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중간 구문의 개별 언어 분석 및 범 언어적 분석 (Loan 1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천호재 千昊載 , 1964-
Title Statement
중간 구문의 개별 언어 분석 및 범 언어적 분석 / 천호재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   2009.  
Physical Medium
xv, 479 p. ; 23 cm.
기타표제
어휘의미론 연구로 언어 표현과 형태·통사·의미 등과의 상관관계를 고찰.
ISBN
978895726673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63-475)및 색인수록
000 00691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543766
005 20100805012509
007 ta
008 090630s2009 ulk b 001a kor
020 ▼a 9788957266731
035 ▼a (KERIS)BIB000011696826
040 ▼a 211032 ▼d 211009
082 0 4 ▼a 415 ▼2 22
090 ▼a 415 ▼b 2009z2
100 1 ▼a 천호재 ▼g 千昊載 , ▼d 1964- ▼0 AUTH(211009)91452
245 1 0 ▼a 중간 구문의 개별 언어 분석 및 범 언어적 분석 / ▼d 천호재 지음.
246 1 3 ▼a 어휘의미론 연구로 언어 표현과 형태·통사·의미 등과의 상관관계를 고찰.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9.
300 ▼a xv, 479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463-475)및 색인수록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5 2009z2 Accession No. 11154436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천호재(지은이)

계명대학교 인문국제대학 일본어일본학과 교수 대한일어일문학회 편집 위원 한국일어일문학회 편집 위원 일본 도호쿠(東北)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언어학박사(ph.D) [주요 논저] 한국어의 중간 자동사 구문과 중간 수동 구문에 관한 연구(2002) 어학연구, 38(1), pp.211-239. 日本語の総称文と中間構文(2007) 일어일문학연구, 63(1), pp.551-569. 英語のHAVE構文の分析(2007) 言語学論集16, pp.31-42. 日本語の自動詞文と中間自動詞文(2007)일어일문학연구61(1), pp.317-340. 일본어와 중국어 인식구문의 통사적 특질(2008) 동북아문화연구14, pp. 525-544. 일본어 자발문의 유형론적 분석(2008) 한국문화사(2009 문화체육관광부 우수저서) 인식 조동사 구문의 보편적 특징(2009) 한국문화사 일본어 학습에 대한 의식(2009) 한국문화사 중간 구문의 개별 언어 분석 및 범언어적 분석(2009) 한국문화사 인터넷 기반 일본어교육의 가능성과 연구 방법(2011) 한국문화사 의미수동화조작의 보편적 특징(2012) 한국문화사 일본어교육론(2012) 어문학사 언어의 이해(2013) 어문학사 일본문화의 이해와 일본어교육(2014) 역락 일본어의 態voice와 복문(2015) 역락(2016 세종도서학술부문 우수저서) 언어문화로 본 일본사정의 이해(2016) 역락 일본어통번역기초(2017) 역락 라디오 명작 드라마로 배우는 일본어(2017) 역락 웹기반 일본어 리터러시(2017) 역락 웹 동영상으로 일본어 듣고 독해하기(2018) 역락 시청각으로 배우는 일본어(2018) 역락 일본어통번역 연습(2018) 역락 일본어학의 이해(2019) 어문학사 일본어 음성의 이해(2019) 신아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저자 서문 = ⅳ
1장 서론 = 1
 1.1 본서의 목적 = 1
 1.2 본서의 독창성 = 3
 1.3 연구 방법 및 내용, 학문적 기여 = 4
 1.4 본서의 구성 = 7
1부 일본어 분석
 2장 일본어의 중간 구문 = 13
  2.1 들어가기 = 13
  2.2 영어 중간 구문의 제 특징 = 13
  2.3 일본어 중간 구문의 형태적 특징 = 19
  2.4 DO동사와 CAUSE동사 = 22
  2.5 일본어 중간 구문의 통사적 특징 = 26
   2.5.1 상태성 = 27
