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80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546451 | |
005 | 20100805014208 | |
007 | ta | |
008 | 090420s2009 ulka 001c kor | |
020 | ▼a 9788971103715 ▼g 93370: ▼c \18,000 | |
035 | ▼a (KERIS)BIB000011628694 | |
040 | ▼a 211042 ▼c 211042 ▼d 244002 | |
082 | 0 4 | ▼a 379 ▼2 22 |
090 | ▼a 379 ▼b 2009 | |
100 | 1 | ▼a 안병영 |
245 | 1 0 | ▼a 교육복지정책론 / ▼d 안병영, ▼e 김인희 저. |
246 | 1 1 | ▼a Education welfare policy |
260 | ▼a 서울 : ▼b 다산 , ▼c 2009. | |
300 | ▼a 311 p. : ▼b 삽도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295-304)및 찾아보기(p. 305-311)수록 | |
653 | ▼a 교육 ▼a 복지 ▼a 정책 | |
700 | 1 | ▼a 김인희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9 2009 | Accession No. 15127664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육복지'라는 개념을 통해 그동안 우리 교육의 실천과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교육정의의 실현 문제, 학습자의 삶의 질 문제, 교육시스템의 교육적 생산성 문제 등을 진단하고 그 해법을 탐색하는 책이다.
교육복지라는 개념을 통해 관련된 문제들이 통합적, 체계적으로 정리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사고의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교육복지라는 새로운 눈을 통해 실제로 존재하나 그동안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였던 사각지대의 문제들을 무대 위로 끌어낼 수 있다.
이 책은 ‘교육복지’라는 개념을 통해 그동안 우리 교육의 실천과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교육정의의 실현 문제, 학습자의 삶의 질 문제, 교육시스템의 교육적 생산성 문제 등을 진단하고 그 해법을 탐색하는 하나의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우리 교육체제를 들여다보면서 갖게 되는 생각은 국민들의 가공할 교육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교육체제 속의 구성원, 특히 학습자들의 엄청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학습경험의 유의미성과 학습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반응은 그리 긍정적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우리 학생들이 OECD/PISA 국제학력비교에서 매번 최상위 수준의 성적을 보이면서도 학교에 대한 소속감, 과목에 대한 태도 등에서 매우 저조한 반응을 나타내고 있는 현상은 우리 교육의 역설이자 모순이며 심각한 왜곡현상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우려되는 문제 중의 하나는 우리 학생들이 학교생활 속에서 갖는 삶의 질이다. 이 삶의 질을 좌우하는 핵심요소는 학습경험의 유의미성이다. 우리 학생들은 과연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갖고 있는가? 우리 학생들이 더욱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하게 된다면 그들의 학업성취도와 성장은 얼마나 더 촉진될 수 있을 것인가?
이와 관련하여 또 하나 우려되는 점은 우리 학교의 심리?문화적 환경이다. 학교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소속감은 우리 학교가 겪는 복합적 증세의 한 단면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학교가 학생을 소외시키고 있거나 학생들이 학교를 소외시키는 현상이 존재하며, 곧 교육소외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학생의 교육적 필요를 최대한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교육의 제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결합하여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제공하려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학교에 대하여 학생들이 낮은 소속감을 나타내리라고는 상상할 수 없다. 우리 학교 안팎의 어디엔가 이러한 노력을 어렵게 하는 장애요인들이 있고 그로 인해 교육소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OECD/PISA 결과를 보면서 한편으로는 새로운 희망을 갖게 된다. 우리 교육이 지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태도와 학교에 대한 소속감이 높아진다면 우리 학생들의 학력은 지금보다도 훨씬 높아질 것이 분명하다. 이미 최상위권인 성적이 더 이상 크게 오르지는 않는다고 하더라도 우리 학생들의 삶의 질은 눈에 띄게 향상될 것이며, 그러한 변화는 그들의 잠재역량을 더욱 키우고 성장을 촉진하는 동시에 우리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교육복지’는 우리 교육의 문제를 진단하고 치유하여 학생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우리 교육의 생산성과 활력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사고의 틀을 제시하여 줄 것이다. 이러한 사고의 틀을 통해 우리 교육의 왜곡현상을 바로잡고 제도와 실천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노력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우리 교육은 그동안 양적으로 크게 발전하였고 이제는 질적인 도약을 꾀할 시점이라는 것은 이미 널리 공유되고 있는 인식이나, 질적 도약을 위해서는 이를 가능케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적용되어야 하며 ‘교육복지’가 바로 그 패러다임의 핵심요소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아마도 교육복지와 교육복지정책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최초의 책이 될 것이다. 그만큼 ‘교육복지’라는 영역이 우리 학계나 교육현장에서 중시되지 못하였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하겠다. 그러나, 독자들이 이 책을 읽으면서 느끼시겠지만 교육복지에서 다루는 문제들은 전혀 새로운 것들이 아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체험하고 고통 받고 있으며, 혹은 문제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소홀하게 지나쳐온 그러한 것들이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교육복지의 문제는 이미 여러 가지 다른 표현으로 논의되고 있기도 하다. 교육격차 및 차별 해소, 교육기회 균등, 교육의 형평성, 사회적 포용(social inclusion) 등과 관련하여 교육복지적 이슈들이 거론된다. 그렇다면 굳이 ‘교육복지’라는 비교적 새로운 용어를 사용하여 이를 재구성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적어도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는, 교육복지라는 개념을 통해 이들 관련된 문제들이 통합적, 체계적으로 정리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사고의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교육복지라는 새로운 눈을 통해 실제로 존재하나 그동안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였던 사각지대의 문제들을 무대 위로 끌어낼 수 있으며, 교육복지 실현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통하여 우리 교육시스템과 정책의 발전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둘째 이유는, 우리 교육이 특히 교육복지적인 부문에서 취약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미국과 같이 계층간, 집단간 교육격차 문제가 우리보다 더 심각한 나라도 있으나, 우리 교육은 또 다른 양상으로 교육소외의 문제를 심하게 앓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불만족, 학교에서의 학습과 삶의 유의미성 미흡, 교사들의 무력감 증대와 자긍심의 저하, 공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불만과 사교육 의존 심화 등으로 표현되는 우리 학교의 모습에서 바로 교육소외 현상의 심화, 확산을 느낄 수 있다. 이는 또한 우리 교육체제가 심각한 교육적 비효율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모든 해답을 제시하는 데에는 부족할 수 있다. 그러나, 먼저 교육소외의 문제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교육복지의 의미를 우리 교육자, 교육행정가, 학부모, 정치가, 그리고 일반국민들이 이해하고 공감한다면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건전하고 바람직한 의식적 토대가 형성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 이 책은 이와 같은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기여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그 의의를 찾고자 한다.
