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서론
제1장 해제: 거버넌스의 이해 = 17
제1절 머리말 = 17
제2절 시대별 거버넌스의 전개 및 등장 배경 = 19
제3절 거버넌스의 개념 및 유형 = 24
1. 거버넌스의 개념 = 24
2. 거버넌스의 유형 = 26
제4절 새로운 거버넌스의 효과 = 29
제5절 참여적 거버넌스와 협력적 거버넌스 = 30
1. 참여적 거버넌스와 협력적 거버넌스의 개념 = 30
2. 참여적 거버넌스와 협력적 거버넌스의 비교 = 33
제2부 대안적 공공서비스의 생산과 제공
제2장 민-학-관 협력을 통한 도시대학의 성과와 의미 = 39
제1절 머리말 = 39
제2절 푸른경기21 도시대학 추진과정 = 41
1. 도시대학 추진배경 = 41
2. 도시대학 추진특성 = 42
3. 연도별 추진현황 = 44
제3절 푸른경기21 도시대학 추진성과 = 46
1. 도시대학의 추진성과 = 46
2. 도시대학의 발전과제 = 49
제4절 도시대학으로 본 협력적 거버넌스 = 51
1. 도시대학으로 본 협력적 거버넌스의 성공요인 = 51
2. 도시대학으로 본 협력적 거버넌스의 원칙 = 53
제5절 맺음말 = 55
제3장 사회적 기업의 지역발전 설계와 적용 = 57
제1절 들어가기 = 57
제2절 생태마을의 개념과 사례 = 58
1. 영국 핀드혼 마을 = 59
2. 호주의 크리스탈워터즈 = 60
제3절 마을만들기 운동과 공동체적 지역화 = 62
1. 마을만들기 운동의 개념과 의의 = 62
2. 우리나라의 마을만들기 운동 = 63
3. 마을만들기 운동의 새로운 목표: 공동체적 지역화 = 66
제4절 공동체적 지역화의 맹아 = 69
1. 충남 홍성군 홍동면 = 70
2. 전북 남원 산내면 = 71
제5절 충남 서천군에서의 경험 = 73
1. 서천지사 설립 = 74
2. 서천지사의 철수와 소중한 경험 = 76
제6절 나가며 = 78
제3부 문화유산, 자원봉사, 그리고 민관협력
제4장 문화유산의 가치와 기업의 참여 = 83
제1절 '1문화재 1지킴이 운동'의 추진 배경 = 83
제2절 기업참여의 의미와 시사점 = 85
제3절 기업 사회공헌활동 모델 개발과 적용 = 87
제4절 대표적 활동사례 및 시사점 = 90
1. 한화리조트('05. 5. 3 협약체결) = 90
2. 신한은행('05. 7. 5 협약체결) = 91
3. 한국가스공사('05. 8. 31 협약체결) = 93
4. 포스코('05. 9. 14 협약체결) = 94
제5절 운동성과와 시사점 = 96
제6절 향후과제 = 99
1.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내실화와 전문성의 확보 = 99
2. 체계적인 지원ㆍ관리를 위한 전담 지원조직의 마련 = 100
3. 지역공동체와 상호협력 모델 구축ㆍ전파 = 100
4. '지속가능한 사회공헌 활동'을 위한 다양한프로그램 개발ㆍ보급 = 100
5. 법적ㆍ제도적 장치의 보완과 신설 = 101
제5장 우리궁궐길라잡이 활동의 성과와 과제 = 102
제1절 들어가며 = 102
1. 머리말 = 102
제2절 우리궁궐길라잡이 활동 현황 = 104
1. 우리궁궐길라잡이 모집 및 양성 활동 = 104
2. 궁궐안내 활동 = 105
3. 문화유산 보존 활동 = 107
4. 문화유산 홍보와 활용 = 107
5. 학습활동 = 111
제3절 우리궁궐길라잡이 활동의 의미 = 111
1.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 나눔 활동이다 = 111
2. 문화유산의 가치와 의미를 바르게 알리고 확산시키는 활동이다 = 112
3. 궁궐의 올바른 보존과 활용 방향을 제시하는 활동이다 = 113
4. 지역의 가치를 발견하는 새로운 형태의 풀뿌리 주민운동이다 = 114
제4절 우리궁궐길라잡이 활동의 과제 = 115
1. 자체 역량 강화 = 115
2. 문화유산 모니터링 및 정책 제안 = 115
3. 문화유산 관련 네트워크의 강화 = 116
4. 홍보강화 = 116
제5절 문화재청 협력 내용 및 과제 = 116
1. 행정지원 = 116
2. 재정지원 = 117
3. 운영협조 = 117
4. 과제 = 118
제6절 결론을 대신하여 = 118
제4부 민관협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제6장 행복을 나누는 도시락 = 123
제1절 사례의 배경 = 123
1. 문제 현황 = 123
2. 사업의 목표 = 124
3. 목표달성을 위한 SK의 지원계획 = 125
제2절 문제해결 과정 = 126
1. 제기되기 시작하는 장애요소 = 126
2. 장애요소 극복대안 마련 = 127
3. 행복도시락센터 사업방향 변경 = 128