   2.5.2 동작주의 함축(implicit agent) = 28
   2.5.3 총칭성 = 32
   2.5.4 난이 부사 = 34
  2.6 나오기 = 35
 3장 일본어의 가능 구문과 중간 가능 구문 = 37
  3.1 들어가기 = 37
  3.2 선행 연구의 검토 및 문제의 제기 = 38
   3.2.1 중간 가능 구문을 가능 구문의 일종으로 보는 연구 = 38
   3.2.2 중간 가능 구문을 가능 구문에서 구별하는 연구 = 41
  3.3 가능 구문과 중간 가능 구문의 비교 = 42
   3.3.1 형태적 기준에 의한 비교 = 44
   3.3.2 통사적 기준에 의한 비교 = 45
   3.3.3 의미적 기준에 의한 비교 = 50
   3.3.4 상적(aspect) 특징에 의한 비교 = 57
   3.3.5 부사 = 62
  3.4 나오기 = 63
 4장 일본어의 자동사 구문과 중간 자동사 구문 = 67
  4.1 들어가기 = 67
  4.2 자동사 구문과 중간 자동사 구문의 형태ㆍ통상ㆍ의미ㆍ상적 특징의 비교 = 69
   4.2.1 중간 자동사와 자동사의 형태적 특징 비교 = 72
   4.2.2 통사적 특징에 의한 비교 = 74
   4.2.3 의미 특징의 비교 = 80
   4.2.4 상(aspect)의 비교 = 84
   4.2.5 부사의 유무 = 90
  4.3 확산 형태론과 중간 자동사 = 91
  4.4 나오기 = 96
 5장 일본어의 총칭문과 중간 구문 = 97
  5.1 들어가기 = 97
  5.2 총칭문과 균질성의 조건 = 99
  5.3 존재적 총칭문과 중간 구문 = 103
  5.4 존재적 총칭문과 중간 구문의 차이 = 113
  5.5 나오기 = 116
 6장 일본어 중간 구문과 조사 'で'의 의미ㆍ통사적 제약 = 119
  6.1 들어가기 = 119
  6.2 조사 'で'의 의미 용법 = 120
  6.3 중간 구문과 조사'で'의 의미ㆍ통사적 제약 = 122
   6.3.1 목적어의 제약과 중간 구문 = 123
   6.3.2 조사 'で'와 동작주의 함축 = 125
   6.3.3 조사 'で'와 상태 동사 = 127
  6.4 조사 'で'와 총칭성 = 130
  6.5 조사 'で'의 공간 인식 구조와 중간 구문 = 133
  6.6 나오기 = 139
 7장 일본어 중간 구문에 나타나는 조사 'で'와 'に'의 의미ㆍ통사적 제약 = 141
  7.1 들어가기 = 141
  7.2 조사 'で'와 'に'의 의미 용법과 공간 인식 구조 = 142
  7.3 중간 구문에 나타나는 조사 'で', 'に'의 의미ㆍ통사적 제약 = 145
   7.3.1 조사 'で', 'に'와 중간 구문의 목적어 제약 = 145
   7.3.2 중간 구문의 동작주, 원인 및 기준의 의미를 지니는 조사 で', 'に'의 명시 가능성 = 146
   7.3.3 조사 'で', 'に'와 상(aspect) = 149
  7.4 조사 'で', 'に'와 총칭성 = 151
  7.5 나오기 = 160
 8장 일본어의 재귀 중간 구문 = 163
  8.1 들어가기 = 163
  8.2 선행 연구 = 164
  8.3 재귀 중간 구문과 관련 구문의 관계 = 167
  8.4 Kemmer(1994)의 개념적 분리 가능성과 '사건의 상술' = 170
  8.5 분석 = 173
  8.6 나오기 = 183
 9장 일본어의 의사 중간 가능 구문 = 185
  9.1 들어가기 = 185
  9.2 의사 중간 가능 동사의 제 특징 = 187
   9.2.1 형태적 특징 = 188
   9.2.2 명사구 이동 = 191
   9.2.3 동작주의 함축 = 192
   9.2.4 주어와 술어의 의미 관계 = 195
   9.2.5 상태성 = 196
  9.3 의사 중간 가능 구문의 설정 의의 = 198
  9.4 나오기 = 202
2부 일본어 이외의 중간 구문 분석: 범 언어적 고찰
 10장 독일어의 중간 구문 = 207
  10.1 들어가기 = 207
  10.2 선행 연구의 논점 및 문제의 제기 = 209
  10.3 본 고찰의 한계와 담론 활성화에 대한 기대 = 211
   10.3.1 영어와 독일어 중간 구문의 성립 제약 비교 = 212
   10.3.2 동작주의 함축 = 219
   10.3.3 중간 구문과 상태성 = 221
   10.3.4 중간 구문의 피동 및 가능의 서법 조동사의 내포 및 부사의 생기 가능성 = 226
 11장 러시아어의 중간 구문 = 227
  11.1 들어가기 = 227
  11.2 동작주의 함축 = 228
  11.3 중간 동사의 형성 제약 = 230
  11.4 상태성 = 231
  11.5 총칭성 = 233
  11.6 가능의 서법 조동사, 부사 = 235
  11.7 나오기 = 235
