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 ⅳ
1장 서론 = 1
1.1 본서의 목적 = 1
1.2 본서의 독창성 = 3
1.3 연구 방법 및 내용, 학문적 기여 = 4
1.4 본서의 구성 = 7
1부 일본어 분석
2장 일본어의 중간 구문 = 13
2.1 들어가기 = 13
2.2 영어 중간 구문의 제 특징 = 13
2.3 일본어 중간 구문의 형태적 특징 = 19
2.4 DO동사와 CAUSE동사 = 22
2.5 일본어 중간 구문의 통사적 특징 = 26
2.5.1 상태성 = 27
2.5.2 동작주의 함축(implicit agent) = 28
2.5.3 총칭성 = 32
2.5.4 난이 부사 = 34
2.6 나오기 = 35
3장 일본어의 가능 구문과 중간 가능 구문 = 37
3.1 들어가기 = 37
3.2 선행 연구의 검토 및 문제의 제기 = 38
3.2.1 중간 가능 구문을 가능 구문의 일종으로 보는 연구 = 38
3.2.2 중간 가능 구문을 가능 구문에서 구별하는 연구 = 41
3.3 가능 구문과 중간 가능 구문의 비교 = 42
3.3.1 형태적 기준에 의한 비교 = 44
3.3.2 통사적 기준에 의한 비교 = 45
3.3.3 의미적 기준에 의한 비교 = 50
3.3.4 상적(aspect) 특징에 의한 비교 = 57
3.3.5 부사 = 62
3.4 나오기 = 63
4장 일본어의 자동사 구문과 중간 자동사 구문 = 67
4.1 들어가기 = 67
4.2 자동사 구문과 중간 자동사 구문의 형태ㆍ통상ㆍ의미ㆍ상적 특징의 비교 = 69
4.2.1 중간 자동사와 자동사의 형태적 특징 비교 = 72
4.2.2 통사적 특징에 의한 비교 = 74
4.2.3 의미 특징의 비교 = 80
4.2.4 상(aspect)의 비교 = 84
4.2.5 부사의 유무 = 90
4.3 확산 형태론과 중간 자동사 = 91
4.4 나오기 = 96
5장 일본어의 총칭문과 중간 구문 = 97
5.1 들어가기 = 97
5.2 총칭문과 균질성의 조건 = 99
5.3 존재적 총칭문과 중간 구문 = 103
5.4 존재적 총칭문과 중간 구문의 차이 = 113
5.5 나오기 = 116
6장 일본어 중간 구문과 조사 'で'의 의미ㆍ통사적 제약 = 119
6.1 들어가기 = 119
6.2 조사 'で'의 의미 용법 = 120
6.3 중간 구문과 조사'で'의 의미ㆍ통사적 제약 = 122
6.3.1 목적어의 제약과 중간 구문 = 123
6.3.2 조사 'で'와 동작주의 함축 = 125
6.3.3 조사 'で'와 상태 동사 = 127
6.4 조사 'で'와 총칭성 = 130
6.5 조사 'で'의 공간 인식 구조와 중간 구문 = 133
6.6 나오기 = 139
7장 일본어 중간 구문에 나타나는 조사 'で'와 'に'의 의미ㆍ통사적 제약 = 141
7.1 들어가기 = 141
7.2 조사 'で'와 'に'의 의미 용법과 공간 인식 구조 = 142
7.3 중간 구문에 나타나는 조사 'で', 'に'의 의미ㆍ통사적 제약 = 145
7.3.1 조사 'で', 'に'와 중간 구문의 목적어 제약 = 145
7.3.2 중간 구문의 동작주, 원인 및 기준의 의미를 지니는 조사 で', 'に'의 명시 가능성 = 146
7.3.3 조사 'で', 'に'와 상(aspect) = 149
7.4 조사 'で', 'に'와 총칭성 = 151
7.5 나오기 = 160
8장 일본어의 재귀 중간 구문 = 163
8.1 들어가기 = 163
8.2 선행 연구 = 164
8.3 재귀 중간 구문과 관련 구문의 관계 = 167
8.4 Kemmer(1994)의 개념적 분리 가능성과 '사건의 상술' = 170
8.5 분석 = 173
8.6 나오기 = 183
9장 일본어의 의사 중간 가능 구문 = 185
9.1 들어가기 = 185
9.2 의사 중간 가능 동사의 제 특징 = 187
9.2.1 형태적 특징 = 188
9.2.2 명사구 이동 = 191
9.2.3 동작주의 함축 = 192
9.2.4 주어와 술어의 의미 관계 = 195
9.2.5 상태성 = 196
9.3 의사 중간 가능 구문의 설정 의의 = 198
9.4 나오기 = 202
2부 일본어 이외의 중간 구문 분석: 범 언어적 고찰
10장 독일어의 중간 구문 = 207
10.1 들어가기 = 207
10.2 선행 연구의 논점 및 문제의 제기 = 209
10.3 본 고찰의 한계와 담론 활성화에 대한 기대 = 211
10.3.1 영어와 독일어 중간 구문의 성립 제약 비교 = 212
10.3.2 동작주의 함축 = 219
10.3.3 중간 구문과 상태성 = 221
10.3.4 중간 구문의 피동 및 가능의 서법 조동사의 내포 및 부사의 생기 가능성 = 226
11장 러시아어의 중간 구문 = 227
