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
1. 교육과정의 개념 = 16
가. 교육과정의 어의 = 16
나. 교육과정의 정의 = 17
다. 교육과정의 관련 용어 = 20
2. 교육과정의 종류 = 22
가. 기본성격에 의한 분류 = 22
나. 전개과정에 의한 분류 = 24
다. 의사결정자 수준에 의한 분류 = 26
3.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 28
가. 교육목표 = 29
나. 교육내용 = 29
다. 교수학습 과정 = 29
라. 평가 = 30
제2장 교육과정의 유형
1. 교과중심 교육과정 = 32
가. 기본적 견해 = 32
나. 주요 특징 = 33
다. 장단점 = 33
2. 경험중심 교육과정 = 34
가. 기본적 견해 = 34
나. 주요 특징 = 35
다. 장단점 = 36
3. 학문중심 교육과정 = 37
가. 기본적 견해 = 37
나. 주요 특징 = 37
다. 장단점 = 39
4. 인간중심 교육과정 = 40
가. 기본적 견해 = 40
나. 주요 특징 = 41
다. 장단점 = 42
5. 구성주의 교육과정 = 43
가. 기본적 견해 = 43
나. 주요 특징 = 45
다. 장단점 = 46
제3장 교육과정의 개발 모형
1.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 48
가.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 48
나. 교육과정 개발의 기본원리 = 50
2. 교육과정 개발 모형 = 51
가. Tyler의 모형 = 52
나. Taba의 모형 = 53
다. Walker의 모형 = 55
3. 교육과정 개발 절차 = 57
가. 교육목표의 설정 = 57
나. 교육내용의 선정 = 65
다. 교육내용의 조직 = 67
라. 단원의 구성 = 70
제4장 우리 나라 교육과정의 변천사
1. 해방 전 교육과정 = 74
2. 해방 직후 교육과정 = 75
가. 교육에 대한 긴급조치기 = 75
나. 교수요목기 = 76
3. 교육과정의 제정과 개정 = 77
가. 제1차 교육과정기 = 77
나. 제2차 교육과정기 = 79
다. 제3차 교육과정기 = 80
라. 제4차 교육과정기 = 80
마. 제5차 교육과정기 = 81
바. 제6차 교육과정기 = 82
4.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 85
가.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 = 86
나. 수준별 교육과정 = 87
다. 재량 활동 = 88
라. 선택중심 교육과정 = 89
마. 특별활동 = 91
제5장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
1. 국가수준 교육과정 = 96
가. 개념과 성격 = 96
나.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 과정 = 98
다. 교과용 도서의 연구 개발 = 100
라. 교육인적자원부의 역할 = 100
2. 지역수준 교육과정 = 101
가. 개념과 성격 = 101
나. 시·도 교육청의 역할 = 103
다. 시·군 교육청의 역할 = 106
3. 학교 교육과정 = 107
가. 개념과 성격 = 107
나. 학교 교육과정 편성 절차 = 108
다. 단위학교의 역할 = 114
라. 학교 교육과정 운영 환경의 변화 = 116
4. 교육과정의 행정지원 방안 = 120
가. 일반적 행정지원 방안 = 120
나. 학교급별 시설 공간 개선 요구 = 121
제6장 교육과정 평가
1.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 = 124
가.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124
나. 교육과정 평가와 유사 개념간의 관계 = 125
2. 교육과정 평가의 모형 = 127
가. 한국의 교육과정 평가 모형 = 128
나. 국가 교육과정 평가체제 모형 = 129
다. 교육과정 평가분류 모형 = 129
라. 초등학교 교육과정 평가분류 모형 = 130
마. 교육과정 평가 모형 = 131
바. 교육과정 평가 영역 모형 = 132
3.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실천 방안 = 132
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평가 방안 = 132
나. 학교 교육과정 자체평가 실시 방안 = 134
4.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실제 = 136
가. 유치원 교육과정 평가기준 = 136
나.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평가준거 = 139
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평가기준 = 144
제7장 교육평가의 개념
