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23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45547047 | |
005 | 20100805014521 | |
007 | ta | |
008 | 090909s2009 kjk QB 000a kor | |
020 | ▼a 9788975987502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47.51905 ▼2 22 |
085 | ▼a 347.5305 ▼2 DDCK | |
090 | ▼a 347.5305 ▼b 2009z15 | |
100 | 1 | ▼a 홍기문 ▼0 AUTH(211009)111677 |
245 | 2 0 | ▼a (사례연습)민사소송법 / ▼d 홍기문 저. |
260 | ▼a 광주 : ▼b 전남대학교출판부 , ▼c 2009. | |
300 | ▼a 620 p. ; ▼c 26 cm.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7.5305 2009z15 | 등록번호 1115455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7.5305 2009z15 | 등록번호 1115455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민사소송절차의 전체적 체계를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집필한 책으로, 저자는 간결한 문체로 중요 문제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민사소송제도의 목적에 근거하여 논리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제도적 취지에 입각한 전개를 하고자 노력하였다.
본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중점을 두고 서술하였다.
첫째, 민사소송절차의 전체적 체계를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간결한 문체로 중요 문제를 중심으로 정리하였으며, 민사소송제도의 목적에 근거하여 논리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제도적 취지에 입각한 전개를 하고자 노력하였다.
둘째, 사례를 예시하면서 이론을 정리한 후 설문을 정리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방법이 향후 변호사시험 준비에 유익할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판례를 가능한 한 많이 적시하여 실무와의 연계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셋째, 국내외 기출문제를 소개하여 제도의 응용력을 배양하는데 활용하도록 배려하였다. 새로운 문제를 위한 대비는 기출문제의 치밀한 분석을 통하여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서의 주요내용은 제1장 재판에의 길, 제2장 소송요건, 제3장 심판의 대상과 자료, 제4장 심리과정, 제5장 소송의 종료, 제6장 복잡한 소송형태, 제7장 상소 및 재심 등을 다루었다.
본서가 관련학문을 연구하는 모든 분들에게 실무를 가교하는 역할을 할 자료로 널리 이용되는 문헌으로 이용되기를 기원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홍기문(지은이)
전남대학교 법학과 졸업 전북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수료(법학박사) 독일 Erlangen-Nurnberg 대학교 및 Regensburg 대학교 수학 전남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및 행정대학원장 법무부 법무자문위원회 민사소송법개정특별분과위원회 위원 사법시험·군법무관시험·행정고시·변리사시험 출제위원 및 채점위원 대한민사법학회 회장 현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저서 및 주요논문 증명책임론 민사소송법 민사소송법 기본판례 전자상거래와 법률문제(공저) 인터넷이용자의 법적 보호(공저) 재외한인의 법적 지위제한과 분쟁해결(공저) 재외한인권익보호단체와 활동가네트워크(공저) 전문가로서 변호사의 민사책임 변론종결후의 승계인 신민사소송법의 전망 변호사강제주의 변호과오 헌법과 민사소송 중국민사소송법의 법리 등

목차
목차 제1장 재판에의 길 = 11 1. 소송과 비송 = 11 2. 민사소송과 신의칙 = 17 제2장 소송요건 = 31 1. 국제재판관할권 = 31 2. 법관의 기피 = 41 3. 법정관할 = 46 4. 합의관할 = 52 5. 소송의 이송 = 63 6. 당사자의 확정 = 73 7. 민법상 조합의 당사자능력 = 94 8. 소송능력 = 103 9. 당사자적격 = 110 10. 법정대리인과 임의대리인의 소송상 지위 = 132 11. 소송행위와 표현대리 = 135 제3장 심판의 대상과 자료 = 139 1. 중복제소의 금지 = 139 2. 소의 이익 = 159 3. 소송물론 = 181 4. 처분권주의 = 195 제4장 심리과정 = 206 1. 부인과 항변 = 206 2. 소송에 있어서 형성권의 행사 = 213 3. 소송계약 = 216 4. 변론주의 = 220 5. 석명권 = 237 6. 적시제출주의 = 250 7. 기일의 해태 = 257 8. 집중심리주의 = 264 9. 재판상 자백 = 266 10. 자유심증주의 = 279 11. 증명책임 = 294 12. 문서의 증거력 = 306 13. 문서제출명령 = 317 제5장 소송의 종료 = 323 1. 소의 취하 = 323 2. 청구의 포기와 인낙 = 339 3. 재판상 화해 = 349 4. 기판력의 시적 범위 = 368 5.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 = 379 6. 기판력의 주관적 범위 = 407 7. 반사적 효력 = 420 8. 판결의 편취 = 424 제6장 복잡한 소송형태 = 435 1. 소의 객관적 병합 = 435 2. 청구의 변경 = 454 3. 반소 = 473 4. 공동소송 = 485 5. 예비적 선택적 공동소송 = 519 6. 선정당사자 = 526 7. 보조참가 = 534 8. 독립당사자참가 = 554 9. 소송고지 = 585 10. 임의적 당사자의 변경 = 589 11. 참가승계 = 597 12. 인수승계 = 601 제7장 상소 및 재심 = 607 1. 상소의 이익 = 607 2.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 = 611 3. 부대항소 = 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