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41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539073 | |
005 | 20100807043304 | |
007 | ta | |
008 | 090701s2009 ggka b 000a kor | |
020 | ▼a 9788953441651 | |
035 | ▼a (KERIS)BIB000011694223 | |
040 | ▼a 211052 ▼c 211052 ▼d 211009 | |
082 | 0 4 | ▼a 070.43 ▼2 22 |
090 | ▼a 070.43 ▼b 2009z5 | |
245 | 0 0 | ▼a 뉴스의 미래 = ▼x News / ▼d 권상희 , ▼e 김위근 , ▼e 박성철 편저. |
260 | ▼a 파주 : ▼b 이담Books , ▼c 2009. | |
300 | ▼a 283 p. : ▼b 삽도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권상희 ▼0 AUTH(211009)79857 |
700 | 1 | ▼a 김위근 ▼0 AUTH(211009)6117 |
700 | 1 | ▼a 박성철 ▼0 AUTH(211009)133000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43 2009z5 | 등록번호 11154170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43 2009z5 | 등록번호 11156287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 국가의 문화와 생활양식은 뉴스가 말해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뉴스는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단히 중요한 상품이라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21세기, 세상의 일들이 어떻게 일어나고 왜 일어나는가를 규명하려는 최초의 시도, 21세기 뉴스에 대한 정의가 변하고 있다.
뉴스의 변화, 그 의미
과거 매스 미디어는 사람들의 공통된 의견을 수렴하고 표현하는 유일한 수단이었다. 하지만 그들이 뭔가를 숨기고 있다는 생각은 매스 미디어에 대한 맹신에서 사람들을 점점 이탈시켰다. 매스 미디어는 이제 전혀 ‘객관적’이지 않은, ‘주관성’이라고 대변될 수 있는 상품이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뉴스는 중요하다. 사건, 사고 등과 지나간 기억을 담는 그릇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일기예보, 선거, 여론조사 등과 같이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측하기도 한다. 물가, 범죄, 정치현안, 경제 등과 같이 기대 가능한 뉴스와 환경, 오염, 기아, 폭발사고 등과 같이 예측 불가능한 뉴스로 그 범주가 구분되는 뉴스는 본질적으로 과거와 연관된다. 이미 벌어진 사건에 대한 기록이며, 지나쳐 온 시간을 다시 떠올리고 되새기기 위한 장치다. 뉴스가 사실로부터 비롯된다는 점은 그것이 이미 벌어진 사건에 대한 투영물이며 사실을 바라보는 고유의 시선을 드러내는 도구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증명한다.
과거를 돌아보는 뉴스와 아직 벌어지지 않은 미래의 조합이라니? 뭔가 석연치 않다. 아직 벌어지지 않은 미래의 일에 뉴스는 오로지 상상력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뉴스와 미래는 또한 그 연관성이 깊다. 무엇보다 하나의 콘텐츠로서의 뉴스는 최근 몇 년 사이에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뉴스 그 자체의 변화라기보다는 앞에서 언급했듯 뉴스를 생산하고 유통시키고 소비하는 환경의 변화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 변화의 폭과 가능성을 가늠하는 데 이 책의 의의가 있다.
이 책은 뉴스 소비의 변화, 미디어의 변화, 뉴스 내용의 변화가 상호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미디어 융합과 재매개라는 점에 초점을 맞춰 미디어의 변화를 설명한다. 인터넷이 만들어 낸 새로운 미디어, 블로그 뉴스에 주목하며, 융합미디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뉴스 콘텐츠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 가능성은 어떤지 살핀다. 과학계 뉴스의 변화 과정과 동향, 나아가 과학저널리즘에 대한 진지한 고찰을 담았으며, 다매체 환경으로 인한 매체 간 경쟁 심화가 지역뉴스에 주목하게 하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연구했다. 끝으로 온라인 환경이 저널리즘의 개념을 크게 변모시키고 있음을 밝혔다.
뉴스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새로운 공론의 장으로 뉴스를 끌어들일 때, 그 변화를 감지하고 나아가 발전으로 이끄는 데 보탬이 될 것이다. 뉴스의 변화를 예측하고 가능성을 들여다 볼 때 뉴스의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권상희(지은이)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이다. 사이버커뮤니케이션과 고급 커뮤니케이션 통계분석론을 강의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 미디어이론을 연구하고, 빅(big)데이터, 소셜 미디어, AI, 미디어이론에 관심을 두고 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학사, 캘리포니아 주립대 Radio-Television-Film학과에서 석사, 남일리노이 대에서 Mass Communication & Media Arts로 박사를 마쳤다. (주)삼성전자 홍보실과 아칸사스 주립대 신문방송학과에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캠브리지 대에서 연구년을 보냈다. 역서로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이론>, <디지털 시대 미디어 임팩트>, <미디어의 경쟁과 공존>, <아나운싱 : 디지털시대 방송 커뮤니케이션>과 저서로 <컨버전스와 미디어의 세계>, <디지털 문화론>이 있다. 주요 연구로 상호작용 차원연구, 미디어 적소연구, 인터넷 미디어 뉴스형식 연구, 인터넷 발달 보도 프레임 연구, 뉴 할리우드 영화의 포스트모더니즘 연구, 인터넷 광고 효과 모형, 온라인 저널리즘 기사구성방식 비교, 뉴 미디어시대 방송, 통신 융합 연구, 생명공학 보도경향 연구 등이 있다.
