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도입 = 11
제1절 지방정부 혁신의 필요성 = 11
제2절 지방정부 혁신의 가능성 = 13
제3절 지방정부 혁신의 배경 = 15
제2장 지방정부 혁신의 이론 = 18
제1절 지방정부 혁신의 의의 = 18
1. 혁신의 개념과 특징 = 18
2. 지방정부 혁신의 기능 = 25
3. 혁신 전략 = 27
4. 지방정부 혁신의 이념 = 30
제2절 지방정부 혁신의 과정 = 31
1. 혁신과정의 모델 = 31
2. 혁신의 단계 = 36
제3절 혁신의 유형 = 42
1. 혁신의 예측정도에 의한 분류 = 44
2. 혁신의 속도와 강도에 의한 분류 = 45
3. 혁신의 대상에 의한 분류 = 46
제3장 지방정부 혁신시책 = 55
제1절 지방정부 관리혁신 시책 = 55
1. 지방정부 관리혁신의 도입 = 55
2. 조직관리혁신 = 58
3. 인적관리혁신 = 72
4. 사무관리혁신 = 78
제2절 서비스혁신 = 81
1. 서비스 혁신의 의의 = 81
2. 지방정부 서비스 혁신 시책 = 82
제3절 기술 혁신 = 97
1. 민원행정에의 활용 = 97
2. 정보화ㆍ전산화 = 99
제4장 지방정부 혁신의 성과 = 103
제1절 서론 = 103
제2절 지방정부 성과평가 = 104
제3절 지방정부 관리혁신의 실제 성과 = 109
1. 분석틀 = 110
2. 측정대상별 측정지표 = 112
제4절 시 기초자치단체 관리혁신의 성과 = 115
1. 조사의 개요 = 115
2. 산출단계 성과 = 115
3. 결과단계 성과 = 117
4. 관리혁신의 성과 경로 = 118
5. 분석결과의 요약 = 124
제5절 군자치단체의 성과 = 126
1. 조사의 개요 = 126
2. 산출단계 및 결과단계 성과 = 127
3. 관리혁신의 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상관 및 회귀분석 = 133
4. 분석결과의 요약 = 136
제5장 혁신 연구의 관점과 방법 = 143
제1절 혁신연구의 경향 = 143
제2절 조직혁신의 세 가지 관점 = 144
1. 개인주의자 관점 = 146
2. 구조조의자 관점 = 147
3. 상호작용 관점 = 147
제3절 조직혁신의 시간적 연구방법 = 149
제4절 혁신 수준의 측정 = 151
1. 연구개발(R & D) 비용을 이용한 측정 = 151
2. 주관적인 지표 = 152
3. 혁신 시책의 건수를 이용하는 방법 = 153
4. 면적 등과 같이 통계치를 이용한 방법 = 154
5. 기대와 실제간의 비교 방법 = 154
6. 수용의 정도에 의한 방법 = 154
제6장 조직에서의 혁신 = 157
제1절 혁신의 영향요인 = 157
1. 이헌수의 연구 = 157
2. Zaltman 등 = 158
3. Carol Slappendel = 159
4. Michael Saren = 160
제2절 조직 요인 = 161
1. 조직구조적 요인과 혁신 = 161
2. 조직분위기 = 166
3. 비공식집단의 활성화와 혁신 = 168
4. 여유자원과 혁신 = 168
제3절 조직환경과 혁신 = 169
1. 조직환경의 중요성 = 169
2. 급격한 환경변동과 불확실성 = 170
3. 환경적 이질성 = 170
4. 외부와의 의사소통 = 170
5. 주민의 정치행정적 참여 = 171
6. 혁신채택 우수조직과의 인접성 = 171
제7장 혁신적 리더십 = 175
제1절 혁신적 리더십의 의의 = 175
제2절 정책활동가 = 177
1. 정책활동가의 개념 = 177
2. 정책활동가의 속성 = 179
제3절 아이디어챔피언과 혁신 = 180
1. 아이디어챔피언의 필요성 = 180
2. 아이디어챔피언의 의미 = 181
3. 아이디어챔피언의 자질 = 182
4. 혁신정책의 변동과정에서 아이디어챔피언의 역할 = 183
제4절 행태론적 리더십과 혁신 = 185
제8장 지방정부 혁신의 생존 = 192
제1절 서론 = 192
제2절 생존분석법 = 193
1. 생존의 의미 및 특징 = 193
2. 생존분석법 = 195
제3절 혁신의 생존 = 197
1. 관리혁신의 생존 = 197
2. 서비스혁신의 생존 =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