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1 교육의 개념적 기초 = 11
제1장 교육의 개념 = 13
1. 교육의 개념 = 15
2. 교육의 개념과 관련된 용어들 = 17
제2장 교육의 기능 = 19
1. 교육이 필요한 이유 = 21
2. 교육의 기능 = 23
1) 사회화 = 23
2) 인간 행동의 계획적 변화 = 24
3) 자아실현 = 25
4) 문화유산 전수 = 25
5) 사회 유지 및 존속 = 26
6) 사회 개선 = 27
제3장 교육의 유형 = 29
1. 비형식적 교육과 형식적 교육 = 31
1) 비형식적 교육 = 31
2) 형식적 교육 = 31
2. 교육의 횡적 차원과 종적 차원 = 32
1) 교육의 횡적 차원 = 32
2) 교육의 종적 차원 = 33
part 2 교육의 역사적 기초 = 35
제4장 고대 ㆍ중세ㆍ근대의 교육 = 37
1. 고대의 교육 = 39
1) 교육의 목적 = 39
2) 고대 서양의 교육내용 = 42
3) 고대 동양의 교육내용 = 45
2. 중세의 교육 = 47
3. 근대의 교육 = 51
제5장 현대의 교육 = 55
1. 20세기 전반기의 교육 = 57
1) 진보주의 교육 = 57
2) 경험 중심 교육과정 = 60
2. 20세기 후반기의 교육 = 65
1) 진보주의 교육의 퇴조 = 65
2) 학문 중심 교육과정 = 68
3) 교육의 인간화와 인간 중심 교육과정 = 71
제6장 우리나라의 교육의 역사 = 75
1. 원시 시대와 삼국 시대의 교육 = 77
1) 원시 시대의 교육 = 77
2) 삼국 시대의 교육 = 78
2. 고려 시대의 교육 = 80
1) 국자감 = 80
2) 향교 = 80
3) 학당 = 81
4) 12도 = 81
5) 서당 = 81
3. 조선 시대의 교육 = 81
1) 성균관 = 82
2) 사학 = 82
3) 향교 = 82
4) 서원 = 83
5) 서당 = 83
6) 기술교육기관 = 83
7) 실학사상 = 83
4. 개화기의 교육 = 84
1) 선교계 학교 = 84
2) 관립학교 = 85
3) 사립학교 = 85
5. 일제하의 교육 = 86
1) 무력적 식민지 교육정책(1910∼1919) = 86
2) 유화적 식민지 교육정책(1919∼1938) = 86
6. 해방 후의 교육 = 87
part 3 교육의 심리적 기초 = 89
제7장 심리학과 교육 = 91
1. 현대 심리학의 등장 = 93
2. 행동주의 심리학 = 94
3. 정신분석학 = 95
4. 인본주의 심리학 = 96
제8장 발달심리와 교육 = 99
1. 발달의 개념 = 101
2. 발달의 원리 = 102
3. 발달과업 = 103
1) 태아기 = 103
2) 신생아기 = 104
3) 영아기 = 104
4) 유아기 = 105
5) 아동기 = 105
6) 청소년기 = 106
7) 성인 초기 = 106
8) 성인 중기ㆍ후기 = 107
9) 노년기 = 108
4. 발달 이론 = 108
1) 피아제의 인지발달(cognitive development) 이론 = 108
2)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 이론 = 113
3) 에릭슨의 심리사회적(psycho-social) 발달 이론 = 115
5. 발달 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 118
1) 준비성 = 118
2) 결정적 시기 = 119
3) 문화 실조 = 119
제9장 학습심리와 교육 = 121
1. 학습의 이해 = 123
1) 학습의 개념 = 123
2. 학습 이론 = 125
1) 행동주의 학습 이론 = 125
2) 인지주의 학습 이론 = 131
3) 구성주의 학습 이론 = 132
제10장 학습 요인과 교육 = 135
1. 지능 = 137
1) 지능의 개념 = 137
2) 지능의 구조 = 138
3) 지능의 발달 = 140
4) 지능과 학업 성취 = 141
2. 기억과 망각 = 142
1) 기억의 과정과 구조 = 142
2) 망각 = 143
3) 기억을 증진시키는 방법 = 144
