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29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542279 | |
005 | 20100805011418 | |
007 | ta | |
008 | 090811s2009 ulk 000a kor | |
020 | ▼a 9788980971855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5.2/4 ▼2 22 |
090 | ▼a 155.24 ▼b 2009 | |
100 | 1 | ▼a Ubel, Peter A. ▼0 AUTH(211009)91480 |
245 | 1 0 | ▼a 극복의 힘 = ▼x Power of conquest / ▼d 피터 위벨 지음 ; ▼e 조용만 옮김. |
246 | 1 4 | ▼a 그 어떤 역경도 이겨낼 수 있는 당신의 특별한 능력 |
246 | 1 9 | ▼a You're stronger than you think : tapping into the secrets of emotionally resilient people |
260 | ▼a 서울 : ▼b 산수야 , ▼c 2009. | |
300 | ▼a 280 p. ; ▼c 23 cm. | |
650 | 0 | ▼a Resilience (Personality trait) |
700 | 1 | ▼a 조영만 , ▼e 역 |
900 | 1 1 | ▼a 위벨, 피터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24 2009 | 등록번호 1115430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사람 안에 숨어있는 잠재적 능력인 ‘극복의 힘’을 일깨워 누구라도 역경을 헤쳐 나갈 수 있음을, 또 그 안에서 행복을 발견할 수 있음을 과학적 증명을 통해 알려주는 책이다.
다른 사람들의 불행을 보며 자기 자신에게 위안을 준 적이 있는가? ‘나는 월급은 적지만 친구들보다 여유 시간이 많아서 괜찮아.’ ‘저 애는 능력은 좋지만 가정환경 때문에 힘들겠어.’ ‘한국이 아무리 살기 힘들어도 이스라엘만 하겠어?’ 어찌 보면 생각한 사람 스스로가 간사하게 느껴질 법한 이러한 사고는, 사실 심리학적으로 뛰어난 자기 치유 방법이다. 일명 ‘가정법적 사고’라는 것인데, 자신보다 더 불행해 보이는 사람과 자신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환경의 소중함을 깨닫고 행복을 찾아내는 방법의 일종인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힘은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기에, 지금까지는 이에 대한 과학적 증명이 미진했다. 이에 피터 위벨 박사는 수천 명의 환자들을 조사하고 다양한 심리학적.의학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극복의 힘’이 사람들의 성향과 의식, 그리고 DNA 속에 실제로 존재함을 과학적으로 입증해냈다.
“울지 마세요. 당신은 충분히 이겨낼 수 있으니까요.”
갑작스럽게 위기가 닥친다면 어떻게 대처하겠는가? 나도 모르게 큰 병에 걸리거나, 사랑하는 가족을 잃거나, 저금한 돈이 없는 상태에서 직장을 잃는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런 상황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고통스러워하며, 크게 절망할 거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상황이 지속되는 한 절대 행복하지 못할 거라고 장담한다.
하지만 이것은 착각일 뿐이다. 당신은 어떤 일이 있어도 살아갈 수 있으며, 그 안에서 행복을 찾아낼 수 있다. 당신 안에 잠재되어 있는 ‘극복의 힘’으로!
이 책은 사람 안에 숨어있는 잠재적 능력인 ‘극복의 힘’을 일깨워 누구라도 역경을 헤쳐 나갈 수 있음을, 또 그 안에서 행복을 발견할 수 있음을 과학적 증명을 통해 알려준다.
사람들은 사소한 장애에는 쉽게 넘어지면서 의외로 어려운 장애는 비교적 잘 극복하며, 역경에 놀라울 정도로 적응한다!
다른 사람들의 불행을 보며 자기 자신에게 위안을 준 적이 있는가?
‘나는 월급은 적지만 친구들보다 여유 시간이 많아서 괜찮아.’ ‘저 애는 능력은 좋지만 가정환경 때문에 힘들겠어.’ ‘한국이 아무리 살기 힘들어도 이스라엘만 하겠어?’
어찌 보면 생각한 사람 스스로가 간사하게 느껴질 법한 이러한 사고는, 사실 심리학적으로 뛰어난 자기 치유 방법이다. 일명 ‘가정법적 사고’라는 것인데, 자신보다 더 불행해 보이는 사람과 자신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환경의 소중함을 깨닫고 행복을 찾아내는 방법의 일종인 것이다.