제3절 성과 및 과제 = 131
1. 행복도시락 성과 = 131
2. 행복도시락 사업에 대한 사회적 평가 = 136
3. 행복도시락 향후 계획 및 과제 = 138
제7장 교보다솜이간병봉사단 = 140
제1절 사례의 배경 = 140
제2절 다솜이재단 현황(2007년 기준) = 141
제3절 사업 목적 및 추진전략 = 143
1. 사업 목적 = 143
2. 사업추진 전략 = 144
제4절 사업 추진 경과 = 146
1. 기업 사회공헌활동으로서의 사회적 일자리(2003년∼2004년) = 146
2. 정부 연계형 사회적 일자리 = 147
3.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 = 149
제5절 파트너십 운영 = 150
1. 파트너십 원칙 = 150
2. 사업운영 협약 체결 = 151
3. 파트너십 실행 = 151
제6절 사업추진 실적 및 성과 = 152
제7절 다솜이재단의 비전 및 향후 추진과제 = 155
제5부 민관협력과 ODA
제8장 몽골 사막화 방지사업의 의의 및 추진과정: 한국의 NGO, 푸른아시아의 국제환경거버넌스 구축 사례 = 161
제1절 서론 = 161
제2절 몽골 사막화의 현황 = 164
1. 사막화의 개요 = 164
2. 몽골 사막화의 요인 = 165
제3절 푸른아시아의 사막화 방지사업의 개요 = 169
1. 사업 내용과 경과 = 169
2. 사막화 방지사업의 특성 = 180
제4절 거버넌스 관점에서 본 사막화 방지사업 = 182
1. 국내 거버넌스 = 182
2. 몽골내 거버넌스(국제적 거버넌스) = 186
제5절 사막화 방지를 위한 새로운 도전, 국제환경거버넌스 제안 = 192
제6절 맺음말 = 194
제9장 국제개발협력에서의 협력적 거버넌스: 지구촌나눔운동 몽골사업 = 195
제1절 국제사회에서의 국제개발협력의 변화 = 195
제2절 한국사회에서의 국제개발협력의 변화 = 196
제3절 지구촌나눔운동 = 197
1. 개발협력사업 = 198
2. 개발교육사업 = 199
3. 정책제언사업 = 200
제4절 몽골사업 = 201
1. 사업개요 = 201
2. 사업목적 = 202
3. 기대효과 = 202
4. 사업추진 방향 = 203
5. 사업추진 경위 = 203
6. 사업추진 배경 = 205
7. 사업내용 = 209
8. 사업추진환경 = 212
9. 사업수행 체제 = 216
제5절 정책적 평가 및 과제 = 217
1. 성공적인 민간차원의 개발협력 사업으로서의 평가 = 217
2. 향후 과제 = 219
제6부 네트워크 거버넌스
제10장 농촌형 민관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실험과 방향: 전북 진안군 사례를 중심으로 = 223
제1절 전제 혹은 양해 = 223
제2절 거버넌스 모델과 농촌 = 224
1. 거버넌스 개념의 이해 = 224
2. 거버넌스 논의의 농촌 적용에 대한 문제제기 = 224
제3절 '농촌형 거버넌스'의 형식과 구축 방향 = 225
1. 농촌형 거버넌스(민관협력체계)의 형식과 과제 = 225
2. 새로운 방향 모색을 위한 논쟁점 = 226
3. 일본의 코몬즈 논의와 시사점 = 226
4. 농촌형 거버넌스 구축의 기본전략 = 228
제4절 진안군의 다양한 실험과 반성 = 229
1. 신활력사업의 PAS 방식 도입 = 229
2. 주민주도 상향식의 으뜸마을가꾸기 사업 = 231
3. 마을간사제도 = 233
4. 행정 내 전담팀 구축 = 235
제5절 농촌형 거버넌스(민관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당면 과제 = 237
1. 지역단위 거버넌스(Local Goverance) 구축 = 237
2. 주민참가형 연구용역 방식으로의 과감한 전환 장려 = 238
3. 지역단위 학습운동 및 기초연구 활성화 = 238
제6절 결론에 대신하여 = 239
제11장 자원봉사 네트워크의 현황과 과제: 볼런티어21 사례를 중심으로 = 240
제1절 들어가며 = 240
제2절 우리나라 자원봉사정책 현황 = 241
제3절 볼런티어21 자원봉사 네트워크의 현황 = 243
1. 볼런티어21 네트워크의 방향 = 243
2. 네트워크 현황 = 244
제4절 볼런티어21 자원봉사 네트워크의 성과와 과제 = 249
1. 성과 = 249
2. 과제 = 251
제5절 나오며 = 252
제7부 결론
제12장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의 의의와 과제 = 257
제1절 머리말 = 257
제2절 대안적인 공공서비스 생산과 제공 = 259
제3절 네트워크 거버넌스 = 263
제4절 결론 = 268
찾아보기 =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