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기업지배구조의 기초원리
제1장 기업지배구조
Ⅰ. 회사와 대리인 비용 = 3
Ⅱ. 기업지배구조의 정의 = 10
Ⅲ. 기업지배구조 논의의 역사 = 12
Ⅳ. 회사 모델론 = 22
Ⅴ. 기업지배구조와 적대적 M&A = 29
Ⅵ. 시장감시자 = 36
Ⅶ.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집단 = 38
Ⅷ. 법 집행의 중요성 = 51
Ⅸ. 증권거래소의 지배구조 = 53
제2장 기업지배구조와 회사법
Ⅰ. 회사의 회사법 = 57
Ⅱ. 회사법의 본질 = 58
Ⅲ. 회사법의 4대 기초 원칙 = 61
Ⅳ. 회사법 해석과 효율성 = 66
Ⅴ. 회사법의 규범적 성격 = 69
Ⅵ. 상장회사에 대한 규제 = 80
Ⅶ. 회사법과 기업집단 = 90
Ⅷ. 국제회사법의 기초 = 94
제3장 주주와 경영진
Ⅰ. 주주총회와 이사회 = 106
Ⅱ. 상법상 주주총회와 이사회의 권한 배분 = 109
Ⅲ. 경영권 분쟁과 이사회의 파워 = 111
Ⅳ. 주주의 의결권 = 115
Ⅴ. 주주평등의 원칙과 1주 1의결권의 원칙 = 120
Ⅵ. 금융계열사의 의결권제한 = 132
Ⅶ. 주주제안권 = 135
Ⅷ. 기타 소수주주권 = 138
Ⅸ. 상장회사의 주주의 역할 = 139
Ⅹ. 상장회사 주주의 권리 = 145
XI. 주주총회 = 149
XII. 과제 = 155
제3-1장 주주평등의 원칙
Ⅰ. 주주평등의 원칙 = 157
Ⅱ. 평서의 구조와 내용 = 159
Ⅲ. 회사법에 있어서 주주평등의 원칙의 위치 = 160
Ⅳ. 평가와 전망 = 165
제2부 이사회와 경영진
제4장 이사회의 구성과 운영
Ⅰ. 이사회의 기능 = 169
Ⅱ. 이사회의 규모와 구성 = 173
Ⅲ. 사외이사제도 = 179
Ⅳ. 사외이사의 독립성 - 오라클 판결 = 194
Ⅴ. 이사회 운영의 전략 = 201
Ⅵ. 이사의 보수 = 209
Ⅶ. 이사의 보수결정과 지배주주 = 217
제5장 감사위원회
Ⅰ. 감사위원회의 의의 = 228
Ⅱ. 감사위원회의 구성 = 229
Ⅲ. 미국 기업 감사위원회의 현황 = 235
Ⅳ. 미국 기업 감사위원회의 설치 근거와 기능 = 237
Ⅴ. 블루리본위원회 보고서 = 239
Ⅵ. 감사위원회에 관한 회계개혁법의 내용 = 241
Ⅶ. 외국기업의 감사위원회 = 245
Ⅷ. 재무전문가의 의미 = 248
Ⅸ. 감사위원회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결과 = 250
Ⅹ. 우리나라 상장회사 감사위원회의 기능 = 252
XI. 창의적인 기업지배구조와 감사위원회 = 254
제6장 재무이사
Ⅰ. 기업지배구조와 경영에서 CFO의 위치와 역할 = 255
Ⅱ. 재무이사의 법률적 지위 = 260
Ⅲ. 미국 사례 연구 = 264
Ⅳ. 법령 개정 방법과 과제 = 282
제7장 경영진의 법률적 책임
Ⅰ. 회사법의 새로운 역사 = 286
Ⅱ. 경영자 통제와 회사법 = 288
Ⅲ. 이사의 의무와 법률적 책임 개관 = 291
Ⅳ. 주식회사 이사의 손해배상책임 = 292
Ⅴ. 주식회사 이사의 충실의무 = 305
Ⅵ. 이사의 회사기회 유용 = 313
Ⅶ. 업무집행지시자의 책임 = 321
Ⅷ. 이사회구조론과 이사의 의무 = 324
Ⅸ. 이사의 자본시장법상 책임 = 333
Ⅹ. 증권집단소송 = 334
XI. 이사의 책임완화 = 348
XII. 이사의 법률적 책임과 기업지배구조 = 382
제7-1장 경영판단의 법칙
Ⅰ. 책 소개 = 385
