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56namcc2200277 c 4500 | |
001 | 000045543738 | |
005 | 20100915115933 | |
007 | ta | |
008 | 090820s2009 ggka 000c kor | |
020 | ▼a 9788930602228 ▼g 931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 |
082 | 0 4 | ▼a 791.4301 ▼2 22 |
085 | ▼a 791.4301 ▼2 DDCK | |
090 | ▼a 791.4301 ▼b 2001c ▼c 2 | |
100 | 1 | ▼a 박병철, ▼d 1963- ▼0 AUTH(211009)111833 |
245 | 1 0 | ▼a 생각의 창, 키노아이 : ▼b 영화 속의 철학 2 / ▼d 박병철 지음 |
246 | 1 4 | ▼a 생각의 창, Kino eye |
260 | ▼a 파주 : ▼b 서광사, ▼c 2009 | |
300 | ▼a 240 p. : ▼b 삽화 ; ▼c 23 cm | |
650 | 0 | ▼a Motion pictures ▼x Philosophy |
650 | 0 | ▼a Motion pictures ▼x Plots, themes, etc |
650 | 0 | ▼a Motion pictures ▼v Reviews |
650 | 0 | ▼a Film criticism |
650 | 0 | ▼a Philosophy in motion pictures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1c 2 | 등록번호 1115546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1c 2 | 등록번호 11154439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791.4301 2001c 2 | 등록번호 1512901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1c 2 | 등록번호 1115546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1c 2 | 등록번호 11154439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791.4301 2001c 2 | 등록번호 1512901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눈으로 보고 즐기는 영화를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철학의 관점으로 풀어 낸 책이다. 고전 중의 고전으로 손꼽히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라쇼몬>에서부터 헐리우드의 SF영화 <아이, 로봇>, 한국의 최신작 <아내가 결혼했다> 까지, 저자는 시대와 장르의 구분없이 열 네편의 주요 영화를 소개하면서 ‘이들 영화 속에서 철학적 사고가 어떤 방식으로 가능한가’를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대중문화의 중심으로 자리 잡은 영화를 눈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철학적 사유를 통해 감상할 수도 있다는 또 다른 재미를 전해 준다. 영화 전체뿐만 아니라 어느 한 장면만으로도 철학과의 조우를 가능하게 만드는 이 책은, 철학에 관심있는 사람들은 물론 영화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도 새로운 영화 감상의 장을 제공할 것이다.
눈으로 보고 즐기는 영화를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철학의 관점으로 풀어 낸 박병철 교수의 《생각의 창, 키노아이: 영화 속의 철학 II》가 철학 서적 전문 출판사인 도서출판 서광사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부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2001년 문화관광부 추천 도서로 선정된 바 있는 《영화 속의 철학》의 두 번째 이야기로, 전작만큼 풍성한 읽을 거리를 다루며 다양한 생각의 소재들을 제공한다.
고전 중의 고전으로 손꼽히는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라쇼몬〉에서부터 헐리우드의 SF영화 〈아이, 로봇〉, 한국의 최신작 〈아내가 결혼했다〉 까지, 저자는 시대와 장르의 구분없이 열 네편의 주요 영화를 소개하면서 ‘이들 영화 속에서 철학적 사고가 어떤 방식으로 가능한가’를 설명하고 있다. 특히 첫 번째 장에서는 연결고리를 쉽게 찾을 수 없는 〈라쇼몬〉과 〈토탈리콜〉이라는 두 편의 영화를 통해, 확실하게 안다는 것의 의미라는 주제로 인식론의 ‘회의주의’를 설명한다. 또 〈미녀는 괴로워〉에서는 전신 성형수술을 한 주인공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에서 가짜와 진짜에 대한 ‘현상과 실재’의 문제들이 드러남을 설명한다. 〈늑대와 춤을〉에서는 인디언은 야만이라는 백인의 시각을 가졌지만 결국은 정반대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게 된 주인공의 변화를 통해 과연 옳고 그름, 선과 악에 대한 가치판단이 절대적인 것일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을 제기한다.
이 책은 대중문화의 중심으로 자리 잡은 영화를 눈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철학적 사유를 통해 감상할 수도 있다는 또 다른 재미를 전해 준다. 영화 전체뿐만 아니라 어느 한 장면만으로도 철학과의 조우를 가능하게 만드는 이 책은, 철학에 관심있는 사람들은 물론 영화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도 새로운 영화 감상의 장을 제공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박병철(지은이)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보스턴 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논문은 1998년 클루워(Kluwer) 출판사에서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현상학적 측면Phenomenological Aspects of Wittgenstein’s Philosophy》으로 출간되었다. 이후 비트겐슈타인, 버트런드 러셀 및 언어철학을 주 관심사로 연구를 해오고 있다. 또한 철학의 주제들을 삶의 현실 속 맥락에서 소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며, 영화에서 철학적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영화로 철학을 소개하는 책을 두 권 썼다. 최근에는 재즈와 대중음악을 철학과 연결 짓는 작업을 구상 중에 있다. 지은 책으로는 《버트런드 러셀의 삶과 철학》, 《쉽게 읽는 언어철학》, 《생각의 창, 키노아이: 영화 속의 철학 II》, 《영화 속의 철학》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미국철학사》와 《30가지 철학이야기》가 있다. 또한 <은유와 의미>, <지식과 확실성>, <비트겐슈타인과 상의 문제>, <비트겐슈타인과 종교적 믿음> 외 다수의 논문을 썼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 5 1. 확실하게 안다는 것의 의미 = 10 라쇼몬/토탈 리콜 2. 무엇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 27 파이널 컷 3. 가짜와 진짜, 혹은 현상과 실재 = 42 미녀는 괴로워 4. 선악의 피안 = 58 늑대와 춤을 5. 자유, 그 무거움에 대하여 = 74 굿 나잇, 앤 굿 럭 6. 사회적 소수자들의 인권 = 92 천하장사 마돈나 7. 사랑과 결혼 = 108 아내가 결혼했다 8. 진정한 예술의 의미를 찾아서 = 126 폴락 9. 참을 수 없는 대중문화의 가벼움? = 142 라디오 스타 10. 나의 의지는 자유로운가? = 159 마이너리티 리포트 11. 과학과 합리성 = 176 액소시즘 오브 에밀리 로즈 12. 몸과 마음의 문제 = 192 아이,로봇 13. 다른 사람의 마음 읽기 = 208 사토라레 14. 도덕적인 삶이란? = 224 매드 디텍티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