사실 사람들은 불행이나 역경에 처한다 해도 얼마든지 극복하고 자신만의 행복을 찾아낼 수 있다. 심리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지 않은 사람도 힘들 때면 가정법적 사고를 하는 것처럼, ‘적응’과 ‘극복’이라는 가장 강한 무기가 내면에 잠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평소에는 모르고 지내지만 위기의 순간이 되면 발현되어 사람을 강하게 만들며, 보다 더 확실한 목적의식을 갖게 해준다.
하지만 이러한 힘은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기에, 지금까지는 이에 대한 과학적 증명이 미진했다. 이에 피터 위벨 박사는 수천 명의 환자들을 조사하고 다양한 심리학적?의학적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극복의 힘’이 사람들의 성향과 의식, 그리고 DNA 속에 실제로 존재함을 과학적으로 입증해냈고, 뉴욕타임스를 통해 이 사실을 알리는 것에 힘써왔다.
한국의 독자들도 피터 위벨 박사의 이 위대한 연구를 통해 자신 안에 숨겨진 힘을 깨닫고, 행복에 좀더 가까워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역경이 닥쳐온 순간, 소중한 것들이 선명하게 펼쳐진다.
그렉 휴즈는 대동맥 박리증으로 갑작스럽게 두 다리를 절단했다. 사라 레조트는 신장병으로 오랜 기간 동안 투석 치료를 받았고, 스코트 맥클러는 루게릭병에 걸렸으며, 앤디 크래포드는 서서히 골수가 파괴되어가는 희귀병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이들의 삶은 건강한 사람들의 눈에는 끔찍한 불행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네 사람에게는 건강한 사람들이 갖지 못한 ‘행복의 열쇠’가 있었다. 역경을 맞이한 후에 갖게 된 ‘뚜렷한 목적의식’과 ‘매 순간 주변 사람들에게 느끼는 고마움’ 그리고 ‘삶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 성찰의 시간’이 바로 그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에게 긴 시간이 펼쳐져 있다고 막연하게 생각한다. 그래서 목적의식 없이 시간을 허비하고 만다. 하지만 역경을 맞이한 이들은 훨씬 더 치열하게 삶을 유지해나가기 위해 애썼고, 1분 1초도 낭비하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 상상도 하지 못했던 역경에 처한 네 사람은 그 어느 때보다도 열정적으로 여러 목표들을 추구할 수 있었다.
돈과 환경은 행복을 좌우할 수 없다.
1970년대에 심리학자 필립 브릭만의 연구 팀은 집단을 셋으로 나눠 행복 지수를 조사했다. 복권 당첨으로 한 해 동안 100만 달러(지금으로 치면 수천만 달러)의 수입을 올린 집단, 자동차 사고로 하반신 불구가 됐거나 사지가 마비된 채 살아가고 있는 집단, 앞의 두 집단과 같은 동네에 살고 있는 평범한 사람들의 집단이다.
행복 지수의 순위는 당연히 복권 당첨자 집단이 가장 높았다. 그런데 한 가지 놀라운 사실은, 세 집단에 속한 사람들 사이의 행복 지수에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누구나 어떤 역경이 닥쳐도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회복력을 갖고 있다.
사람의 내면에는 어떤 상황이 와도 극복해낼 수 있는 힘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는 어려운 역경에 직면했을 때 언제든지 발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 힘을 얻기 위해 역경을 기다려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필요할 때 언제든지 불러올 수 있다.
당신 스스로를 믿어라. ‘난 무슨 일이 있어도 회복될 거야.’라고 항상 생각하라. 이것은 당신의 DNA 속에 각인된 사실이다. 그 무엇도 당신의 행복을 파괴할 수 없다는 진실을 직시하라.
정보제공 :

저자소개
피터 위벨(지은이)
미시간 대학교의 의학.심리학 교수이자, 의과대학 소속 ‘행동 및 의사 결정 과학 연구 센터’ 소장이다. 뉴욕타임스의 건강 칼럼을 통해 일반 독자들을 만나고 있으며, 2000년에는 미국 대통령이 수여하는 과학자와 엔지니어 부분 커리어상(PECASE)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MIT 대학 출판부에서 펴낸 <프라이싱 라이프Pricing Life>가 있다.
