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542285 | |
005 | 20170201113752 | |
007 | ta | |
008 | 090811s2009 ulk 000c kor | |
020 | ▼a 9788993792133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ita |
082 | 0 4 | ▼a 320.1 ▼2 22 |
085 | ▼a 320.1 ▼2 DDCK | |
090 | ▼a 320.1 ▼b 2009z1 | |
100 | 1 | ▼a Machiavelli, Niccolò, ▼d 1469-1527 ▼0 AUTH(211009)77365 |
245 | 2 0 | ▼a (이해하기 쉽게 풀어 쓴) 군주론 / ▼d 니콜로 마키아벨리 ; ▼e 김영진 편저 |
246 | 1 9 | ▼a Il principe |
246 | 3 9 | ▼a Principe |
260 | ▼a 서울 : ▼b 행복한박물관, ▼c 2009 | |
300 | ▼a 283 p. ; ▼c 21 cm | |
440 | 0 0 | ▼a 청소년 교양 콘서트 |
600 | 1 0 | ▼a Machiavelli, Niccolò, ▼d 1469-1527. ▼t Principe |
650 | 0 | ▼a Political science ▼v Early works to 1800 |
650 | 0 | ▼a Political ethics ▼v Early works to 1800 |
700 | 1 | ▼a 김영진, ▼e 편 |
900 | 1 0 | ▼a 마키아벨리, 니콜로, ▼e 저 |
945 | ▼a KINS |
컨텐츠정보
책소개
고대와 중세의 전통적인 사상과 도덕에 반기를 들었던 최초의 근대 철학서 <군주론>을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춰 풀어쓴 책. 마키아벨리의 사상은 당대에는 구현되지 못했으나, 역설적으로는 '권력의 속성'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었기 때문에 16세기 이후, 수많은 사상가들에 의해 실용정치의 기술로 인정을 받게 되었다.
<군주론>의 내용은 종교가 지배이념 역할을 하고 있던 당시로서는 너무나 파격적인 것들이었다. 하지만 이탈리아의 당시 정치 상황을 고려해 보면 그러한 마키아벨리의 사상은 새로운 가치관이 절실하게 필요했던 시대적인 상황에서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키아벨리가 세상을 떠난 지 거의 5세기가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평가는 아직까지 통일되어 있지 않다. 그의 민족주의를 높이 평가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메디치 가에 아부한 자라고 평하는 사람도 있고, 그를 현실주의자라고 평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패덕자라고 평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설사 마키아벨리가 메디치가에 아부한 것이 사실이라고 해도 이 글에 나타나 있는 그의 뜻이 빛을 잃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 하면 그가 누구보다도 그의 조국 이탈리아를 사랑했다는 것을 부인할 사람은 아무도 없기 때문이다.
마키아벨리가 살아 있을 때는 주목을 받지 못했던 <군주론>은 그가 사망한 지 5년 후인 1532년 교황 클레멘스 7세에 의해 출간되었다. 하지만 1559년, 교황 파울루스 4세에 의해 선량한 기독교에게는 적당치 않은 ‘악마의 사상이 담긴 책’이라는 이유로 금서로 지정되었다. 마키아벨리가 그 시대 사람들에게는 무자비한 군주로 기억되는 ‘체사레 보르자’를 모범적인 군주의 예로 제시하며, 권력을 빼앗기지 않고 존속시킬 수 있는 냉혹한 정치이론을 이상적인 일로 제시했기 때문이었다.
