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국제정세의 이해 : 글로벌 다자협력시대 지구촌의 어젠다와 국제관계 제3개정판

국제정세의 이해 : 글로벌 다자협력시대 지구촌의 어젠다와 국제관계 제3개정판 (Loan 23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유현석
Title Statement
국제정세의 이해 : 글로벌 다자협력시대 지구촌의 어젠다와 국제관계 / 유현석 지음
판사항
제3개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09   (2011)  
Physical Medium
375 p. : 삽화 ; 25 cm
Series Statement
한울아카데미 ;1164
ISBN
978894605164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811camcc2200265 c 4500
001 000045547706
005 20110303190122
007 ta
008 090829s2009 ggka b 001c kor
020 ▼a 9788946051645 ▼g 93340
035 ▼a (KERIS)BIB000011755903
040 ▼a 241047 ▼d 211009
082 0 4 ▼a 327 ▼2 22
085 ▼a 327 ▼2 DDCK
090 ▼a 327 ▼b 2009z8
100 1 ▼a 유현석
245 1 0 ▼a 국제정세의 이해 : ▼b 글로벌 다자협력시대 지구촌의 어젠다와 국제관계 / ▼d 유현석 지음
246 1 1 ▼a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 ▼b issues in global village
250 ▼a 제3개정판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09 ▼g (2011)
300 ▼a 375 p. : ▼b 삽화 ; ▼c 25 cm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1164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115459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115503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211904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212064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4(Eastern Books)/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2118610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4(Eastern Books)/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2119042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7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4(Eastern Books)/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2120643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8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513111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115459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1155038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2119042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212064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4(Eastern Books)/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2118610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4(Eastern Books)/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2119042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tacks 4(Eastern Books)/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2120643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27 2009z8 Accession No. 1513111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국제정세의 이해> 제3개정판. 미국 패권주의와 그 변화된 다자협력상황 등을 반영하여 개정한 국제정세 입문서이다. 미국발 금융위기에 대한 대응책을 위해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다자협력의 시대, 미국의 패권주의는 지속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협력적 관리방식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 최근 국제정세의 변화이다. 이 책은 제2개정판 발간 이후 약 3년간 변화된 이와 같은 내용을 반영했고, '외교와 대외정책' 등의 새로운 장을 추가하는 등 많은 부분에서 내용을 보강했다.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각국은 협력의 시대로 갈 수 있는가?
미국 패권주의와 그 변화된 다자협력상황 등을 반영하여 개정한 국제정세 입문서!


미국발 금융위기에 대한 대응책을 위해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다자협력의 시대, 미국의 패권주의는 지속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협력적 관리방식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 최근 국제정세의 변화이다. 이 책은 2001년에 초판이 간행되어 2003년 개정판, 2006년 제2개정판에 이어 제3개정판으로 거듭 발간된 대중적인 국제정세 입문서이다. 제2개정판 발간 이후 약 3년간 변화된 이와 같은 내용을 반영했고, '외교와 대외정책' 등의 새로운 장을 추가하는 등 많은 부분에서 내용을 보강했다.

이 책의 내용

지은이는 대학 초년생 정도의 국제정치 비전공자도 이해하기 쉽게 강의하던 자료를 정리하여 2001년 처음 이 책을 출간하였고, 재쇄와 재판을 거듭하여 2009년에 이르기까지 대학 강의용으로나 일반인의 국제정세에 대한 지식교양서로 꾸준히 읽혀왔다. 2009년 2학기를 맞추어 발간된 이번 제3개정판은 지난 제2개정판의 부제 '미국 패권 시대의 지구촌의 어젠다와 국제관계'가 '글로벌 다자협력시대 지구촌의 어젠다와 국제관계'로 바뀐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미국발 금융위기와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추구되는 다자협력관계를 중심으로 변화된 내용을 보강했다.
우선 국제체제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제2장 '국제정치의 역사'를, 21세기 국제관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제3장 '21세기 국제관계의 변화: 탈근대 국제관계로의 전환''을 추가했다. 그리고 그동안 꼭 책 내용에 포함시키려고 생각했던 '외교와 대외정책'을 제11장에 추가했다. 세 개 장을 추가하는 대신에 기존의 2장 '냉전과 탈냉전'은 '국제정치의 역사'에 포함시켰고 기존의 3장 '9·11 테러와 국제정치의 변화'와 11장 '정보혁명과 국제관계의 변화'는 '21세기 국제관계의 변화: 탈근대 국제관계로의 전환''에 포함시켰다. 그 밖에 제1장의 국제정치의 네 가지 접근법의 적용에서 중·일 관계의 사례를 추가했고, 제5장 지역통합의 내용에서 유럽헌법 부결 이후 리스본 조약의 내용을 보강했다. 제9장에서는 UN의 주요 기구에 대한 내용을 보강했고 제12장 환경문제와 국제정치에서는 교토의정서에 대한 한국의 대응에 대한 내용을 보강했다. 제13장에서는 한국의 기여외교와 공적개발원조의 최근 추세에 대해 보강했고 마지막으로 제15장 국제통화. 금융체제의 전개와 변화에서는 미국발 금융위기와 새로운 국제금융 거버넌스를 보강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유현석(지은이)