11.1 들어가기 = 227
11.2 동작주의 함축 = 228
11.3 중간 동사의 형성 제약 = 230
11.4 상태성 = 231
11.5 총칭성 = 233
11.6 가능의 서법 조동사, 부사 = 235
11.7 나오기 = 235
12장 프랑스어의 중간 구문 = 249
12.1 들어가기 = 249
12.2 영어와 일본어 중간 구문의 제 특징 = 251
12.3 프랑스어 중간 구문의 특징 = 254
12.4 문제의 제기 = 257
12.5 사건과 속성 = 260
12.6 주어의 속성과 행위의 속성 = 264
12.7 프랑스어 중간 구문에 나타나는 목적절과 동작주 지향의 부사 = 265
12.8 나오기 = 272
13장 스페인어의 중간 구문 = 281
13.1 들어가기 = 281
13.2 선행 연구의 논점 및 문제의 제기 = 285
13.2.1 朴淑姬(2001)의 연구 = 285
13.2.2 朴淑姬(2001)의 문제점 = 287
13.3 중간 동사의 의미 유형 = 289
13.4 주어, 관사, 지시어 = 298
13.5 상태상과 중간 동사 = 300
13.6 동작주의 함축 = 303
13.7 총칭성(genericity) = 307
13.8 난이 부사, 서법 조동사 = 309
13.9 나오기 = 311
14장 이탈리아어의 중간 구문 = 313
14.1 들어가기 = 313
14.2 선행 연구의 검토 및 문제의 제기 = 315
14.3 중간 동사의 의미 유형 = 319
14.4 상태상과 중간 동사 = 326
14.5 동작주의 함축 = 328
14.6 총칭성과 중간 구문 = 330
14.7 난이 부사와 서법 조동사, 중간 구문 = 331
14.8 나오기 = 332
15장 한국어의 중간 구문 = 333
15.1 들어가기 = 333
15.2 선행 연구의 개관 및 문제의 제기 = 335
15.2.1 Park(1994)의 문제점 = 335
15.2.2 Cho(1993, 1995)의 문제점 = 338
15.3 한국어에의 적용 = 341
15.3.1 DO동사와 CAUSE동사 = 341
15.3.2 명사구 이동, 지시어, 주제 표지 '은/는' = 343
15.3.3 상태 동사 = 345
15.3.4 동작주의 함축 = 349
15.3.5 총칭성 = 353
15.3.6 난이 부사 = 355
15.4 중간 피동 구문, 중간 자동사 구문의 설정 의의 = 356
15.5 관련 구문과 비교 = 359
15.5.1 중간 자동사 구문과 중간 피동 구문의 비교 = 359
15.5.2 자동사 구문과의 비교 = 360
15.5.3 피동 구문과의 비교 = 360
15.5.4 자발 구문과의 비교 = 361
15.6 나오기 = 363
16장 중국어의 중간 구문 = 365
16.1 들어가기 = 365
16.2 선행 연구의 검토 및 문제의 제기 = 367
16.3 중국어 중간 동사의 통사적 특징 = 373
16.4 중국어 중간 구문의 상적 특징 = 375
16.5 중국어의 중간 구문과 총칭성 = 379
16.6 모댈리티와 난이 부사 = 381
16.7 나오기 = 382
17장 베트남어의 중간 구문 = 385
17.1 들어가기 = 385
17.2 베트남어의 특징 = 385
17.3 베트남어 중간 구문의 형태적 특징 = 387
17.4 동작주의 함축과 중간 구문 = 389
17.5 베트남어 중간 구문의 상적 특징 = 392
17.6 베트남어 중간 구문과 총칭성 = 394
17.7 베트남어의 중간 구문과 난이 부사 = 395
17.8 나오기 = 396
3부 언어 간의 대조 분석
18장 의사 중간 가능 구문의 일영 대조 = 409
18.1 들어가기 = 409
18.2 일본어와 영어의 비교ㆍ대조 = 410
18.2.1 형태적 특징 = 411
18.2.2 명사구 이동 = 414
18.2.3 동작주의 함축 = 418
18.2.4 주어와 술어의 의미 관계 = 421
18.2.5 상태 동사 = 426
18.3 언어의 보편적 특징과 일본어 의사 중간 가능적 표현 원리 = 429
18.4 나오기 및 금후의 과제 = 432
19장 의사 중간 가능 구문의 일한 대조 = 433
19.1 들어가기 = 433
19.2 일본어의 의사 중간 가능 구문에 상당하는 한국어 구문의 형태적 특징 및 문제의 제기 = 434
19.2.1 형태적 특징 = 434
19.2.2 Park(1994)의 문제점 = 438
19.3 명사구 이동 = 440
19.4 동작주의 함축 = 444
19.5 주어와 술어의 의미 관계 = 446
19.6 상태 동사 = 447
19.7 나오기 = 452
20장 결론 = 453
참고문헌 = 463
찾아보기 =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