조용만(옮긴이)
영문학을 전공하고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동안 당신이 깨뜨려야 할 직장 10계명,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투자, 인간관계의 원칙, 돈키호테, 재정관리의 달인이 되다, 우리 아이 경제감각 기르기, 여성, 특별한 하나님의 계획, 세상과 구별된 삶, 역경을 이기는 법 들을 우리말로 옮겼다.

목차
감사의 글 6 역경의 시작 11 기나 긴 3주 반|쾌락의 정체|행복 지수는 사람들이 말하는 것과 일치하는가?|행복 지수 평가하기|역경에 대한 반응 상상의 한계 25 끔찍한 투석|행복 지수에 대한 보고 대비 실제 기분|투석 치료 환자가 행복하다고 생각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초점을 분산시키는 것은 도움이 되는가?|기억이 가진 불확실성|기억 상실과 오인, 기분 행복 : 환경인가, DNA인가? 49 행복은 환경에 좌우되는가?|행복의 연쇄반응|성향은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환경에 대한 다른 반응|자긍심과 행복의 관계|긍정적인 성향의 의미|제이 슈라이너처럼 되기|제이 슈라이너의 대처법|본성, 교육, 성향|일란성 쌍둥이의 행복 지수|당부의 말 역경에 대한 대응 83 역경을 극복하기 위한 능력 동원하기|나쁜 일이 일어났을 때|장기간의 긴장 상태로 인한 대가|만성 스트레스|낙천적인 사고|가정법적 사고의 부정적인 측면|관점의 차이|상대적인 비교 사고로 고통을 최소화하기|평균 이상|자신을 속이기|평균 이상은 꼭 좋은 것인가?|행복의 진화적 장점|부정적인 기분의 장점|좋은 기분이 주는 다양한 장점|낙관적인 견해의 위험성|낙관적인 태도 유지하기 불확실한 상황 123 첫인상의 오해|불확실성 다루기|불확실성의 과학|불확실성이 주는 스트레스|불확실성 제어하기|예측이 가능한 상황의 긍정적인 면 역경의 사회적인 측면 145 공개된 질병|고통의 순간에 받은 사회적인 지원|사회적인 동물의 부정적인 면|사회적인 오명에 대처하기|사회생활이 불가능할 때 일어나는 일들|의사소통을 위한 노력|악몽의 원인|부모로 산다는 것|도움을 주는 것이 나은가, 받는 것이 나은가? 작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투쟁 169 고통, 따분함, 그리고 집안일|높은 기대 심리에서 오는 고통|예민한 감각:적응의 이면|피할 수 없는 작은 고통들|기침의 소중함|크고 깊은 한숨|역경에 계속 적응하기|지각으로 인한 불편 돈의 역할 195 돈의 중요성|돈이 중요한 경우|돈으로 역경을 극복할 수 있을까?|일반적인 의견과 반대 상황|행복은 상대적인가?|복도 재판|익숙해진다는 것|돈에 대한 적응|역경이 돈과 행복의 관계를 바꾸는가?|돈의 완충 효과|또 한 번의 모금 행사|금전적인 어려움이 주는 교훈 역경 속에서 목표 재평가하기 217 골수 이식과 방글라데시|10만 달러가 있다면 어디에 쓰겠는가?|목표와 행복 사이의 관계|이상적인 목표 대 의무적인 목표|역경이 주는 초점 조정 능력|현실에 의해 삶의 목표 바꾸기|헛수고|모든 사람이 직면하는 죽음|앤디의 동기|몇십 년 동안 죽어간다는 것 신앙으로 극복하기 243 공적이고 사적인 신앙생활|고통에 의미와 목적 부여하기|신앙과 정서적인 회복력|종교와 행복 중 무엇이 먼저일까?|신앙생활의 교훈 행복에 이르는 길 255 긍정적인 사고는 항상 유익할까?|사전?사후 사고방식|긍정적인 사고를 할 때는 감정적으로 몰입하라|행복에 이르는 사고의 원리|현실적인 기대치를 설정하라|본질적으로 의미 있는 목표를 추구하라|역경을 기다리지 마라 에필로그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