어릴 때 장래 희망이 외교관과 자선사업가였던 유현석 교수는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그리고 노스웨스턴 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에서 학사, 석사(정치학), 박사학위(정치학, 1995)를 받았다. 2004년까지 중앙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로 일했고 그 후 현재까지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10~2011년 태국 출라롱콘 대학교 안보국제문제연구소(ISIS: Institute of Security and International Studies) 방문학자와 일한문화교류기금 펠로우로 일본 게이오 대학교 법정대학 방문교수로 연구 활동을 했다. 2013년 외교부 산하 KF(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으로 일했으며 2016년 특임대사로 임명되어 주말레이시아 한국대사로 2018년 2월까지 일했다. 『국제정세의 이해: 복합위기의 시대, 지구촌의 어젠다와 국제관계』(제6개정판), 『유현석 교수의 공공외교 수업』, 『동아시아 지역주의: 평화, 번영, 인간안보의 지역적 모색』의 저자이며 현재는 동아시아 다자협력, 한국의 대외 전략, 아세안(ASEAN)과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대외정책, 공공외교, 외교환경 변화에 따른 외교의 진화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서울 모처에서 가족들과 말레이시아에서 입양한 고양이 탱고와 함께 살고 있다. 참고로 MBTI는 ESFJ.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3개정판 서문 = 3
제2개정판 서문 = 5
제1개정판 서문 = 7
초판 서문 = 10
제1장 국제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19
 1. 국제정치를 보는 다양한 렌즈: 국제정치의 접근법들 = 20
 2. 네 가지 접근법의 적용: 중ㆍ일 관계와 1990년 걸프 전쟁의 사례 분석 = 30
제2장 국제정치의 역사 = 35
 1. 근대 국제체제의 등장: 웨스트팔리아 체제 = 35
 2. 유럽협조체제의 등장 = 36
 3. 19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질서 = 37
 4. 제1차 세계대전과 베르사유 체제 = 39
 5. 20년간의 평화와 제2차 세계대전 = 40
 6. 제2차 세계대전의 마무리와 얄타 체제 = 42
 7. 냉전의 시작 = 43
 8. 냉전의 종식 = 47
 9. 탈냉전의 시대: 문명충돌? 혹은 미국 패권 시대? = 51
 10.미국 패권 시대의 단면: 미국의 일방주의 외교 = 54
제3장 21세기 국제관계의 변화 : 탈근대 국제관계로의 전환? = 58
 1. 9ㆍ11과 국제정치의 변화 = 59
 2. 정보혁명과 국제정치의 변화 = 68
 3. 탈근대 국제체제로의 변화 = 76
제4장 세계화(Globalization) = 80
 1. 세계화란 무엇인가? = 80
 2. 세계화의 모습들 = 81
 3. 세계화의 도전: 세계화의 정치적 영향 = 86
 4. 세계화에 대한 저항: 반세계화운동 = 89
 5. 세계화, 상호의존 그리고 국가안보 = 91
제5장 지역주의와 지역통합 = 95
 Ⅰ. 지역주의 = 95
  1. 지역주의란 무엇인가? = 95
  2. 지역주의의 확산 요인 = 98
  3. 세계화와 지역주의: 갈등적인가, 아니면 보완적인가? = 101
  4. 지역협력 사례 = 103
 Ⅱ. 지역통합: 유럽연합의 사례 = 121
  1. 지역통합에 대한 이론적 설명 = 121
  2. 유럽 통합의 역사 = 125
  3. 화폐통합: 유럽경제통합의 완성 = 129
  4. 유럽연합의 조직 및 기구 = 132
  5. 유럽연합과 미국 = 139
  6. 유럽과 NATO = 140
  7. 유럽연합의 미래: 리스본 조약과 유럽연합의 미래 = 143
제6장 국제정치와 안보 = 149
 1. 안보란 무엇인가? = 149
 2. 안보 개념의 변화 = 150
