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인권법 : 사회적 이슈와 인권 제2판

인권법 : 사회적 이슈와 인권 제2판 (Loan 6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준일
Title Statement
인권법 : 사회적 이슈와 인권 / 이준일.
판사항
제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弘文社 ,   2009.  
Physical Medium
xviii, 541 p.. ; 25 cm.
ISBN
978897770234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000 00664namccc200241 k 4500
001 000045541306
005 20100805010512
007 ta
008 090805s2009 ulk b 000a kor
020 ▼a 9788977702349 ▼g 933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2.519085 ▼2 22
085 ▼a 342.53085 ▼2 DDCK
090 ▼a 342.53085 ▼b 2009z1
100 1 ▼a 이준일 ▼0 AUTH(211009)95000
245 1 0 ▼a 인권법 : ▼b 사회적 이슈와 인권 / ▼d 이준일.
246 1 1 ▼a Human rights law : social issues & human rights
250 ▼a 제2판
260 ▼a 서울 : ▼b 弘文社 , ▼c 2009.
300 ▼a xviii, 541 p.. ; ▼c 25 cm.
504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2.53085 2009z1 Accession No. 1115427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2.53085 2009z1 Accession No. 11154272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준일(지은이)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독일 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동대학교와 광운대학교를 거쳐 2003년 부터 지금까지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 면서 헌법과 인권법을 연구하고 있다. 학교 밖에서는 헌법 재판소 헌법연구위원, 국회 입법지원위원, 국가인권위원회 전문위원 겸 조정위원으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로 『13가지 죽음』, 『감시와 법』, 『헌법학강의』, 『인권법』, 『차별금지법』, 『헌법과 사회복지법제』, 『섹슈얼리티와 법』, 『가족의 탄생』 등이 있고, 역서로 『법의 개념과 효력』, 『기본권이론』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론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인권적 접근과 해결을 위한 하나의 모델
 Ⅰ. 합리적 논증이 가능한 권리로서 인권 = 1
 Ⅱ. 인권의 본질로서 인간존엄 및 자유와 평등 = 2
  1. 자유 = 3
  2. 평등 = 4
 Ⅲ. 인권의 특성 = 6
  1. 보편성 = 7
  2. 도덕성 = 7
  3. 근본성 = 7
  4. 추상성 = 8
  5. 우월성 = 8
 Ⅳ. 인권과 기본권 = 8
  1. 인권의 헌법화 = 8
  2. 기본권을 통한 인권의 논의 = 9
 Ⅴ.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인권적 접근의 의미와 방법 = 9
  1. 국가공동체의 헌법화와 헌법국가 = 9
  2. 논증과 토론을 통한 기본적 인권의 균형과 조화 = 9
제1장 사형제도와 생명권
 Ⅰ. 사형제도에 찬성하는 논거와 반대하는 논거 = 12
