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87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539996 | |
005 | 20100807044059 | |
007 | ta | |
008 | 090401s2009 ulk 000cu kor | |
020 | ▼a 9788956283029 | |
035 | ▼a (KERIS)BIB000011630448 | |
040 | ▼a 241044 ▼c 241044 ▼d 211009 | |
082 | 0 4 | ▼a 895.71609 ▼2 22 |
085 | ▼a 897.1609 ▼2 DDCK | |
090 | ▼a 897.1609 ▼b 2009z10 | |
100 | 1 | ▼a 김준오 , ▼d 1937- ▼0 AUTH(211009)87091 |
245 | 1 0 | ▼a 현대시의 방법론과 모더니티 : ▼b 김준오 선생 유고집 / ▼d 김준오. |
260 | ▼a 서울 : ▼b 새미 , ▼c 2009. | |
300 | ▼a 469 p. ; ▼c 24 cm.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1609 2009z10 | 등록번호 11154201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준오(지은이)
1937년 경북 김천에서 태어났으며, 1957년 경남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61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뒤 1963년에는 ≪사상계≫ 편집원을 지냈다. 1975년 <현대시와 영원의 재발견>(≪심상≫)을 발표하며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1976년 <현대시의 현상학적 고찰>로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7년 부산대학교 문리과대학(현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전임강사로 부임하여, 이후 조교수, 부교수, 교수를 지냈다. 1987년 <한국 근대문학의 장르론에 대한 연구>로 계명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3∼1994년 부산대학교 교무처장과 대학원장을 지냈다. 1999년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 재직 중 지병으로 작고했다. 대표 저서로는 ≪시론≫을 들 수 있다. 이 저서는 1982년 문장사에서 제1판이 나온 이래, 1988년 이우출판사에서 제2판, 1991년 삼지원에서 제3판이 나왔다. 1997년 삼지원에서 나온 제4판은 2014년 8월 30일 현재 32쇄를 발행했다. 이외에 저서(비평집)로 ≪가면의 해석학≫(이우출판사, 1985), ≪한국 현대 장르 비평론≫(문학과지성사, 1990), ≪도시시와 해체시≫(1992년, 문학과비평사), ≪현대시의 환유성과 메타성≫(살림, 1997), ≪신동엽≫(건국대학교출판부, 1997)이 있으며, 작고한 뒤 유고집(저서)으로 ≪문학사와 장르≫(문학과지성사, 2000), ≪현대시와 장르 비평≫(문학과지성사, 2009), ≪현대시의 방법론과 모더니티≫(새미, 2009), ≪현대시의 해부≫(새미, 2009)가 있다. 역서로 ≪문학과 시간 형상학≫(심상사, 1979), ≪장르론≫(문장사, 1983)이 있으며, 편저로 ≪김영랑≫(서강대학교출판부, 1997)이 있다. 공저로 ≪한국 문학 연구 입문≫(지식산업사, 1982), ≪한국 현대시사 연구≫(일지사, 1983), ≪한국 현대시 연구≫(민음사, 1989), ≪한국 현대시와 패러디≫(현대미학사, 1996), ≪중국 조선족 문학의 전통과 변혁≫(부산대학교출판부, 1997), ≪한국 서술시의 시학≫(태학사, 1998)이 있으며, 유고 공저로 ≪동서시학의 만남과 고전 시론의 현대적 이해≫(새미, 2001)가 있다. 대표 평론으로 이 책에 실린 작품 외에 <탈의 시론 서설>, <시의 형식과 이데올로기>, <시와 서정성, 그리고 신서정> 등이 있다. 1985년 부산시문화상, 1992년 대학민국문학상 평론 부문 우수상, 1997년 제2회 시와시학상 평론상을 수상했다. 2011년 현대시학의 최고 권위자 중 한 사람인 김준오 평론가가 끼친 시학의 깊이와 그 정신을 기리고 현대시학의 발전을 목적으로 ‘김준오시학상’이 제정되어 2013년 현재 제3회까지 시행되었다.

목차
목차 1장 현대시의 방법론과 전통 현대시의 현상학적 고찰 = 11 시의 문체론적ㆍ언어학적 접근 = 85 현대시의 해석과 구조주의 = 115 한국시에 있어서의 전통성의 문제 = 135 고전주의 = 158 소설의 인물연구와 동일성의 문제 = 215 2장 모더니즘과 정신주의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티 문제 = 251 해체주의와 현대시의 전개 = 265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우리시의 전망 = 275 서정양식과 정신주의 시 = 292 생명예찬과 서정시의 주류화 = 310 새로운 시의 지평을 열기 위한 논쟁 = 321 문단과 문학비평, 무엇이 문제인가 = 333 3장 현대시의 심층 관념의 극화 = 351 고통의 객관화 = 357 언어와 체험의 가능성 = 363 서정시의 잠재된 지음 = 375 도전으로서의 문학 -1 980년대 민중문학 = 380 신인에서 노대가까지 불붙은 창작의욕 - 한국문학 속의 부산문학 = 384 허구의 기록성 - 강용준의〈파도야 파도야〉의 두 가지 문제 = 388 리얼리즘과 통속성 - 현대소설의 반성 = 392 탈서정양식과 아이러니 - 한국 현대시의 특징 = 396 현대문학의 서사적 비전과 기록문화 = 399 현대시의 사색적 반응과 보수주의 = 403 풍자적 양식과 현대시의 자기반영 = 414 1990년대시의 보수주의와 허무주의 = 423 작은 서사 혹은 주변화 = 431 죄의식과 향수시학 = 438 비가적 어조와 시적 모호성 = 446 시적 추상성과 현존성 = 454 형식주의와 의식비평 =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