 3. 어떻게 안보를 얻을 수 있는가?: 평화를 위한 처방 = 154
 4. 군축과 군비통제 = 164
제7장 국제정치와 핵무기 = 168
 1. 국제정치와 핵무기: 핵이 평화를 가져오는가? = 168
 2. 핵 억지 = 172
 3. 핵 확산: 왜 핵은 확산되는가? = 176
 4. 핵 비확산을 위한 노력 = 179
 5. 한국의 핵개발 = 184
 6. 북한의 핵개발 = 186
제8장 동아시아 안보와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정책 = 198
 1. 동아시아의 특수성 = 198
 2. 동아시아의 안보위협 요인 = 201
 3. 미국의 동아시아 안보전략: 9ㆍ11 테러 이후의 변화 = 209
 4. 동북아시아에서의 다자안보협력 = 218
제9장 국제정치와 글로벌 거버넌스 : 국제기구, 그리고 UN = 225
 Ⅰ. 국제정치와 국제기구 = 225
  1. 국제기구의 개념 = 225
  2. 국제기구와 국제정치이론 = 227
  3. 국제기구와 국제법 = 227
 Ⅱ. UN: 변화와 개혁 = 230
  1. UN의 기원 = 230
  2. UN의 창설 = 231
  3. UN의 조직 및 구성 = 233
  4. UN의 문제점과 개혁 = 239
  5. UN의 새로운 역할: 글로벌 거버넌스와 UN = 246
  6. UN과 한국 = 248
제10장 국제관계에서 비국가행위자의 등장 : 국제비정부기구(INGO), 다국적기업, 테러집단 = 251
 1. 비국가행위자의 등장 배경 = 251
 2. 비국가행위자의 종류 = 252
 3. 국제기구 = 253
 4. 테러집단 = 256
 5. 다국적기업 = 258
제11장 외교와 대외정책 = 267
 Ⅰ. 외교(Diplomacy) = 267
  1. 외교란 무엇인가? = 267
  2. 외교의 자원 = 268
  3. 외교와 협상 = 271
  4. 외교의 변화 = 273
 Ⅱ. 대외정책(Foreign Policy) = 280
  1. 대외정책결정 요인 = 280
  2. 대외정책결정과정 모델 = 282
  3. 대외정책과 국내정치 = 283
제12장 환경문제와 국제정치 = 285
 1. 환경문제의 성격 = 285
 2.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노력 = 288
 3. 환경문제와 남북문제 그리고 국가주권 문제 = 290
 4. 환경문제의 실제: 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 = 291
 5. 요하네스버그 세계정상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정상회의 = 296
 6. 환경문제와 한국: 교토 의정서와 한국의 대응 = 298
제13장 남북문제 : 지구촌의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 301
 1. 남북문제의 전개 = 301
 2. 무엇이 문제인가?: 남북의 상반된 인식 = 303
 3. 제3세계의 전략: 신국제경제질서의 요구 = 304
 4. 선진국의 노력: 해외원조 = 306
 5. 남북문제의 현재: 제3세계주의의 종말과 새로운 남북갈등 = 308
 6. 한국의 대외원조 정책: 기여외교와 공적개발원조(ODA) = 311
제14장 국제무역질서의 전개와 변화 = 314
 1. 전후 국제무역질서의 확립 = 314
 2. GATT 체제의 탄생 = 315
 3. GATT의 성과와 위기 = 318
 4. WTO 체제의 출범과 활동 = 322
 5. WTO의 과제들 = 324
 6. 도하개발 어젠다와 WTO의 미래 = 326
제15장 국제통화·금융체제의 전개와 변화 = 331
 1. 국제통화체제의 중요성 = 332
 2. 국제통화체제의 역사적 전개 = 334
 3. 브레턴우즈 체제의 위기와 몰락 = 338
 4. 새로운 세계통화질서의 모색 = 341
 5. 제3세계 외채 문제 = 347
 6. 국제금융체제의 개혁 = 351
 7. IMF와 아시아 경제위기 = 352
 8. 미국발 금융위기와 새로운 국제금융 거버넌스의 모색 = 362
찾아보기 = 36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민귀식 (2022)
임갑수 (2023)
五百旗頭薫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