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권 = 41
제1장 본서의 주제 = 42
제2장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神性)과 선재(先在)에 대한 개관 = 44
제3장 고대 영감을 받은 선지자들은 예수 그리스도라는 이름을 알고 존경했다 = 52
제4장 그리스도께서 모든 민족에게 전파한 신앙은 결코 예기치 않았거나 이상한 신앙이 아니었다 = 58
제5장 구세주가 인간사회에 나타나신 시대 = 61
제6장 예언되었던대로 주님의 시대에는 세습적으로 유대 민족을 다스리던 유대인 통치자가 끊어지고 최초로 외국인 헤롯이 그들을 다스렸다 = 63
제7장 왜 그리스도의 족보에 대한 복음서의 기록이 일치하지 않는가? = 66
제8장 신생아들에게 행한 헤롯의 잔인한 행위 및 그의 비참한 종말 = 70
제9장 빌라도의 시대 = 74
제10장 그리스도께서 복음을 전파하시던 시기에 활동한 대제사장들 = 75
제11장 세례 요한과 그리스도에 관한 증언 = 76
제12장 주님의 제자들 = 79
제13장 에뎃사(Edessa)의 임금 = 80
제2권 = 87
제1장 그리스도의 승천 이후 사도들의 행적 = 88
제2장 빌라도로부터 그리스도에 대한 보고를 받은 티베리우스(Tiberius)는 얼마나 감명을 받았는가? = 91
제3장 기독교 교리가 신속하게 전세계로 퍼질 수 있었던 배경 = 93
제4장 티베리우스의 뒤를 이어 황위에 오른 카이우스(가이오)는 헤롯을 추방하고 아그립바를 유대의 왕으로 임명하였다 = 94
제5장 필로는 유대인을 변호하기 위한 사절로 카이우스 황제에게 파견되었다 = 95
제6장 그리스도께 무엄한 일들을 행한 유대인들에게 임한 재난 = 97
제7장 빌라도의 자살 = 99
제8장 클라우디우스 시대에 발생한 기근 = 99
제9장 사도 야고보의 순교 = 100
제10장 사도들을 박해한 헤롯 아그립바에게 임한 하나님의 심판 = 101
제11장 사기꾼 드다(Theudas)와 그의 추종자들 = 103
제12장 오슬헤니아(Osrhoenians)의 여왕 헬렌 = 104
제13장 시몬 마구스(Simon Magus) = 104
제14장 로마에서 복음을 전파하는 베드로 = 106
제15장 마가복음 = 107
제16장 마가가 최초로 애굽주민에게 기독교를 전파하다 = 108
제17장 애굽의 금욕주의자들에 관한 필로의 기록 = 109
제18장 현재까지 전해내려오는 필로의 저서들 = 114
제19장 유월절에 예루살렘의 유대인들에게 임한 재난 = 117
제20장 네로 시대에 예루살렘에서 행해진 일 = 118
제21장 사도행전에 언급된 애굽인 = 119
제22장 바울은 로마로 압송되었으나 자신을 변론하여 무죄선언을 받았다 = 120
제23장 주님의 형제 야고보의 순교 = 121
제24장 안니아누스(Annianus)가 마가의 뒤를 이어 알랙산드리아 초대감독으로 임명되다 = 126
제25장 네로의 박해 때에 바울과 베드로는 로마에서 순교하였다 = 127
제26장 유대인들은 많은 재난을 당했고, 마침내 로마인과 전쟁에 돌입했다 = 129
제3권 = 132
제1장 사도들이 복음을 전파한 지역 = 132
제2장 로마교회를 다스린 최초의 인물 = 132
제3장 사도들의 서신 = 133
제4장 사도들의 초대 후계자 = 134
제5장 그리스도의 사망 이후에 있었던 유대인에 대한 마지막 포위공격 = 136
제6장 유대인들을 괴롭힌 흉년 = 138
제7장 그리스도의 예언 = 144
제8장 전쟁 전에 나타난 징조들 = 146
제9장 요세푸스, 그리고 그가 남긴 저서 = 149
