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평생교육개론 / 개정판

평생교육개론 / 개정판 (Loan 4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종서, 저 김신일, 저 한숭희, 저 강대중, 姜大仲, 1971-, 저
Title Statement
평생교육개론 / 김종서 [외]지음
판사항
개정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교육과학사,   2009   (2011)  
Physical Medium
ix, 454 p. : 삽화 ; 24 cm
ISBN
9788925402758
General Note
공저자: 김신일, 한숭희, 강대중  
부록: 평생교육법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546191
005 20220425153315
007 ta
008 090325s2009 ggka b 001c kor
020 ▼a 9788925402758 ▼g 93370
035 ▼a (KERIS)BIB000011619287
040 ▼d 224010 ▼a 224010 ▼c 224010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74 ▼2 22
085 ▼a 374 ▼2 DDCK
090 ▼a 374 ▼b 2009z2
245 0 0 ▼a 평생교육개론 / ▼d 김종서 [외]지음
246 1 1 ▼a Introduction to lifelong education
250 ▼a 개정판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09 ▼g (2011)
300 ▼a ix, 454 p. : ▼b 삽화 ; ▼c 24 cm
500 ▼a 공저자: 김신일, 한숭희, 강대중
500 ▼a 부록: 평생교육법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김종서, ▼e▼0 AUTH(211009)100402
700 1 ▼a 김신일, ▼e▼0 AUTH(211009)31684
700 1 ▼a 한숭희, ▼e▼0 AUTH(211009)64990
700 1 ▼a 강대중, ▼g 姜大仲, ▼d 1971-, ▼e▼0 AUTH(211009)85559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09z2 Accession No. 11164723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4 2009z2 Accession No. 15127660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09z2 Accession No. 11164723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4 2009z2 Accession No. 15127660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평생교육법 개정을 계기로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10개 장을 12개 장으로 늘리고 초판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내용상의 중복문제도 가능한 대로 해소했다. 또 평생교육을 처음접하는 이들이 읽기 쉽도록 문장을 전체적으로 다듬었다. 각 장 끝에는 연구문제를 덧붙여 강의교재르 이 책을 사용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신일(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과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전공하고, 미국 피츠버그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음. 서울여자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한국교육사회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회장,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을 역임함.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명예회장. 「학습사회」(2020), 「평생교육론」(2019), 「서울대 김신일교수의 교육생각」(2006), 「학습사회의 교육학」(2005), 「평생교육학」(2001), 「세계속의 한국대학」(1999), 「시민의 교육학」(1995) 등의 논저가 있음.

황종건(지은이)

<평생교육개론>

한숭희(지은이)

교육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과정을 마쳤고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회교육이 평생학습으로 형태를 바꾸던 1990년대 중반 한국으로 돌아와 평생교육론의 이론구축에 기여하였다. 유럽 및 북미의 성인교육학자들과 폭넓은 교류를 나누어왔고, 최근에는 영국에서 발행되는 두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봉사하고 있다. 10여 년 전부터 유럽의 여러 대학의 객원교수와 방문교수를 역임했고, 최근에는 동아시아 사회교육을 공부하고 있다. 학교체계의 역사적 형성과정의 확장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평생교육체계의 형성사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드러나는 교육의 제도화 혹은 체계화 양상을 연구하고 있다. 교육학에 있어서 일반이론(general theory) 형성이 가능하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평생교육학 이론연구가 향후 학습시대의 교육학 일반이론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한 가지 성공적 사례가 되기를 희망한다. 1997년부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김종서(지은이)

<최신 교육학개론>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volume. vol.]----------
목차
머리말 = ⅲ
제1장 평생교육의 개념 
 1. 평생교육의 개념 = 2
 2. 평생교육의 특성 = 17
제2장 평생교육의 발전 과정
 1. 평생교육 발전의 배경 = 26
 2. 평생교육의 발전 과정 = 37
제3장 교육변화의 사회적 동인 
 1. 교육변화의 의미 = 59
 2. 지식사회의 출현과 평생교육 = 64
 3. 사회구조의 변화와 평생교육 = 74
 4. 세계화와 평생교육 = 85
제4장 변화하는 교육과 학습생활 
 1. 학교교육변화 = 98
 2. 성인교육의 확장 = 110
 3. 원격교육 : 새로운 교육양식 = 121
제5장 교수-학습 이론의 확장 
 1. 페다고지로부터 안드라고지로 = 134
 2. 성인의 학습능력 : 지능과 경험 = 141
 3. 사고의 전환 : 새로운 관점의 시도 = 156
제6장 평생교육 제도와 정책 
 1. 교육제도의 개혁방향 = 170
 2. 평생교육제도의 유형 = 175
 3. 법령과 행정구조 = 183
제7장 평생교육 정책과 문화
 1. 학습인증제도 = 215
 2. 국가 평생교육 진흥정책 = 226
 3. 평생학습 문화확산 = 237
제8장 평생교육과 성인교육 
 1. 평생교육, 사회교육, 성인교육 = 246
 2. 성인교육의 내용과 영역 = 251
 3. 인문교양교육 = 259
 4. 인문학의 위기와 평생교육 = 266
제9장 문해교육
 1. 문해의 개념 = 276
 2. 문해교육의 현황 = 280
 3. 외국의 문해교육 사업 및 정책 = 291
제10장 평생교육과 국제기구
 1. 유네스코 세계성인교육회의 = 308
 2. 유럽연합 = 329
 3. 국제 민간 성인교육단체의 활동 = 341
제11장 주요국가의 평생교육동향
 1. 영국 = 354
 2. 독일 = 363
 3. 덴마크 = 371
 4. 호주 = 377
 5. 미국 = 382
 6. 일본 = 387
제12장 평생교육연구의 쟁점과 전망
 1. 평생교육이 담론적 쟁송성 = 400
 2. 평생교육담론의 제도화: 뒤틀린 이념과 실제 = 412
 3. 평생교육의 연구 영역은 어디인가? = 418
부록 평생교육법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미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