3. 학습의 전이 = 145
1) 전이의 의미 = 145
2) 전이 이론 = 145
3) 전이를 증진시키는 방법 = 146
4. 학습동기 = 147
1) 동기의 의미 = 147
2) 동기 이론 = 148
part 4 교육의 사회적 기초 = 153
제11장 교육의 사회학적 탐구 = 155
1. 교육사회학의 형성 = 157
1) 교육사회학의 등장 = 157
2) 교육사회학의 특성 = 157
2. 교육사회학 연구 = 159
1) 교육사회학의 탐구 문제 = 159
2) 교육사회학의 연구 분야 = 160
제12장 교육사회학 이론 = 163
1. 구조 기능주의적 교육사회학 = 166
1) 구조 기능주의적 교육사회학의 발전 과정 = 166
2) 구조 기능주의적 교육사회학의 기본 입장 = 166
3) 구조 기능주의적 교육사회학의 주요 관점 = 167
2. 갈등 이론적 교육사회학 = 173
1) 갈등 이론적 교육사회학의 발전 과정 = 173
2) 갈등 이론적 교육사회학의 기본 입장 = 173
3) 갈등 이론적 교육사회학의 주요 관점 = 174
3. 신교육사회학 = 183
1) 신교육사회학의 발전 과정 = 183
2) 신교육사회학의 기본 입장 = 184
3) 신교육사회학의 주요 논제 = 185
4) 신교육사회학의 의의 = 188
제13장 교육의 사회적 쟁점 = 189
1. 교육 경쟁과 교육열 = 191
1) 교육 선발 제도와 교육 경쟁 = 192
2) 교육열 = 194
2. 교육 불평등 = 196
1) 교육 기회의 허용적 평등 = 198
2) 교육 기회의 보장적 평등 = 199
3) 교육 조건의 평등 = 199
4) 교육 결과의 평등 = 199
3. 교육의 사회성 = 200
1) 정치 이념의 변화와 교육과정 = 200
2) 지식의 계층화 및 성 차별화 = 201
part 5 교육의 행정적 기초 = 203
제14장 교육행정의 개념과 성격 = 205
1. 교육행정의 개념 = 207
1) 국가공권력설 = 207
2) 조건정비설 = 207
3) 정책달성설 = 208
4) 행정행위설 = 208
5) 종합설 = 209
2. 교육행정의 성격 = 210
1) 수단적ㆍ봉사적 성격 = 210
2) 전문적 성격 = 210
3) 민주적 성격 = 211
4) 장기적 성격 = 211
제15장 교육행정 이론 = 213
1. 고전적 조직론 = 215
1) 과학적 관리론 = 215
2) 행정관리론 = 216
3) 관료제 이론 = 218
4) 고전 이론과 교육 = 219
2. 인간관계론 = 220
1) 호손 연구 = 220
2) 인간관계론의 학자들 = 221
3) 인간관계론과 교육 = 222
4) 인간관계론에 대한 비판 = 223
3. 행동과학 이론 = 224
1) 행동과학 이론의 내용 = 224
2) 교육행정에서의 행동과학이론 = 225
4. 체제이론 = 225
1) 체제이론의 의의 = 225
2) 체제의 특성과 개방체제 = 226
5. 다원적 이론 = 229
1) 해석학적 관점 = 229
2) 급진적 관점 = 229
제16장 교육행정의 조직과 체계 = 231
1. 교육행정의 조직 = 233
1) 조직의 정의 = 233
2. 조직의 종류 = 234
1)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 234
2) 계선조직과 참모조직 = 236
3. 교육행정의 체계 = 236
1) 중앙 교육행정 = 237
2) 지방 교육행정 = 239
제17장 교사론 = 243
1. 교직의 전문성 = 245
1) 장기간의 교육과 훈련 = 245
2) 직무의 자율성 = 246
3) 책임감 = 247
4) 봉사 = 248
5) 자치단체 조직 = 248
6) 직업윤리의 강조 = 249
2. 교사의 자질 = 250
3. 교사와 인간애 = 251
1) 종교에서의 사랑 = 251
2) 교사의 사랑 : 교육애 = 252
4. 교사와 윤리 = 254
1) 사도헌장 = 254
2) 사도강령 = 255
참고 문헌 =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