 090921s2009 ulka b 001a kor
020 ▼a 9788942005727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40/.11 ▼2 22
090 ▼a 340.11 ▼b 2009z2
100 1 ▼a Cooter, Robert ▼0 AUTH(211009)131116
245 1 0 ▼a 법경제학 / ▼d Robert Cooter, ▼e Thomas Ulen ; ▼e 한순구 역 ; ▼e 한성수 감수.
246 1 ▼i 판권기표제: ▼a Law and economics
246 1 9 ▼a Law & economics. 5th ed.
260 ▼a 서울 : ▼b 經文社 , ▼c 2009.
300 ▼a xix, 660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650 0 ▼a Law and economics.
700 1 ▼a Ulen, Thomas ▼0 AUTH(211009)88031
700 1 ▼a 한순구 , ▼d 1968- , ▼e▼0 AUTH(211009)15793
700 1 ▼a 한성수 , ▼e 감수
900 1 1 ▼a 쿠터, 로버트
900 1 1 ▼a 울렘, 토마스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1 2009z2 등록번호 11154684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1 2009z2 등록번호 11154684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Robert D.Cooter(지은이)

<법경제학>

한순구(옮긴이)

1968년 인천에서 출생하였고 서울에서 성장하였다. 1991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군복무를 마친 후 하버드대학교로 유학을 가서 1998년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재학 당시 2007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에릭 매스킨(Eric Maskin) 교수님과 게임이론의 대가 드루 푸덴버그(Drew Fudenberg) 교수님께 지도를 받았다. 일본 국립정책연구대학원에서 4년간 교수 생활을 한 후 2002년부터 연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공은 게임이론과 법경제학으로, 주요 관심 분야는 기업과 국가의 전략적 행동과 진화론적 경제이론이다. 경제뿐 아니라 생물이나 역사, 스포츠 등 다른 분야에 경제학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것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한국경제학회 사무국장, 연세대학교 국제처장, 상경대학 부학장, 입학정책부처장 등의 보직을 거치면서 교육 행정 분야에서도 경험을 쌓아왔다. 저서로는 《인생을 바꾸는 게임의 법칙》, 《대한민국이 묻고 노벨 경제학자가 답하다》, 《경제학 비타민》, 《인생 경제학》 등이 있다.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에 “내가 배우고 싶었던 경제학”을 연재하고 있으며, 경제학을 비롯한 각 분야의 저명한 서적을 이해하기 쉽게 소개하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법경제학의 소개
 Ⅰ. 법의 경제학적 분석이란 무엇인가? = 4
 Ⅱ. 몇 가지 사례들 = 7
 Ⅲ. 민사법 분석에 있어서 분배보다는 효율성을 중시 = 11
 Ⅳ. 왜 법률가들이 경제학을 공부하여야 하는가? - 왜 경제하자들이 법을 공부하여야 하는가? = 14
 Ⅴ. 이 책의 구성 = 15
제2장 미시경제이론 복습
 Ⅰ. 미시경제이론의 구조 = 18
 Ⅱ. 기초적인 개념들 : 극대화, 균형, 효율성 = 20
 Ⅲ. 수학적 방법론 = 22
 Ⅳ. 소비자 선택이론과 수요 = 26
 Ⅴ. 공급이론 = 35
 Ⅵ. 시장균형 = 37
 Ⅶ. 게임이론 = 42
