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미디어 빅뱅과 광고문화

미디어 빅뱅과 광고문화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화자 김병희 이희복
서명 / 저자사항
미디어 빅뱅과 광고문화 / 이화자, 김병희 , 이희복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울 ,   2009.  
형태사항
198 p. : 삽도 ; 24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 1131
ISBN
9788946051317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653camccc200253 k 4500
001 000045542210
005 20100805011310
007 ta
008 090612s2009 ggka b 000a kor
020 ▼a 9788946051317
035 ▼a (KERIS)BIB000011678576
040 ▼a 211032 ▼d 211009
082 0 4 ▼a 659.1 ▼2 22
090 ▼a 659.1 ▼b 2009z5
100 1 ▼a 이화자 ▼0 AUTH(211009)130146
245 1 0 ▼a 미디어 빅뱅과 광고문화 / ▼d 이화자, ▼e 김병희 , ▼e 이희복 지음.
260 ▼a 파주 : ▼b 한울 , ▼c 2009.
300 ▼a 198 p. : ▼b 삽도 ; ▼c 24 cm.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1131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김병희 ▼0 AUTH(211009)3724
700 1 ▼a 이희복 ▼0 AUTH(211009)89704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 2009z5 등록번호 1115431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659.1 2009z5 등록번호 1512765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 2009z5 등록번호 1115431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659.1 2009z5 등록번호 1512765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미디어 융합시대의 광고가 사회 전반에 어떤 영향력을 발휘할 것인가에 대해 ‘광고와 미디어’, ‘광고와 소비자’, ‘광고와 문화’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는 책이다.

‘광고와 미디어’에서는 인류의 소통수단인 미디어가 말에서 시작해 현대의 디지털 혁명 단계를 거치면서 광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및 소비자 브랜드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광고와 소비자’에서는 광고가 사람들의 문화적 가치와 라이프스타일, 자아개념과 사회계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고찰하며, ‘광고와 문화’에서는 광고가 과학적 예술로서 문학과 영상, 예술 등과 어떤 관련성을 갖고 소통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광고와 사회는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가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바라본 미디어 융합시대의 광고


각종 디지털 기기의 발명과 활용, 언제 어디서나 다양하게 접속이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의 발달로 인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은 변화하고 있으며, 감수성은 더욱 예민해지고 다양해졌다. MP3 플레이어를 귀에 꽂고 채팅을 하는 학생이나 DMB를 틀어놓고 신문을 보는 직장인의 모습은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이처럼 변화하는 매체환경은 사회문화적으로 광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및 소비자 브랜드 경험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앞으로의 광고는 어떤 매체를 쓰느냐보다 어떻게 소비자와 소통하고 브랜드 경험을 만들어가는가에 관심을 집중시키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이 책은 미디어 융합시대의 광고가 사회 전반에 어떤 영향력을 발휘할 것인가에 대해 ‘광고와 미디어’, ‘광고와 소비자’, ‘광고와 문화’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한다. ‘광고와 미디어’에서는 인류의 소통수단인 미디어가 말에서 시작해 현대의 디지털 혁명 단계를 거치면서 광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및 소비자 브랜드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광고와 소비자’에서는 광고가 사람들의 문화적 가치와 라이프스타일, 자아개념과 사회계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고찰하며, ‘광고와 문화’에서는 광고가 과학적 예술로서 문학과 영상, 예술 등과 어떤 관련성을 갖고 소통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기획 의도 및 출간 의의
광고는 일반 시민의 생활 속에 다양한 매체들을 통해 확산, 침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환경의 일부가 되고 접촉의 경험을 가지게 한다. 특히 미디어 융합시대를 맞이하여 광고는 매체의 구분 없이 전방위적으로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감으로써 사회문화적으로 그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 책은 미디어 융합이 광고의 발달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대중문화 전반에 걸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저자들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다른 나라의 광고 실례까지 풍부하게 검토하면서 매스미디어의 일방적인 시대에서 벗어나 인터넷 등 새로운 통합 미디어가 나타난 현상에서 광고가 어떤 방식으로 대응해나가야 할지를 제안한다. 특히 미디어 융합이 광고의 형식과 내용에 가져오고 있는 변화들을 인문학과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은 최초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일반 사람들의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광고가 최근 많이 나타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이러한 접근은 광고를 제작하거나 광고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할 것이다.

내용 소개
이 책은 미디어 융합시대의 광고가 사회문화 전반에 어떤 영향력을 발휘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총 3부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한다.
1부 광고와 미디어에서는 미디어, 소비자, 사회문화상의 변화들이 광고에 어떻게 반영되고 또 어떻게 우리에게 다시 영향을 주는지를 말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광고를 만드는 이에게 통합 마케팅적 사고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2부 광고와 소비자에서는 광고가 사람들의 문화적 가치와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끼친 영향력을 분석하고, 자아개념과 사회계층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고 있다. 저자는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어떻게 광고에 담아내고, 자아개념과 사회계층을 어떤 형식으로 표현해낼 것인지를 여러 가지 실례를 통해서 말해주고 있다.
3부 광고와 문화에서는 광고와 시·문학이 어떤 의미로 연결되어 있는지, 광고의 영상기법이 광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광고 속에 나타난 춤과 노래 등이 광고의 예술성에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인문학과 광고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독자 대상
-광고홍보 또는 언론정보(신문방송)학 전공 학부생
-이 분야에 종사하는 현업인과 연구자
-광고와 사회문화에 관심 있는 일반인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병희(지은이)