1. 교육평가의 의미 = 148
가. 교육평가의 정의 = 148
나. 평가의 구성 요소 = 150
다. 평가의 관련 용어 = 152
2. 교육평가의 기능 = 155
가. 형성적 기능 = 155
나. 총괄적 기능 = 156
다. 정략적 기능 = 157
3. 교육평가의 기본 원리 = 157
가. 전문적 판단의 원리 = 158
나. 상호 대립의 원리 = 158
다. 신뢰도의 원리 = 158
라. 타당도의 원리 = 159
마. 공정성의 원리 = 159
바. 다양성의 원리 = 159
사. 효율성의 원리 = 160
4. 교육평가의 역사와 동향 = 160
가. 교육평가의 발전 과정 = 160
나. 우리 나라의 교육평가 = 162
다. 교육평가 정책의 방향 = 165
제8장 교육평가의 모형
1. 목표달성모형 = 168
가. Tyler의 모형 = 169
나. Provus의 모형 = 170
다. Hammond의 모형 = 171
2. 의사결정모형 = 172
가. CIPP 모형 = 173
나. CSE 모형 = 176
3. 판단중심모형 = 179
가. 평가인정모형 = 179
나. 종합실상모형 = 180
다. 탈목표모형 = 183
라. 감정·비평모형 = 184
4. 고객(소비자)중심모형 = 186
5. 자연주의모형 = 188
가. 교류적 평가 = 189
나. 조명적 평가 = 191
다. 반응적 평가 = 192
라. 해설적 평가 = 193
제9장 교육평가의 유형
1. 평가내용에 따른 유형 = 195
가. 학생평가 = 196
나. 수업평가 = 196
다. 교육과정평가 = 197
라. 학교평가 = 197
마. 행정기관평가 = 198
바. 인사 및 행정가평가 = 198
2. 평가영역에 따른 유형 = 198
가. 지적 영역평가 = 199
나. 정의적 영역평가 = 200
다. 심동적 영역평가 = 200
3. 목표수준에 따른 유형 = 201
가. 최소필수 학력평가 = 201
나. 최대성취 학력평가 = 201
4. 평가기능에 따른 유형 = 202
가. 진단평가 = 203
나. 형성평가 = 203
다. 총괄평가 = 204
5. 평가준거에 따른 유형 = 204
가. 규준지향평가 = 205
나. 준거지향평가 = 206
6. 평가체제에 따른 유형 = 207
가. 입력평가 = 207
나. 과정평가 = 207
다. 출력평가 = 208
제10장 평가문항의 제작
1. 문항제작의 기본 원리 = 210
가. 평가문항의 제작 절차 = 210
나. 평가목표의 진술방법 = 211
2. 선택형 문항의 제작 = 216
가. 개념과 특징 = 216
나. 선택형 문항의 종류 = 217
다. 선다형 문항 제작 원리 = 219
라. 골격문항 기법의 활용 방안 = 221
3. 서답형 문항의 제작 = 222
가. 개념과 특징 = 222
나. 서답형 문항의 종류 = 222
다. 논문형 문항의 제작 원리 = 224
라. 채점기준 작성 방법 = 225
4. 수행평가 문항의 제작 = 228
가. 개념과 특징 = 228
나. 수행평가 문항의 종류 = 229
다. 수행평가 과제 제작 절차 = 235
라. 수행평가 문제점과 정착 방안 = 237
제11장 평가결과 처리와 문항분석
1. 평가결과 처리방법 = 240
가. 기술통계 방법 = 240
나. 점수 표시 방법 = 242
2. 문항분석이론 = 244
가. 고전검사이론 = 244
나. 문항반응이론 = 245
다. 문항분석이론의 비교 = 248
3.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249
기. 문항난이도 = 249
나. 문항변별도 = 249
다. 오답지의 매력도 = 252
4.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253
가. 문항난이도 = 253
나. 문항변별도 = 255
다. 문항추측도 = 257
5. 타당도의 개념과 종류 = 257
가. 타당도의 개념 = 257
나. 타당도의 종류 = 259
다.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 262
6. 신뢰도의 개념과 종류 = 263
가. 신뢰도의 개념 = 263
나. 신뢰도의 종류 = 264
다.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68
제12장 컴퓨터 활용 평가방법
1. 컴퓨터 기반 검사의 유형 = 270
가. 컴퓨터 보조검사 = 271
나. 컴퓨터화된 검사 = 271
다. 컴퓨터 개별 적응검사 = 272
2. CAT의 운영 원리 = 272
가. CAT의 운영 절차 모형 = 272
나. CAT의 구성 요소 = 273
3. CAT의 장단점과 활용 사례 = 276
가. CAT의 장점과 한계 = 276
나. CAT의 활용 사례 = 277
4. 인터넷 활용 수업과 평가 = 279
가. 인터넷 활용 수업의 특징 = 279
나. 인터넷 정보의 평가기준 = 281
다. 온라인 평가방법 = 282
라. 온라인 평가의 문제점 = 283
참고 문헌 = 285
찾아 보기 =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