 Ⅷ. 자산의 현재가치 = 46
 Ⅸ. 일반균형과 후생경제학 = 47
 Ⅹ. 불확실성하에서의 의사결정 : 위험과 보험 = 53
 XI. 이윤과 성장 = 60
제3장 법과 법원조직에 대한 소개
 Ⅰ. 시민법(Civil Law)과 관습법(Common Law) = 67
 Ⅱ. 미국의 연방법원과 각 주(state)의 법원조직 = 70
 Ⅲ. 법적 분쟁의 성격 = 74
 Ⅳ. 법규들은 어떻게 진화하는가? = 77
 결론 = 82
제4장 재산에 관한 경제이론
 Ⅰ. 재산에 대한 법률적인 개념 = 88
 Ⅱ. 협상이론(Bargaining Theory) = 89
 Ⅲ. 재산권의 기원 : 하나의 상상력을 통한 실험 = 92
 Ⅳ. 재산권에 대한 경제학이론 = 97
 Ⅴ. 재산권은 어떻게 보호되는가? = 115
 Ⅵ. 사적으로 소유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 공공재와 사적재 = 125
 Ⅶ. 소유자들이 자신의 재산을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128
 Ⅷ. 분배에 대하여 = 129
 결론 = 131
 부록 : 재산권에 대한 철학적 개념 = 133
제5장 재산법에 관한 경제학의 주제들
 Ⅰ. 무엇이 개인적으로 소유될 수 있는가? = 139
 Ⅱ. 재산권은 어떻게 형성되고 증명되는가? = 176
 Ⅲ. 소유자는 자기의 재산을 가지고 어떤 일을 할 수 있는가? = 192
 Ⅳ. 재산권의 침해에 대한 구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204
 결론 = 227
제6장 계약에 관한 경제학이론
 Ⅰ. 협상이론 : 계약에 대한 소개 = 232
 Ⅱ. 계약에 대한 경제학적 이론 = 238
 결론 = 284
제7장 계약법에 관한 경제학의 주제들
 Ⅰ. 인센티브로서의 구제수단 = 288
 Ⅱ. (계약)불성립 주장(Formation Defense)과 이행항변(Performance Excuse) = 328
 부록 : 수학적 방법론 = 366
제8장 불법행위법에 관한 경제학이론
 Ⅰ. 불법행위법의 정의 = 380
 Ⅱ. 불법행위 책임에 대한 경제학적 이론 = 394
 결론 = 428
 부록 : 책임과 대칭성 = 429
제9장 불법행위법에 관한 경제학의 주제들
 Ⅰ. 경제학적 모형의 확장 = 432
 Ⅱ. 보상액의 산정(computing damages) = 459
 Ⅲ. 미국 불법행위 책임체계에 대한 실증적 평가 = 470
 결론 = 484
제10장 소송절차에 관한 경제학이론
 Ⅰ. 소송절차의 목적 = 493
 Ⅱ. 사람들은 어째서 소송을 하는가? = 495
 Ⅲ. 정보의 교환(Exchange of Information) = 515
 Ⅳ. 합의를 위한 협상 = 525
 Ⅴ. 정식재판(Trial) = 535
 Ⅵ. 상소(Appeals) = 555
 Ⅶ. 소송절차에 대한 실증적인 평가 = 564
 결론 = 571
제11장 범죄와 처벌에 관한 경제학이론
 Ⅰ. 형법(criminal law)에 관한 전통적인 이론 = 575
 Ⅱ. 범죄와 처벌에 관한 경제학적 이론 = 582
 결론 = 610
제12장 범죄와 처벌에 관한 경제학의 주제들
 Ⅰ. 미국의 범죄 = 612
 Ⅱ. 처벌에 의해 범죄가 예방되는가? = 618
 Ⅲ. 효율적인 처벌 = 627
 Ⅳ. 사형제도 = 635
 Ⅴ. 마약중독과 범죄에 대한 경제학적 이론 = 642
 Ⅵ. 총기 규제의 경제학 = 646
 Ⅶ. 미국에서 범죄율 감소의 이유 = 649
 결론 = 653
【찾아보기】 = 655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진원 (2022)
Montesquieu, Charles de Secondat, baron de (2023)
신동호 (2023)
이준서 (2022)
최유경 (2022)
조태제 교수 정년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2023)
한미법학회 (2022)
Engstrom, David Freeman (2023)
Dreier, Horst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