Ⅱ. 책 내용 소개 = 386
Ⅲ. 평가 = 389
제3부 기업금융과 투자은행
제8장 기업금융과 법률
Ⅰ. 기업금융과 회사법 = 394
Ⅱ. 금융과 지배구조 = 395
Ⅲ. 금융수단과 지배구조 = 396
Ⅳ. 회사의 자본구조와 법률 = 397
Ⅴ. 자기자본에 의한 기업금융 = 399
Ⅵ. 타인자본에 의한 기업금융 = 406
Ⅶ. 벤처캐피탈과 우선주식 = 407
Ⅷ. 회사채권자의 보호 = 409
Ⅸ. 기업집단과 기업금융 = 412
Ⅹ. 자기주식 = 415
XI. 주식매수선택권 = 421
XII. 자본시장을 통한 기업금융 = 422
XIII. M&A 금융 = 429
XIV. 기업금융과 내부통제 = 434
XV. 상장회사 공시제도 = 439
XVI. 과제 = 445
제9장 기업금융과 투자은행
Ⅰ. 기업금융과 투자은행 = 475
Ⅱ. 투자은행의 기원 = 479
Ⅲ. 투자은행업계의 구조와 구조조정 = 500
Ⅳ. 투자은행과 M&A = 506
Ⅴ. 전략과 정책 = 512
제10장 투자은행과 이해상충
Ⅰ. 자본시장법과 투자은행의 이해상충 문제 = 517
Ⅱ. 투자은행의 업무영역 = 518
Ⅲ. 자본시장법상 이해상충 문제의 규율 = 520
Ⅳ. 이해상충 문제의 해결에 관한 영국의 제도와 경험 = 525
Ⅴ. 기업인수와 투자은행의 이해상충 = 544
Ⅵ. 이해상충과 투자은행의 충실의무 = 549
Ⅶ. 과제 = 551
제4부 기업지배구조와 M&A
제11장 기업지배구조의 변동(Ⅰ)
Ⅰ. 이사의 선임 = 555
Ⅱ. 이사의 임기와 시차임기이사회 = 565
Ⅲ. 의결권의 행사에 관한 변형 제도와 의결권의 제한 = 568
Ⅳ. 주식의 수와 경영권을 분리시키는 사실상의 구조 = 576
Ⅴ. 경영권 방어에 관한 제도 = 582
Ⅵ. M&A 거래에 있어서 이사의 의무 = 598
Ⅶ. 외국인의 국내기업 인수 = 612
제12장 기업지배구조의 변동(Ⅱ)
Ⅰ. 소수주식의 강제매수제도 = 617
Ⅱ. 주식매수청구권 = 638
제13장 기업지배구조와 전략
Ⅰ. M&A와 경영전략 = 661
Ⅱ. 미디어산업 M&A = 663
Ⅲ. 정보기술기업의 M&A = 687
Ⅳ. 사상 최대의 적대적 M&A = 703
Ⅴ. 패션산업 M&A 사례 = 709
제5부 국제기업지배구조이론
제14장 국제기업지배구조론
Ⅰ. 국제기업지배구조론 = 719
Ⅱ. 세계 각국 기업의 소유구조와 지배구조 = 733
Ⅲ. 기업지배구조 수렴론 = 743
Ⅳ. 증권시장의 세계적 통합과 기업지배구조 = 756
Ⅴ. 증권시장 제도간 경쟁의 방향 = 776
Ⅵ. 시사점과 전망 = 779
제14-1장 회사법의 해부학
Ⅰ. 배경 = 781
Ⅱ. 내용 = 783
Ⅲ. 평가 = 786
제15장 기업지배구조와 국제정치
Ⅰ. 에너지산업의 위치 = 787
Ⅱ. 글로벌 에너지기업 = 789
Ⅲ. 미국 = 793
Ⅳ. 러시아 = 799
Ⅴ. 중국 = 805
Ⅵ. 중동과 북아프리카 = 808
Ⅶ. 에너지와 해운산업 = 815
Ⅷ. 에너지와 금융산업 = 818
Ⅸ. 전망 = 820
제16장 기업지배구조와 국제법
Ⅰ. 기업과 국제법 = 822
Ⅱ. 사회개발에 관한 국제규범 = 823
Ⅲ. 다국적 기업에 관한 국제규범 = 824
Ⅳ. 기업지배구조에 관한 국제규범 = 826
Ⅴ. 국제증권법의 형성과 발전 = 828
Ⅵ. 국제증권법 정비의 방법론 = 832
Ⅶ. 소프트 로의 역할 = 833
부록: 로스쿨과 법학공부 = 837
참고문헌 = 851
찾아보기 = 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