  1. 찬성론(사형존치론) = 12
  2. 반대론(사형폐지론) = 13
 Ⅱ. 사형제도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16
  1.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 = 16
  2. 생명권의 제한가능성 = 17
 Ⅲ. 생명권에 대한 제한의 정당화 = 19
  1. 비례성원칙 = 19
  2. 본질내용침해금지원칙 = 23
 Ⅳ. 대체형벌에 관한 논의 = 25
 참고문헌 = 25
제2장 안락사와 존엄하게 죽을 권리
 Ⅰ. 안락사의 개념과 유형 = 28
  1. 개념 = 28
  2. 유형 = 29
 Ⅱ. 안락사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31
  1. 생명권 = 31
  2. 존엄하게 죽을 권리 = 32
 Ⅲ. 안락사에 찬성하는 논거와 반대하는 논거 = 33
  1. 찬성하는 논거 = 33
  2. 반대하는 논거 = 35
  3. 평가 = 38
 Ⅳ. 안락사와 자살의 문제 = 41
 참고문헌 = 42
제3장 장기이식과 건강하게 살 권리
 Ⅰ. 개관 = 46
  1. 개념 = 46
  2. 문제제기 = 46
 Ⅱ. 장기이식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48
  1. 신체를 훼손당하지 않을 권리와 신체에 관한 자기결정권 = 48
  2. 건강하게 살 권리 = 48
  3. 해결방안 = 49
 Ⅲ. 장기이식과 뇌사 = 53
  1. 뇌사의 개념과 판정절차 = 53
  2. 현행 장기이식법의 문제점 = 56
 참고문헌 = 59
제4장 간통죄와 성적 자기결정권
 Ⅰ. 간통죄에 찬성하는 논거와 반대하는 논거 = 62
  1. 간통죄의 개념과 입법례 = 62
  2. 간통죄에 찬성하는 논거 = 64
  3. 간통죄에 반대하는 논거 = 64
 Ⅱ. 간통죄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65
  1. 성적 자기결정권의 헌법적 근거 = 65
  2. 성적 자기결정권의 제한가능성 = 67
 Ⅲ.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제한의 정당화 = 68
  1. 논증부담의 문제 = 68
  2. 간통죄의 일반예방효과 = 68
  3. 다양한 제도적 문제점 = 69
  4. 헌법재판소의 입장변화 = 70
  5. 간통죄에 관한 논쟁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 71
 참고문헌 = 72
제5장 로또와 도박할 권리
 Ⅰ. 개념 = 74
  1. 도박 = 74
  2. 복권 = 77
  3. 사행행위 = 78
 Ⅱ. 도박할 권리와 합법적 도박 = 81
  1. 합법적 도박으로서 복권 = 81
  2. 합법적 도박으로서 카지노 = 83
  3. 도박할 권리 = 85
 Ⅲ. 합법적 도박의 허용가능성 = 86
 참고문헌 = 88
제6장 대마흡연과 행복추구권
 Ⅰ. 대마흡연에 관한 찬반논거 = 90
  1. 대마흡연에 반대하는 논거 = 92
  2. 대마흡연에 찬성하는 논거 = 92
 Ⅱ. 대마흡연과 관련된 기본적 인권 = 93
  1. 대마흡연의 자유 = 93
  2. 평등권 = 94
 Ⅲ. 대마흡연에 관한 기본권의 제한가능성 = 94
  1. 자유권의 경우 = 94
  2. 평등권의 경우 = 94
 Ⅳ. 대마흡연에 관한 기본권에 대한 제한의 한계 = 95
  1. 대마의 해악과 적합성원칙 = 96
  2. 대마의 효용과 필요성원칙 = 96
  3. 좁은 의미의 비례성원칙 = 96
 Ⅴ. 금지된 행위의 정당성 = 97
 참고문헌 = 98
제7장 신상공개제도와 사생활의 비밀
 Ⅰ. 신상공개제도에 찬성하는 근거와 반대하는 근거 = 102
  1. 신상공개제도의 개념 = 102
  2. 신상공개제도에 찬성하는 논거 = 104
  3. 신상공개제도에 반대하는 논거 = 105
 Ⅱ. 신상공개제도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106