제10장 요세푸스가 성서를 언급한 방법 = 150
제11장 야고보의 후임으로 시므온이 예루살렘교회를 다스렸다 = 152
제12장 베스파시안은 다윗의 후손들을 수색해내라고 명령하였다 = 152
제13장 로마의 제 2대 감독 아넨클레투스(Anencletus) = 153
제14장 알렉산드리아의 제 2대 감독 아빌리우스(Avilius) = 153
제15장 로마교회의 3대 감독 클레멘트(Clement) = 153
제16장 클레멘트의 서신 = 154
제17장 도미티안 치하에서의 박해 = 154
제18장 사도 요한과 계시록 = 155
제19장 도미티안은 다윗의 후손들을 살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 156
제20장 주님의 친척들 = 156
제21장 알렉산드리아의 제 3대 감독 세르돈(Cerdon) = 158
제22장 안디옥교회의 제 2대 감독 익나티우스(Ignatius) = 158
제23장 사도 요한에 관한 이야기 = 159
제24장 복음서의 순서 = 162
제25장 진서(眞書)로 인정된 성서와 인정되지 못한 성서 = 165
제26장 사기꾼 메난너(Meander) = 167
제27장 에비온종파(Ebionites) = 168
제28장 이교의 창시자 세린투스(Cerinthus) = 169
제29장 니콜라우스(Nicolaus)와 그의 추종자들 = 170
제30장 결혼생활을 한 사도들 = 172
제31장 요한과 빌립의 죽음 = 172
제32장 예루살렘 감독 시므온의 순교 = 174
제33장 트라잔황제는 기독교인 색출을 금지했다 = 176
제34장 로마교회의 제 4대 감독 유아레스투스(Euarestus) = 177
제35장 에루살렘교회이 제 3대 감독 저스투스(Justus) = 178
제36장 익나티우스(Ignatius)의 서신 = 178
제37장 그 시대까지 생존한 복음전도자들 = 181
제38장 클레멘트의 서신, 그리고 그의 이름을 도용한 서신들 = 182
제39장 파피아스(Papias)의 저작물 = 183
제4권 = 190
제1장 트라잔 시대에 활약한 알렉산드리아와 로마의 감독들 = 190
제2장 이 무렵에 있었던 유대인들의 재난 = 190
제3장 아드리안황제 때에 신앙을 옹호하는 글을 쓴 작가들 = 191
제4장 아드리안황제 시대에 활동한 로마와 알렉산드리아의 감독들 = 192
제5장 주님의 시대로부터 이 시대에 이르기까지의 예루살렘 감독들 = 193
제6장 아드리안황제 시대에 있었던 마지막 유대 공격 = 194
제7장 이 시기에 거짓교리를 가르친 지도자들 = 195
제8장 당시에 활약한 교회의 저술가들 = 198
제9장 정당한 재판을 거치지 않고서는 기독교인을 처형하지 말라고 명령한 하드리안의 서신 = 200
제10장 안토닌(Antonine)시대에 활약한 로마와 알렉산드리아의 감독 = 201
제11장 이 시대에 활약한 이단의 우두머리들 = 202
제12장 안토니누스 황제에 보낸 저스틴의 변증 = 204
제13장 기독교 교리에 관해 아시아 의회에 보낸 안토닌의 서신 = 205
제14장 사도적 교부, 폴리갑 = 207
제15장 폴리갑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서머나에서 순교하다 = 209
제16장 그리스도의 교리를 증거하며 순교한 현인(賢人) 저스틴 = 218
제17장 저스틴의 저서에 언급된 순교자들 = 220
제18장 우리에게 전해진 저스틴의 저서들 = 223
제19장 베루스 시대에 활동한 로마와 알렉산드리아 교회의 감독 = 225
제20장 안디옥교회의 감독 = 225
제21장 이 시기에 활약한 교회의 작가들 = 226