이 책의 구성은, 제1장에서 교육복지의 개념과 그 개념에서 파생되는 적용원리를 다루며, 제2장에서는 교육복지정책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높이기 위해 교육복지정책의 환경, 영역, 추진체계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주요 국제기구 및 외국의 교육복지정책 동향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 교육복지정책을 대상 집단 또는 현상에 따라 구분하여 주제별로 고찰하되, 정책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와 추진배경, 정책 및 제도 현황 등을 살펴보고 부분적으로 이에 대한 논평을 첨가하였다. 제4장에서는 교육복지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교육복지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실천과제와 실천과정에서 채택 가능한 접근법 또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교육복지의 학문적 연구 전망과 과제에 대하여 논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안병영(지은이)
지은이 안병영은 1941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하고 1970년 오스트리아 빈(Wien)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외국어대학교(1972~1975)와 연세대학교 행정학과(1975-2007) 교수로 재직했고, 한국행정학회 회장(1991), 한국사회과학연구협의회 회장(1998~2000)을 지냈다. 아울러 교육부장관(1995.12~1997.8),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2003.12~2005.1)으로 두 차례 국정에 참여했다. 정년 무렵(2006) 속초/고성으로 귀촌하여 여름에 농사짓고 겨울에 글을 쓰며, ‘인생 3모작’을 실험하고 있다. 저서로 『현대공산주의연구』, 『자유민주주의를 위한 변론』, 『자유와 평등의 변증법』, 『왜 오스트리아 모델인가』 등 다수가 있으며, 수상집으로 『기억속의 보좌 신부님』이 있다. 2014년에 ‘인촌상’을 수상했다.
김인희(지은이)
1960. 8. 1 서울 출생 경력 김인희 교육복지연구소 소장(2019~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교수(2005~2019)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교수(2001~2003) 교육부 사무관, 서기관, 과장 (1990~2005) *교육복지정책과장(2004~2005) 충남교육위원회 진흥계장(1986~1989) 행정고등고시 27회 합격(1983) 학력 미국 University of Virginia 교육학박사(2003)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1985)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졸업(1983) 활동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정책자문위원(교육복지분과위원장) 교육과학기술부 자체평가위원 서울시교육청 교육복지연구자문위원 충북교육청 교육복지정책위원 국민고충처리위원회 자문위원(행정문화분과) 재단법인 무지개청소년센터 이사 한국교육행정학회,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육인류학회, 한국교육정치학회 임원 한국사회정책학회 회원 저서 학교교육혁신론. 2008. ㈜한국학술정보 교육복지정책론 (공저, 안병영). 2009. 다산출판사 그들이 아닌 우리를 위한 복지 (공저). 2011. 학지사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 핸드북 (공저). 2013. 학지사 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과 전망 (공저). 2017.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Table of Contents
목차 Chapter 1 교육복지의 개념 = 13 1. 교육복지의 개념 = 15 2. 교육복지의 원리 = 30 Chapter 2 교육복지정책의 이해 = 39 1. 교육복지정책의 환경 = 41 2. 교육복지정책의 영역 = 43 3. 교육복지정책의 추진체계 = 44 4. 우리나라 교육복지정책 개관 = 50 5. 외국의 교육복지정책 동향 = 67 Chapter 3 주요 교육복지정책의 고찰 = 101 1. 교육기회의 접근 보장 : 국민기초교육수준 보장 = 103 가. 저소득층 교육지원 = 103 나. 유아교육·보육 = 117 다. 장애자 및 건강장애자 교육 = 121 라. 저학력 성인교육 = 134 마. 귀국자녀 교육 = 142 바. 새터민 청소년 교육 = 146 사. 외국인 근로자 자녀 교육 = 156 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 161 자. 기초학력 부진아 교육 = 166 2. 교육불평등 완화 : 교육양극화 해소 = 169 가. 계층간 교육격차 해소 = 169 나. 지역간 교육격차 해소 = 179 다. 정보화 격차 해소 및 사교육 불평등 완화 = 191 3. 교육부적응 해소 = 197 가. 학교부적응 예방 및 해소 = 197 나. 대안교육 활성화 = 212 4. 복지친화적 교육환경 조성 = 225 가. 학교의 교육복지역량 강화 = 225 나. 학교안전 및 학생보건관리 강화 = 239 Chapter 4 교육복지정책 추진의 문제와 대안 = 245 1. 문제점 = 247 2. 정책현황 : '2004 교육복지종합계획' = 249 3. 교육복지정책의 실천과제 = 253 4. 교육복지정책의 접근법 = 267 Chapter 5 교육복지의 전망과 과제 = 289 참고문헌 = 295 찾아보기 =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