  1. 명예권과 사생활의 비밀에 관한 권리의 헌법적 근거 = 106
  2. 명예권과 사생활에 관한 권리의 제한가능성 = 107
 Ⅲ. 명예권 및 사생활의 비밀의 권리에 대한 제한의 정당성 = 107
  1. 공익이 기본권보다 우월한 경우 = 107
  2. 찬반논거에 대한 검토 = 108
  3. 신상등록ㆍ열람제도 = 112
  4. 전자발찌의 문제 = 114
 참고문헌 = 116
제8장 지문날인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
 Ⅰ. 문제제기 = 120
 Ⅱ. 문제가 되는 인권 = 122
  1. 개인의 비밀영역과 관련된 기본적 인권 = 123
  2. 개인정보에 관한 비밀영역과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 124
 Ⅲ. 범죄수사의 목적을 위한 지문정보의 이용 = 125
  1. 근거법률의 존재 여부 = 125
  2. 범죄수사를 위한 지문날인강제의 정당성 = 127
  3. 소결 = 128
 Ⅳ.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법제의 필요성 = 128
 참고문헌 = 130
제9장 양심적 병역거부와 양심의 자유
 Ⅰ. 양심적 병역거부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134
  1. 개관 = 134
  2. 양심의 자유의 헌법적 근거 = 136
 Ⅱ. 양심의 자유의 제한가능성 = 140
  1. 양심의 자유의 내용에 따른 구분 = 140
  2. 양심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 실정헌법적 근거 = 141
 Ⅲ. 양심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정당화 = 141
  1. 병역거부의 금지 및 제재와 적합성원칙 = 141
  2. 병역거부자의 인권과 필요성원칙 = 143
  3. 병역거부에서 충돌하는 이익과 좁은 의미의 비례성원칙 = 143
  4. 결론과 대안 = 146
 참고문헌 = 149
제10장 국가보안법과 사상의 자유
 Ⅰ. 문제제기 = 152
 Ⅱ. 문제조항 = 153
  1. 개정 전의 찬양ㆍ고무 = 153
  2. 개정 후의 찬양ㆍ고무 = 155
  3. 잠입ㆍ탈출 = 158
  4. 회합ㆍ통신 = 158
  5. 목적수행 = 159
  6. 불고지죄 = 160
  7. 최근판례 = 162
 Ⅲ. 국가보안법의 법적 문제 = 163
  1. 영토조항과 통일조항의 관계 = 163
  2. 국가보안법과 남북교류협력법의 관계 = 165
  3. 법률명확성의 문제 = 166
 Ⅳ. 합리적 대안 = 167
 참고문헌 = 168
제11장 채플과 종교의 자유
 Ⅰ. 문제제기 = 172
 Ⅱ. 종교교육과 관련된 인권 = 173
  1. 종교의 자유 = 173
  2. 종교의 자유에 대한 제한가능성 = 175
  3. 종교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정당화 = 177
  4. 종교의 자유의 대사인적 효력 = 181
 참고문헌 = 182
제12장 생명복제와 학문의 자유
 Ⅰ. 생명복제와 관련된 인권 = 186
  1. 개념 = 186
  2. 관련된 인권 = 188
 Ⅱ. 논의의 전제조건 = 189
  1. 인권으로서 연구의 자유 = 189
  2. 생명에 관한 논의에서 형이상학의 배제 = 189
 Ⅲ. 합리적 대안 = 190
  1. 개체복제의 경우 = 190
  2. 배아복제의 경우 = 193
  3. 난자제공자의 인권에 대한 보호 = 196
  4. 현행법의 태도와 문제점 = 196
 참고문헌 = 199
제13장 포르노와 예술의 자유
 Ⅰ. 외설적 표현과 관련된 인권 = 202
  1. 예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 = 203
  2. 표현의 자유의 의의 = 204
 Ⅱ. 예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 = 204