제22장 헤게시푸스, 그리고 그가 언급한 인물들 = 226
제23장 고린도교회 감독 디오니시우스와 그의 서신들 = 229
제24장 안디옥의 감독 데오필루스 = 232
제25장 필립(Philip)과 모데스투스(Modestus) = 232
제26장 멜리토(Melito), 그리고 그가 기록한 사건들 = 233
제27장 히에라폴리스의 감독 아폴리나리스(Apollinaris) = 237
제28장 무사누스(Musanus)와 그의 저서들 = 237
제29장 이단자 타티아누스(Tatianus) = 238
제30장 시리아인 바르데사네스(Bardesanes), 그리고 현존하는 그의 저서들 = 239
제5권 = 242
제1장 신앙을 위해 고난 받은 고을 지방 사람들 = 243
제2장 배교했던 신자들은 경건한 순교자들 때문에 신앙을 되찾았다 = 257
제3장 순교자 아탈루스의 꿈에 나타난 환상 = 260
제4장 순교자들은 서신 속에서 이레니우스를 칭찬했다 = 261
제5장 하나님께서는 형제들의 기도에 응답하여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게 비를 내리셨다 = 262
제6장 로마교회 감독 일람표 = 264
제7장 이 시대에 신자들이 행한 기적 = 265
제8장 성서에 관한 이레니우스의 진술 = 266
제9장 코모두스(Commodus)황제 시대에 활약한 감독들 = 269
제10장 철학자 판태누스(Pantaenus) = 270
제11장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 271
제12장 예루살렘교회의 감독들 = 272
제13장 로도(Rhodo), 그리고 마르시온(Marcion)이 일으킨 불화에 관한 그의 기록 = 273
제14장 브리기아의 거짓 선지자들 = 275
제15장 로마에서 발흥한 블라스투스(Blastus) 분파 = 276
제16장 몬타누스의 사건과 그의 거짓 선지자들 = 276
제17장 밀티아데스(Miltiades)와 그의 저서 = 282
제18장 아폴로니우스(Apollonius)도 브리기아의 이단을 반박하였다 = 283
제19장 브리기아 이단에 관한 세라피온(Serapion)의 견해 = 287
제20장 로마의 종파분립론자들을 반박한 이레니우스의 저서 = 288
제21장 아폴로니우스 로마에서 순교하다 = 290
제22장 이 시대에 활약한 감독들 = 291
제23장 유월절에 관해 야기된 문제 = 292
제24장 아시아 교회들의 분쟁 = 294
제25장 유월절에 대한 일치된 견해 = 298
제26장 이레니우스의 훌륭한 저서들 = 298
제27장 이 시대에 활약한 인물들의 저서 = 299
제28장 아르테몬(Artemon)의 이단을 추종한 사람들: 그들의 특성 및 성경을 변조하려는 시도 = 300
제6권 = 306
제1장 세베루스(Severus)시대의 박해 = 306
제2장 오라겐이 어린시절에 받은 교육 = 306
제3장 그는 대단히 젊었을 때부터 복음을 전파하였다 = 309
제4장 오리겐의 가르침을 받은 초심자 중에서 순교한 인물들 = 312
제5장 포타미애나(Potamiaena) = 312
제6장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 314
제7장 역사가 유다(Judas) = 315
제8장 오리겐의 단호한 행위 = 315
제9장 나르시수스가 행한 기적 = 317
제10장 예루살렘의 감독들 = 318
제11장 알렉산더(Alexander) = 319
제12장 세라피온(Serapion)과 그의 저서들 = 321
제13장 클레멘트의 저서 = 322
제14장 클레멘트가 언급한 책들 = 324
제15장 헤라클라스(Heraclas) = 327
