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창조적 지식기반사회를 위한)학교 교육과정론

(창조적 지식기반사회를 위한)학교 교육과정론 (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경자 조경원 임현식 양은주 이미숙 허희옥
서명 / 저자사항
(창조적 지식기반사회를 위한)학교 교육과정론 / 김경자 [외저].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사 ,   2003.  
형태사항
508 p. : 삽도 ; 26 cm.
ISBN
8982877096
수상주기
본 서는 한국학술진흥재단 중점연구소 과제 지원으로 발간되었음
일반주기
저자: 조경원, 임현식, 양은주, 이미숙, 허희옥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95-508
000 00862camccc200301 k 4500
001 000045548508
005 20100805015431
007 ta
008 070730s2003 ulka b 000c kor
020 ▼a 8982877096 ▼g 93370
035 ▼a (KERIS)BIB000008711038
040 ▼a 211057 ▼c 211057 ▼d 225013 ▼d 211009
082 0 4 ▼a 375 ▼2 22
090 ▼a 375 ▼b 2003f2
245 2 0 ▼a (창조적 지식기반사회를 위한)학교 교육과정론 / ▼d 김경자 [외저].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3.
300 ▼a 508 p. : ▼b 삽도 ; ▼c 26 cm.
500 ▼a 저자: 조경원, 임현식, 양은주, 이미숙, 허희옥
504 ▼a 참고문헌: p. 495-508
586 ▼a 본 서는 한국학술진흥재단 중점연구소 과제 지원으로 발간되었음
700 1 ▼a 김경자
700 1 ▼a 조경원
700 1 ▼a 임현식
700 1 ▼a 양은주
700 1 ▼a 이미숙
700 1 ▼a 허희옥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3f2 등록번호 1115462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경자(지은이)

<한국 근대 초등교육의 좌절>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지식기반사회와 학교 교육과정 = 11
 1. 지식기반사회의 특성과 전망 = 15
 2. 지식기반사회와 학교 교육과정 = 20
 3. 학교 교육과정 탐구의 과제 = 22
제2장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분석 = 29
 1. 제1차 - 7차 학교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 31
 2. 교육부 고시 제7차 교육과정 총론 분석 = 45
 3. 교육부 고시 교육과정 각론 분석 : 국어, 수학, 정보과학 = 64
 4.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분석 = 98
제3장 현대 교육 철학에 기초한 창의적 인간상과 학교교육 목표 = 121
 1. 지식기반사회의 교육적 인간상 = 125
 2. 교육적 인간상의 역사적 전개 = 131
 3. 창의성에 대한 현대 철학적 이해 : Dewey를 중심으로 = 141
 4. 교육적 이상으로서 창의적 인간의 의미 = 149
 5. 학교 교육과정의 교육적 인간상 및 목표 = 157
제4장 현대 지식론에 기초한 학교 교육과정의 내용 = 177
 1.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지식에 관한 논의 = 181
 2. 인식론의 역사적 전개 = 189
 3. 현대 철학에서의 지식론 : Polanyi를 중심으로 = 200
 4. 창의적 지식 생성을 위한 교육내용 = 213
 5. 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선정 원리 = 218
제5장 인지 심리학적 접근에 기초한 교수-학습 원리 탐구 = 235
 1. 학습에 대한 인지 심리학적 이론의 동향 = 239
 2. 현대의 학습 과학에 기초한 학습과 교수의 원리 = 267
 3. 창의성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 = 278
 4.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교수-학습 원리 = 287
제6장 지식기반사회를 위한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평가 원리 = 299
 1. 교육에 대한 새로운 요구 = 302
 2. 수행평가 = 321
 3. 수행 평가의 사례 = 348
 4. 지식기반사회의 학교 교육과정 평가 = 357
제7장 학교 교육을 위한 사이버 환경 탐구 : 지식기반사회의 교육 환경에 대한 기술공학적 연구 = 361
 1. 사이버 공간의 특성과 교육적 적용 가능성 = 364
 2. 학교교육과 사이버 교육 = 372
 3. 창의성 함양을 위한 사이버 공간의 속성 = 384
 4. 사이버기반 학교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방안 탐색 = 392
제8장 교육과정 연구를 위한 학교 교육 실태 = 429
 1. 연구의 방향과 성격 = 43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432
 3. 교육과정 요소 = 435
 4. 교과 교육과정 실행 : 국어, 수학, 정보과학 = 463
 5. 학교 교육과정 실행에 나타난 문제점 및 제언 = 471
제9장 결론 및 제언 = 475
 1. 학교 교육과정의 현실 = 478
 2. 학교 교육과정의 방향성 = 479
 3. 종합 논의 = 490
참고문헌 = 49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