  1. 원칙 = 204
  2. 전제조건 = 209
 Ⅲ. 예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의 일반적 위험성 = 218
  1. 후견주의 = 218
  2. 상업주의를 빙자한 통제 = 219
 참고문헌 = 223
제14장 사전검열과 표현의 자유
 Ⅰ. 문제제기 = 226
 Ⅱ. 문제가 되는 기본권 = 227
  1. 표현의 자유 = 227
  2. 사전검열 = 229
 Ⅲ. 사전검열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와 심의제도에 관한 입법 = 230
  1. 영화에 대한 사전심의 = 230
  2. 음반에 대한 사전심의 = 232
  3. 비디오에 대한 사전심의 = 234
  4. 게임물에 대한 사전심의 = 236
  5. 정기간행물에 대한 심의 = 238
  6. 방송에 대한 심의 = 240
  7. 공연에 대한 심의 = 242
  8. 청소년유해매체물에 대한 심의 = 243
 Ⅳ. 사이버시대와 표현의 자유 = 246
  1. 악성 리플(악플)과 인터넷실명제 = 246
  2. 공인의 정보와 사생활 = 246
 Ⅴ. 검열없는 사회를 위하여 = 247
  1. 검열하지 않는 문화의 형성 = 247
  2. 자유로운 소통을 통한 해악성 있는 표현의 제거 = 248
 참고문헌 = 249
제15장 촛불시위와 집회의 자유
 Ⅰ. 무엇이 문제인가? = 252
 Ⅱ. 문제가 되는 인권 = 253
  1. 집회의 자유 = 253
  2. 시위의 자유 = 257
 Ⅲ. 집회의 자유와 관련된 현안 = 258
  1. 중요시설근처집회의 금지 = 258
  2. 복면착용집회의 금지 = 261
  3. 우발적 집회와 긴급집회 = 262
  4. 1인 시위 = 262
  5. 불법시위에 대한 집단소송제 = 263
 Ⅳ. 평화로운 집회문화의 정착을 바라며 = 264
 참고문헌 = 265
제16장 스크린쿼터와 직업의 자유
 Ⅰ. 서론 = 268
  1. 개념 = 268
  2. 문제제기 = 268
 Ⅱ. 문제가 되는 인권과 그에 대한 제한 = 269
  1. 직업의 자유 = 270
  2. 평등권 = 275
 Ⅲ. 스크린쿼터제의 전망과 과제 = 276
 참고문헌 = 278
제17장 선거권연령과 정치적 자유
 Ⅰ. 문제제기 = 280
 Ⅱ. 정치적 기본권 = 283
  1. 개념 = 283
  2. 공적 자율성의 보장수단으로서 정치적 자유 = 283
 Ⅲ. 정치적 기본권과 관련된 문제들 = 285
  1. 연령에 따른 선거권 및 피선거권의 제한 = 285
  2. 기탁금제도에 의한 피선거권 제한 = 286
  3. 수형자의 선거권 제한 = 287
  4. 해외거주자에 대한 부재자투표 = 288
  5. 초ㆍ중등교원의 정치활동 금지 = 290
  6.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전 사퇴강제 = 292
 Ⅳ. 정치적 기본권에 대한 관점의 전환 = 293
 참고문헌 = 293
제18장 재개발과 철거민의 인권
 Ⅰ. 개념 및 문제제기 = 296
 Ⅱ. 문제가 되는 인권 = 298
  1. 재산권 = 298
  2. 주거권 = 303
 Ⅲ. 누구를 위한 재개발인지를 성찰하는 재개발을 바라며 = 305
 참고문헌 = 306
제19장 양극화와 가난한 자의 권리
 Ⅰ. 문제제기 = 308
  1. 돈이 필요한 자유 = 308
  2. 한국사회의 양극화 = 308
 Ⅱ. 사실적 자유와 사회보장(사회복지) = 314
  1. 사실적 자유로서 사회적 기본권 = 314
  2. 국가의 사회보장의무 = 315
 Ⅲ. 최소한의 사회권으로서 최저생계비 = 316
  1. 최저생계비의 의의 = 316
  2.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 317
  3. 급여의 유형 = 319
 Ⅳ.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근로의 권리 = 320
  1. 근로의 권리의 개념 = 320