제16장 오리겐의 헌신적인 성경연구 = 327
제17장 성경번역자 심마쿠스(Symmachus) = 328
제18장 암브로스(Ambrose) = 329
제19장 오리겐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 = 330
제20장 현존학 있는 그 시대 작가들의 저서 = 334
제21장 이 시대에 활약한 감독들 = 335
제22장 힙폴리투스(Hippolytus)의 저서 = 336
제23장 오리겐의 정열, 그리고 사제로의 승진 = 337
제24장 오리겐이 알렉산드리아에서 저술한 주석 = 338
제25장 오리겐의 선경에 대한 개관 = 338
제26장 알렉산드리아의 감독 헤라클라스 = 342
제27장 오리겐에 대한 감독들의 배려 = 342
제28장 막시미누스(Maximinus)황제 시대의 박해 = 343
제29장 파비아누스가 놀라운 신적인 메시지에 따라 로마감독에 임명되다 = 343
제30장 오리겐의 제자들 = 344
제31장 아프리카누스(Africanus) = 345
제32장 오리겐이 팔레스틴에서 저술한 주석들 = 346
제33장 베릴루스의 오신(誤信) = 347
제34장 필립황제 = 348
제35장 디오니시우스가 헤라클라스의 후임으로 감독이 되었다 = 348
제36장 오리겐이 저술한 그밖의 저서들 = 349
제37장 아라비아인들의 불화 = 350
제38장 이단 헬세사이테스(Helcesaites) = 350
제39장 데시우스(Decius)의 박해 = 351
제40장 디오니시우스에게 일어난 사건 = 352
제41장 알렉산드리아의 순교자들 = 354
제42장 디오니시우스가 밝힌 다른 사건들 = 359
제43장 노바투스의 태도와 관습 및 그의 이단 = 361
제44장 세라피온에 대한 디오니시우스의 보고 = 367
제45장 디오니시우스가 노바투스에게 보낸 서신 = 368
제46장 디오니시우스가 쓴 다른 서신들 = 369
제7권 = 372
제1장 데시우스와 갈루스의 사악함 = 372
제2장 당시 로마교회의 감독들 = 372
제3장 키프리안 및 그와 관련된 감독들은 이단적 오류로부터 돌아온 사람들은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 373
제4장 디오니시우스가 이 주제로 보낸 서신 = 373
제5장 박해 뒤에 찾은 평화 = 374
제6장 사벨리우스의 이단 = 376
제7장 이단자들의 가증스러운 오신, 디오니시우스의 거룩한 환상, 그리고 그에게 주어진 교회의 법규 = 376
제8장 노바투스의 이단 = 378
제9장 이단자들의 세례 = 379
제10장 발레리안 황제의 박해 = 381
제11장 디오니시우스와 이집트 사람들이 겪은 고난 = 383
제12장 팔레스틴의 가이사랴에서 순교한 사람들 = 390
제13장 갈리에누스 시대에 찾아온 평화 = 390
제14장 이 시대에 활동한 감독들 = 391
제15장 마리누스(Marinus)가 가이사랴에서 순교하다 = 392
제16장 아스티리우스(Astyrius) = 393
제17장 파네아스에 나타난 주님의 이적 = 394
제18장 혈우병에 걸린 여인이 세운 조상(彫像) = 394
제19장 야고보가 맡았던 감독직 = 395
제20장 절기에 관한 디오니시우스의 서신들: 그는 그 서신에서 유월절에 관한 규범을 제시했다 = 396
제21장 알렉산드리아에서 발생한 사건들 = 396
제22장 페스트의 창궐 = 398
제23장 갈리에누스의 통치 = 401
제24장 네포스(Nepos)와 그의 분파 = 402
제25장 요한계시록 = 405
제26장 디오니시우스의 서신들 = 410
제27장 사모사타의 바울: 그가 안디옥에 소개한 이단 = 411