현재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서 광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광고학회 제24대 회장, 한국PR학회 제15대 회장, 정부광고자문위원회 초대 위원 장, 서울브랜드위원회 제4대 위원장으로 봉사했다. 그동안 『광고가 예술을 만났을 때 아트버타이징(학지사, 2021), 『광고로 배우는 경영 통찰력』(한울엠플러스, 2019)을 비롯한 60여 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또한 「광고 건전성의 구성요인과 광고 효과의 검증」(2022),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 ships among Uses Motivation of Social Media, Social Presence, and Consumer Attitudes inStrategic Communications”(2019)를 비롯한 11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발표했다. 한국갤럽학술상 대상(2011), 제1회 제일기획학술상 저술 부문 대상(2012), 교육부·한국연구재단의 우수 연구자 50인(2017) 등을 수상했고, 정부의 정책 소통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 (2019)을 받았다.

이화자(지은이)

과거나 미래보다는 현재 마음이 이끄는 일을 따르는 현재주의자이다. 다리 떨리기 전에 더 많은 세계를 경험하고자 직장을 내던지고 세계 100여 개 국가를 여행했다. 코로나라는 변수에 의해 중단되었지만 갇혀 지낸 시간 동안에도 끝없이 여행을 그리워하며 여행을 기록하는 일로 버텼다. 다시 하늘길이 열리기만 하면 더는 미루지 않고 떠나려는 이들에게, 여기만은 꼭 가 봤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 세계 여행기 《여행에 미치다》, 《여행처방전》, 《비긴어게인 여행》, 코로나 시대 국내 여행기 《언택트시대 여행처방전》, 세계 고양이 사진을 담은 《고양이는 타인의 행복을 탐하지 않는다》를 썼다. 연세대학교 국문학과를 나와 대홍기획과 제일기획 카피라이터, 호남대 광고학 교수를 역임했다. Facebook Instagram. @hwajalee

이희복(지은이)

광고 회사 MBC애드컴, 오리콤, FCB한인, 진애드에서 광고 캠페인을 진행했으며, 경주대학교 교수를 거쳐, 지금은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부 광고홍보 전공교수로 있다. 한국광고PR실학회 ≪광고PR실학연구≫ 편집위원장으로 있으며, 한국광고학회 편집위원을 겸하고 있다. 한국광고홍보학회 감사이며, 대한적십자사 홍보 자문교수, 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 심의위원, 행정안전부 자문위원,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자문위원, 보건복지부 혈액증진위원으로 있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풀러턴) 방문교수, 한국광고PR실학회 회장, 공익광고위원회 위원, 대한민국 대학생광고대상 집행위원, 대한민국광고대상 심사위원장(TV 영상)을 역임하면서 인턴십과 공모전 등 광고홍보의 현장과 학교를 잇는 데 힘을 보태왔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 학사와 석사를, 경희대학교에서 광고PR을 전공해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광고산업과 정책, 광고카피(슬로건), 도시 브랜드, 광고 활용 교육 등이며, ≪광고학연구≫, ≪광고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등 저널에 논문을 발표해왔다. 『브랜딩 텔레비전』(공역, 2014) 등의 역서와 『미디어 스마트』(공저, 2013), 『소셜 미디어 시대의 광고』(공저, 2015), 『광고활용교육』(2016), 『도시 브랜드 슬로건 전략』(2017), 『설득의 수사학 슬로건』(2017) 등의 저서를 출간했다. 광고는 ‘창의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설득’이라는 믿음이 있다. 이메일 주소: boccaccio@hanmail.net 페이스북 주소: www.facebook.com/leeheebok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부 광고와 미디어
 미디어 발달과 광고 = 12
  1. 미디어 지형의 변화 = 13
  2. 미디어 소비의 변화 = 17
  3. 크리에이티브 양식의 변화 = 21
 소비자 진화와 광고 = 32
  1. 디지털 수용자 = 33
  2. 이야기하는 소비자 = 35
  3. 꿈꾸는 소비자 = 37
  4. 놀이하는 소비자 = 45
 사회문화적 변화와 광고 = 56
  1. 유행과 사회변동의 원동력 = 57
  2. 시대의 사고를 교정하는 광고 = 65
  3. 공공의 문제를 환기시키는 광고 = 67
2부 광고와 소비자
 문화적 가치 = 76
  1. 광고와 문화의 관련 양상 = 77
  2. 광고에 나타난 문화적 가치 = 88
 라이프스타일 = 99
  1.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의 제안 = 100
  2. 디지털 세상의 라이프스타일 = 106
 자아개념과 사회계층 = 118
  1. 자아개념과 브랜드 개성 = 119
  2. 사회계층의 본질과 특성 = 126
3부 광고와 문화
 광고와 문학 = 142
  1. 광고와 시(詩) = 143
  2. 광고와 이야기 = 151
 광고와 영상 = 161
  1. 광고와 영화 = 162
  2. 광고와 만화 = 170
 광고와 예술 = 179
  1. 광고와 노래 = 180
  2. 광고와 춤 = 18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