  2. 최저임금법의 주요내용 = 321
 Ⅴ. 사회적 기본권과 사회보험제도 = 323
  1. 국민연금 = 324
  2. 건강보험 = 326
  3. 고용보험 = 328
  4. 산재보험 = 330
 Ⅵ. 사회권과 사회보장을 통한 양극화해결의 한계와 대안 = 332
 참고문헌 = 333
제20장 체벌과 아동의 인권
 Ⅰ. 문제제기 = 336
 Ⅱ. 체벌에서 문제되는 인권 = 339
  1. 인권의 주체로서 아동 = 339
  2. 논증부담과 관련된 권리 = 339
  3. 가혹한 인권침해의 금지 = 340
 Ⅲ. 체벌에 대한 찬반논거 = 340
  1. 체벌에 찬성하는 논거 = 340
  2. 체벌에 반대하는 논거 = 342
  3. 체벌이 정당화되는 법적 근거 = 343
  4. 비판과 대안 = 345
 Ⅳ. 아동의 권리와 관련된 그 밖의 문제들 = 346
  1. 아동학대 = 346
  2. 청소년대상유해행위 = 349
  3. 학생의 권리 = 352
 참고문헌 = 353
제21장 낙태와 여성의 인권
 Ⅰ. 개념과 문제제기 = 356
 Ⅱ. 낙태에서 문제가 되는 인권 = 358
  1. 태아의 생명권 = 358
  2. 산모의 출산권 = 360
  3. 해결방안 = 360
 Ⅲ. 낙태의 정당화 = 361
  1. 기간규정방식과 정당화사유규정방식 = 361
  2. 모자보건법에서 낙태가 허용되는 경우 = 362
  3. 산모의 출산권을 고려한 대안 = 365
 보론 폭력에 대한 여성의 권리 = 366
  1. 가정폭력과 아내의 권리 = 366
  2. 부부강간죄의 성립과 아내의 성적 자기결정권 = 370
 참고문헌 = 370
제22장 감옥과 재소자의 인권
 Ⅰ. 재소자의 기본권에 대한 제한의 필요성과 한계 = 374
 Ⅱ. 미결수용자의 권리 = 378
  1. 수의착용금지 = 378
  2.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 379
  3. 서신검열 = 380
  4. 수용자로서의 권리 = 382
 Ⅲ. 기결수용자(수형자)의 권리 = 382
  1.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 382
  2. 보호장비사용의 제한 = 383
  3. 접견권 = 385
  4. 서신교환에 관한 권리 = 387
  5. 전화통화에 관한 권리 = 389
  6. 목욕ㆍ운동할 수 있는 권리 = 390
  7. 집필할 수 있는 권리 = 391
  8. 신문ㆍ도서를 구독할 수 있는 권리 = 392
  9. 건강보험 = 394
  10. 징벌 = 395
 Ⅳ. 행형과 형벌의 목적을 고려한 재소자의 대우 = 396
 참고문헌 = 400
제23장 성(性)의 상품화와 성매매여성의 인권
 Ⅰ. 개념과 문제제기 = 404
 Ⅱ. 강제적 성매매와 피해여성의 권리 = 407
  1. 강제적 성매매의 절대적 금지 = 407
  2. 성매매 피해여성의 권리 = 407
 Ⅲ. 자발적 성매매와 성매매여성의 권리 = 408
  1. 자발적 성매매의 허용가능성 = 408
  2. 자발적 성매매여성의 권리 = 411
 Ⅳ. 성매매에 관한 이성적 논의의 필요성 = 412
 참고문헌 = 413
제24장 한반도의 분단과 탈북자의 인권
 Ⅰ. 문제제기 = 416
 Ⅱ. 탈북자에 대한 법적 규율 = 418
 Ⅲ. 구체적 문제들 = 419
  1. 탈북자의 국적 = 419
  2. 탈북자의 난민으로서의 지위 = 423
  3. 탈북자의 이혼과 재혼 = 424
  4. 탈북아동의 문제 = 424
  5. 탈북여성의 문제 = 425
  6. 탈북자의 사회적응 = 426
 참고문헌 = 426
제25장 세계화와 외국인노동자의 인권
 Ⅰ. 개념과 문제제기 = 430
  1. 국민과 외국인 = 430
  2. 문제제기 = 430
 Ⅱ. 한국내 외국인노동자의 현실 = 440
  1. 전체숫자 = 440
  2. 출신국가 = 441
  3. 진출업종 = 442
  4. 임금수준 = 442
  5. 권리보장수준 = 442
 Ⅲ. 외국인노동자에게 보장되어야 할 권리 = 443
  1. 임금 = 444
  2. 사회보장 = 445
  3. 폭행금지 = 446