박성철(지은이)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미디어산업진흥부 부장이다. 스마트TV와 인터넷동영상(OTT)서비스 등 융합미디어 서비스 관련 정책연구와 진흥사업을 하고 있다. 서강대학교 화학과 졸업 후, 같은 대학교에서 언론학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한국 실패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 「해외 성공사례에서 배우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2015, 공저), 「달려드는 고객과 시민, 끌어안는 기업과 정부」(2010, 공역), 「과학저널리즘의 세계」(2010, 공역) 등이 있다. 논문으로 “건강과 위해의 경계, 흔들리는 과학”(2015), “논쟁적 과학이슈에 대한 신문보도 분석”(2013), “구미 유독가스 누출사고에 대한 텔레비전 뉴스보도 연구”(2013), “Mapping Health Communication Scholarship”(2010) 등이 있다.
김위근(지은이)
퍼블리시(주) 최고연구책임자(Chief Research Officer) 겸 퍼블리시미디어혁신연구소(PUBLISH Institute for Media Innovation) 소장이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BK21 글로벌문화커뮤니케이터양성사업단의 박사후연구원, 연구교수를 거쳐(2006~2010년),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선임연구위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재직했다(2010~2021년). 연구 분야는 디지털 저널리즘, 뉴스·미디어 신뢰, 포털·플랫폼 뉴스서비스, 미디어 테크놀로지, 미디어·언론 정책, 미디어 산업 및 비즈니스, 미디어 연구방법론, 미디어 통계 분석 등이다. 주요 연구로 『한국의 언론 신뢰도: 진단과 처방』(2018), 『한국 언론과 포털 뉴스서비스』(2020),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과 뉴스룸 트랜스포메이션』(2019), 『언론사의 디지털 혁신과 조직 문화』(2016), 『디지털 뉴스 콘텐츠 유통의 현재와 미래』(2014), 『한국의 인터넷 뉴스: 언론사닷컴, 인터넷신문 그리고 포털 뉴스서비스』(2013),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19: 한국』(2019), 『아세안 및 한.중.일 미디어 리포트 2019』(2019), 『일본 언론의 현실과 미래』(2020), 『젊은 세대의 뉴스미디어 이용: 현황과 전망』(2012),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모바일 뉴스 이용』(2011)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제1장 뉴스의 미래 vs 미래의 뉴스 / 권상희 1. 들어가며 = 13 2. 뉴스 소비의 변화 경향 = 15 3. 뉴스 콘텐츠의 변화 가설 = 19 4. 미디어의 변화 = 22 5. 뉴스 소비자의 변화 = 26 6. 범미디어적인 뉴스생산의 변화 = 29 7. 뉴스의 미래 = 32 8. 뉴스의 미래 vs 미래의 뉴스 = 36 제2장 미디어의 미래 / 김유석 1. 삶의 토대로서의 미디어 = 43 2. 미디어의 미래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 = 46 3. 미디어의 오늘 = 53 4. 미디어의 미래 = 65 5. 결론 = 80 제3장 블로그 뉴스의 미래 / 김익현 1. 서론 = 85 2. 시민저널리즘과 블로그 = 89 3. 블로그 뉴스의 특징 = 103 4. 블로그 저널리즘과 공론장의 새로운 가능성 = 119 5. 블로그 저널리즘의 미래 = 125 제4장 뉴스와 융합미디어 / 이옥기 1. 서론: 융합미디어의 발달과 맞춤형 뉴스의 필요성 = 137 2. 융합미디어의 맞춤형 서비스 개념 = 140 3. 맞춤형 뉴스의 정의 = 142 4. 맞춤형 뉴스의 현황 = 143 5. 융합미디어의 발전 전망 = 153 6. 결론: 맞춤형 뉴스의 킬러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안 = 162 5장 과학뉴스의 미래 / 박성철 1. 서론 = 175 2. 과학뉴스의 영역과 유형 = 179 3 과학뉴스의 제한적 속성 = 184 4. 과학뉴스의 딜레마 = 190 5. 새로운 과학뉴스를 찾아서 = 195 6. 과학뉴스의 재탄생 = 199 6장 지역뉴스의 미래 / 이진로 1. 서론 = 207 2. 개념 = 209 3. 현황 = 218 4. 전망 = 235 5. 결론 = 238 7장 온라인 저널리즘의 진화 방향: 신문 현상을 중심으로 / 김위근 1. 서론 = 243 2. 온라인 저널리즘 = 247 3. 온라인 저널리즘의 변화 = 254 4. 온라인 저널리즘의 진화 방향 = 267 5. 온라인 저널리즘의 관련 이슈 = 271 6. 미래의 신문 = 272 7. 결론 =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