제28장 당시의 훌륭한 감독들 = 412
제29장 한 때 소피스트였던 장로 말키온(Malchion)의 논박을 받은 바울은 해임되었다 = 413
제30장 바울을 대적한 공의회의 서신 = 413
제31장 이 시기에 시작된 이단 마니교 = 419
제32장 우리 시대의 훌륭한 교회작가들, 그리고 이들 중에서 교회의 파괴 때까지 생존한 사람들 = 420
제8권 = 430
제1장 우리 시대의 박해 이전에 있었던 사건들 = 430
제2장 교회의 파괴 = 432
제3장 이 박해 때에 순교한 사람들이 겪은 투쟁 = 433
제4장 도처에서 훌륭한 순교자들이 신앙을 위해 싸우다가 순교의 면류관을 썼다 = 435
제5장 니코메디아(Nicomedia) 사건 = 436
제6장 궁중의 신자들 = 437
제7장 베니게에서 고난받은 이집트인들 = 439
제8장 이집트에서 박해를 받은 사람들 = 441
제9장 테바이스(Thebais)의 순교자들 = 442
제10장 알렉산드리아의 순교자들에 관해 기록한 필레아스(Phileas)의 저서 = 443
제11장 브리기아 지방에서 있었던 사건들 = 447
제12장 많은 형제들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고통을 당했다 = 447
제13장 신앙의 실체를 피로 증거한 성직자들 = 450
제14장 박해자들의 품행 = 454
제15장 이교도들에게 발생한 사건들 = 458
제16장 사태의 호전 = 458
제17장 황제들의 뉘우침 = 460
순교자들의 책 = 468
제1장 프로코피우스, 알페우스, 작케우스 = 468
제2장 순교자 로마누스(Romanus) = 470
제3장 티모데우스, 아가피우스, 델카 및 여덟 순교자들 = 471
제4장 아피아누스(Apphianus) = 473
제5장 순교자 울피안과 이데시우스 = 476
제6장 순교자 아가피우스 = 477
제7장 순교자 데오도시아, 돔니누스, 아욱센티우스 = 479
제8장 발렌티나와 파울루스, 그리고 여러 증성자들 = 481
제9장 더욱 거세어진 박해의 불길 순교자 안토니누스, 제비나, 게르마누스 = 484
제10장 금욕주의자 페트루스, 마르시온주의자 아스클레피우스, 그밖의 순교자들 = 487
제11장 팜필루스와 여러 순교자 = 488
제12장 교회의 고위 성직자들 = 495
제13장 실바누스와 존, 그리고 30명의 순교자들 = 496
제9권 = 500
제1장 허울뿐인 관용 = 500
제2장 사태의 역전 = 502
제3장 다시 안디옥에 세워진 신상(神像) = 503
제4장 기독교인들을 대적하기 위해 발표된 법령 = 503
제5장 거짓법령 = 504
제6장 이 시기에 순교한 사람들 = 505
제7장 우리를 박해하기 위해 발표되고 기둥에 새겨진 법령들 = 506
제8장 그 이후의 사건들: 기근, 페스트, 전쟁 = 509
제9장 폭군들의 죽음: 그들이 남긴 마지막 말 = 512
제10장 신실한 황제들의 승리 = 518
제11장 신앙의 원수들의 완전한 멸망 = 522
제10권 = 526
제1장 하나님의 개입으로 주어진 평화 = 526
제2장 교회의 회복 = 528
제3장 곳곳에서 개최된 헌당식 = 528
제4장 교회의 영광된 상태를 찬양하는 찬사 = 529
제5장 황제의 칙령 = 550
제6장 기독교인들의 재산에 관한 칙령 = 556
제7장 성직자들에게 부여된 권리와 면제특권 = 557
제8장 리시니우스의 악한 변화와 죽음 = 558
제9장 콘스탄틴의 승리, 그리고 그의 통치 하에 로마제국 전역에 임한 축복 = 562
색인
연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