  4. 노동3권 = 447
 Ⅳ. 다문화사회를 위한 전제조건 = 448
 참고문헌 = 449
제26장 다문화시대와 혼혈인의 인권
 Ⅰ. 끝나지 않은 혼혈인의 문제 = 452
 Ⅱ. 혼혈인에 대한 인권침해의 현실 = 455
  1. 전생애적 인권침해 = 455
  2. 인종차별 = 456
  3. 병역면제의 차별적 성격 = 457
  4. 혼혈인의 어머니로서 결혼이주여성의 문제 = 459
 Ⅲ.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 = 460
 참고문헌 = 461
제27장 실업의 시대와 비정규직 노동자의 인권
 Ⅰ. 개념과 유형 = 464
  1. 근로자 = 464
  2.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 = 464
  3. 비정규직 근로자의 유형 = 465
  4. 비정규직 근로자의 규모 = 466
 Ⅱ. 비정규직 근로자의 현실 = 467
  1. 임금 = 468
  2. 근로복지 = 468
  3. 사회보험 = 469
  4. 노동3권 = 470
 Ⅲ. 비정규직 근로자의 권리 = 471
  1. 기간제한과 정규직전환 = 471
  2. 초과근로제한 = 473
  3. 차별의 금지 = 474
  4. 근로조건명시의무 = 476
  5. 남은 권리들 = 478
 참고문헌 = 479
제28장 사이버세상에서 네티즌의 인권 - 인터넷실명제ㆍ허위사실유포죄ㆍ사이버모욕죄를 중심으로
 Ⅰ. 인터넷실명제 = 482
  1. 개념 = 482
  2. 문제가 되는 인권 = 484
  3. 비판과 대안 = 486
 Ⅱ. 허위사실유포죄 = 488
  1. 개념 = 488
  2. 문제가 되는 인권 = 491
  3. 비판과 대안 = 492
 Ⅲ. 사이버모욕죄 = 495
  1. 개념 = 495
  2. 문제가 되는 인권 = 497
  3. 비판과 대안 = 498
 참고문헌 = 499
제29장 섹슈얼리티와 성적 소수자의 인권
 Ⅰ. 성별과 결혼의 문제 = 502
 Ⅱ. 트렌스젠더의 인권 = 502
  1. 이름과 성별을 변경할 권리 = 503
  2. 혼인할 권리 = 506
  3. 차별받지 않을 권리 = 506
  4. 사생활의 비밀에 관한 권리 = 507
  5. 성전환치료에 관한 권리 = 507
  6. 트랜스젠더에 대한 강간죄의 문제 = 508
 Ⅲ. 동성애자의 인권 = 509
  1. 혼인할 권리(right to marry) = 509
  2. 차별받지 않을 권리 = 510
  3. 동성애의 비범죄화 = 511
 Ⅳ. 성적 소수자에 대한 인정과 존중 = 512
 참고문헌 = 513
제30장 소수자의 차별과 평등권
 Ⅰ. 소수자의 개념 = 516
  1. 양적 소수자와 질적 소수자 = 516
  2. 상대적 소수자와 절대적 소수자 = 516
  3. 발굴된 소수자와 발굴되지 않은 소수자 = 517
 Ⅱ. 차별의 개념과 유형 = 517
  1. 차별의 개념 = 517
  2. 차별의 유형 = 518
 Ⅲ. 소수자의 평등권 = 521
  1. 차별의 이유를 제시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 = 521
  2. 차별의 합리적 근거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 = 522
  3. 가혹한 차별을 받지 않을 권리 = 522
  4. 사실적 차별의 시정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 = 523
 참고문헌 = 523
결론 인권의 조화롭고 균형있는 실현을 위하여
 Ⅰ. 생명에 대하여 = 525
 Ⅱ. 형벌에 대하여 = 526
 Ⅲ. 법제도의 악용에 대하여 = 527
 Ⅳ. 통계에 대하여 = 528
 Ⅴ. 성에 대하여 = 528
 Ⅵ. 도덕에 대하여 = 529
 Ⅶ. 매매에 대하여 = 530
 Ⅷ. 소수자(사회적 약자)에 대하여 = 530
 Ⅸ. 권리나 이익의 조화와 균형에 대하여 = 531
사항색인 = 53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