<군주론>의 내용은 종교가 지배이념 역할을 하고 있던 당시로서는 너무나 파격적인 것들이었다. 하지만 이탈리아의 당시 정치 상황을 고려해 보면 그러한 마키아벨리의 사상은 새로운 가치관이 절실하게 필요했던 시대적인 상황에서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키아벨리는 메디치 가의 강력한 군주에 의해 피렌체의 자유가 지켜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군주론》을 저술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그의 사상은 당대의 메디치 가를 통해 구현되지 못했으며 이따금 독재를 지향하는 정치가들이나 지도자들에 의해 오용되어 ‘마키아벨리즘’이라는 악명을 얻게 되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는 ‘권력의 속성’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었기 때문에 16세기 이후 수많은 사상가들에 의해 실용정치의 기술로 인정을 받게 되었다. 결국 세계는 《군주론》의 ‘마키아벨리즘’을 통해 근대 정치학의 기초를 다지게 되었으며 발간 이후 5세기가 지난 지금까지 수많은 사람들이 애독하는 유명한 고전이 되었다. 따라서 학자들은 물론이고 정치가와 학생, 그리고 정치의 어두운 면을 이해하고 싶은 사람들은 모두 고대와 중세의 전통적인 사상과 도덕에 반기를 들었던 최초의 근대 철학서 <군주론>을 읽어 보아야 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니콜로 마키아벨리(지은이)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 공화국의 외교관, 정치학자, 역사가, 극작가이다. 그는 1469년 5월 3일 귀족 가문 출신의 법학자인 베르나르도 디 니콜로 마키아벨리와 바르톨로미아 디 스테파노 넬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유명한 귀족 가문 출신은 아니었지만 인문학적 재능이 뛰어난 마키아벨리는 1494년 메디치 가문이 몰락할 무렵 피렌체의 공화국 10인 위원회의 서기장이 되었으며, 외교 사절로서 신성 로마 제국 등 여러 외국 군주에게 사절로 파견되면서 독자적인 정치적 견해를 구축하였고 그는 1498년부터 1512년까지 피렌체 공화국 제2 서기국의 서기장을 역임했다. 1512년 스페인의 침공으로 인해 피렌체 공화정이 몰락과 동시에 메디치 가문이 재집권하게 되면서 마키아벨리는 공직에서 박탈당했다. 1513년에는 메디치 가문에 대한 반란 음모에 가담한 혐의로 투옥되었다. 감옥에서 갖은 고초를 겪고 고문을 당했지만, “조국에 대한 나의 충성은 나의 가난이 증명하고도 남는다.”라고 결백을 주장했다. 얼마 후 메디치 가문 출신인 교황 레오 10세가 선출되자 교황 특사로 석방 되었고 그는 다시 공직 생활을 하기 위해 메디치 가문의 새로운 군주에게 알현하여 『군주론(Il Principe)』을 헌정하는 등 많은 노력을 했지만 끝내 외면당하고 만다. 그 후 『로마사 논고(Discourses on Livy)』, 『전술론』, 『피렌체사』 등 저술 활동에 힘쓰면서 공직복귀에 많은 노력을 했다. 1527년 5월 메디치가문의 정권이 무너지고 공직에 복귀하려고 시도했지만 끝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해 6월 21일에 급성 복막염으로 58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게 된다. 마키아벨리에 대한 평가는 극단적으로 나뉜다. “근대 이탈리아 민족주의의 아버지”라는 긍정적 평가가 있는가 하면 “악의 교사(敎師)”라는 부정적 평가도 있다. 그러나 그의 정치철학은 토마스 홉스, 존 로크, 장 자크 루소의 사상과 더불어 근현대 정치학의 계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모두 인정한다.
김영진(엮은이)

목차
메디치 전하께 드리는 헌사…
제 1 장 : 군주국의 종류와 성립 과정
제 2 장 : 세습 군주국
제 3 장 : 복합 군주국
제 4 장 :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정복당했던 다리우스 왕국의 후계자들이 대왕이 죽은 후 에도 반란을 일으키지 않은 이유
제 5 장 : 점령되기 전에 자치적이었던 도시나 공국을 다스리는 방법
제 6 장 : 자신의 군대와 능력으로 얻은 새로운 통치권에 관하여
제 7 장 : 다른 세력의 군대와 행운으로 얻은 새로운 통치권에 관하여
제 8 장 : 사악한 방법으로 군주가 된 인물들에 관하여
제 9 장 : 시민형 군주국
제 10 장 : 군주국들의 국력은 어떻게 측정되어야 하는가
제 11 장 : 교회형 군주국
제 12 장 : 군대의 다양한 종류와 용병
제 13 장 : 원군과 혼성군, 자국군에 대하여
제 14 장 : 군주는 군사에 관해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
제 15 장 : 인간, 특히 군주가 칭찬이나 비난받게 되는 일들
제 16 장 : 관대함과 인색함에 대하여
제 17 장 : 잔인함과 인자함, 그리고 사랑받는 것과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것 중 어느 편이 더 나은가
제 18 장 : 군주는 어떻게 약속을 지켜야 하는가
제 19 장 : 경멸과 미움은 어떻게 피해야 하는가
제 20 장 : 요새 구축과 같은 군주들이 하는 일들은 과연 유용한가, 무용한가
제 21 장 : 명성을 얻기 위해 군주는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
제 22 장 : 군주의 측근 신하들에 관하여
제 23 장 : 아첨꾼을 피하는 방법
제 24 장 : 이탈리아의 군주들이 나라를 잃은 이유
제 25 장 : 인간사에 행사하는 운명의 힘과 운명에 대처하는 방법
제 26 장 : 야만족의 지배로부터 이탈리아를 해방시키기 위한 권고
○. 엮은이 주
○. 마키아벨리의 편지
○. 해제 : 앨렌 H. 길버트
① 공화주의자인 마키아벨리는 왜 《군주론》을 썼을까
② 시대와 인간, 그리고 운명
③ 마키벨리아 시대의 이탈리아
④ 마키아벨리의 생애
○. 마키아벨리 연보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