 12장 프랑스어의 중간 구문 = 249
  12.1 들어가기 = 249
  12.2 영어와 일본어 중간 구문의 제 특징 = 251
  12.3 프랑스어 중간 구문의 특징 = 254
  12.4 문제의 제기 = 257
  12.5 사건과 속성 = 260
  12.6 주어의 속성과 행위의 속성 = 264
  12.7 프랑스어 중간 구문에 나타나는 목적절과 동작주 지향의 부사 = 265
  12.8 나오기 = 272
 13장 스페인어의 중간 구문 = 281
  13.1 들어가기 = 281
  13.2 선행 연구의 논점 및 문제의 제기 = 285
   13.2.1 朴淑姬(2001)의 연구 = 285
   13.2.2 朴淑姬(2001)의 문제점 = 287
  13.3 중간 동사의 의미 유형 = 289
  13.4 주어, 관사, 지시어 = 298
  13.5 상태상과 중간 동사 = 300
  13.6 동작주의 함축 = 303
  13.7 총칭성(genericity) = 307
  13.8 난이 부사, 서법 조동사 = 309
  13.9 나오기 = 311
 14장 이탈리아어의 중간 구문 = 313
  14.1 들어가기 = 313
  14.2 선행 연구의 검토 및 문제의 제기 = 315
  14.3 중간 동사의 의미 유형 = 319
  14.4 상태상과 중간 동사 = 326
  14.5 동작주의 함축 = 328
  14.6 총칭성과 중간 구문 = 330
  14.7 난이 부사와 서법 조동사, 중간 구문 = 331
  14.8 나오기 = 332
 15장 한국어의 중간 구문 = 333
  15.1 들어가기 = 333
  15.2 선행 연구의 개관 및 문제의 제기 = 335
   15.2.1 Park(1994)의 문제점 = 335
   15.2.2 Cho(1993, 1995)의 문제점 = 338
  15.3 한국어에의 적용 = 341
   15.3.1 DO동사와 CAUSE동사 = 341
   15.3.2 명사구 이동, 지시어, 주제 표지 '은/는' = 343
   15.3.3 상태 동사 = 345
   15.3.4 동작주의 함축 = 349
   15.3.5 총칭성 = 353
   15.3.6 난이 부사 = 355
  15.4 중간 피동 구문, 중간 자동사 구문의 설정 의의 = 356
  15.5 관련 구문과 비교 = 359
   15.5.1 중간 자동사 구문과 중간 피동 구문의 비교 = 359
   15.5.2 자동사 구문과의 비교 = 360
   15.5.3 피동 구문과의 비교 = 360
   15.5.4 자발 구문과의 비교 = 361
  15.6 나오기 = 363
 16장 중국어의 중간 구문 = 365
  16.1 들어가기 = 365
  16.2 선행 연구의 검토 및 문제의 제기 = 367
  16.3 중국어 중간 동사의 통사적 특징 = 373
  16.4 중국어 중간 구문의 상적 특징 = 375
  16.5 중국어의 중간 구문과 총칭성 = 379
  16.6 모댈리티와 난이 부사 = 381
  16.7 나오기 = 382
 17장 베트남어의 중간 구문 = 385
  17.1 들어가기 = 385
  17.2 베트남어의 특징 = 385
  17.3 베트남어 중간 구문의 형태적 특징 = 387
  17.4 동작주의 함축과 중간 구문 = 389
  17.5 베트남어 중간 구문의 상적 특징 = 392
  17.6 베트남어 중간 구문과 총칭성 = 394
  17.7 베트남어의 중간 구문과 난이 부사 = 395
  17.8 나오기 = 396
3부 언어 간의 대조 분석
 18장 의사 중간 가능 구문의 일영 대조 = 409
  18.1 들어가기 = 409
  18.2 일본어와 영어의 비교ㆍ대조 = 410
   18.2.1 형태적 특징 = 411
   18.2.2 명사구 이동 = 414
   18.2.3 동작주의 함축 = 418
   18.2.4 주어와 술어의 의미 관계 = 421
   18.2.5 상태 동사 = 426
  18.3 언어의 보편적 특징과 일본어 의사 중간 가능적 표현 원리 = 429
  18.4 나오기 및 금후의 과제 = 432
 19장 의사 중간 가능 구문의 일한 대조 = 433
  19.1 들어가기 = 433
  19.2 일본어의 의사 중간 가능 구문에 상당하는 한국어 구문의 형태적 특징 및 문제의 제기 = 434
   19.2.1 형태적 특징 = 434
   19.2.2 Park(1994)의 문제점 = 438
  19.3 명사구 이동 = 440
  19.4 동작주의 함축 = 444
  19.5 주어와 술어의 의미 관계 = 446
  19.6 상태 동사 = 447
  19.7 나오기 = 452
 20장 결론 = 453
참고문헌 = 463
찾아보기 =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