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35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538786 | |
005 | 20121126212551 | |
007 | ta | |
008 | 090417s2009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8326045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1636957 | |
040 | ▼a 243009 ▼c 243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91425 ▼2 22 |
085 | ▼a 616.89142 ▼2 DDCK | |
090 | ▼a 616.89142 ▼b 2009 | |
100 | 1 | ▼a Hayes, Steven C. ▼0 AUTH(211009)91441 |
245 | 2 0 | ▼a (수용과 참여의) 심리치료 / ▼d Steven C. Hayes, ▼e Kirk D. Strosahl, ▼e Kelly G. Wilson ; ▼e 문성원, ▼e 김은선 옮김 |
246 | 1 9 | ▼a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 ▼b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09 | |
300 | ▼a xxi, 434 p. : ▼b 삽화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p. 421-429)과 색인수록 | |
650 | 0 | ▼a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
650 | 0 | ▼a Values clarification |
650 | 0 | ▼a Language and emotions |
700 | 1 | ▼a Strosahl, Kirk, ▼d 1950-, ▼e 저 ▼0 AUTH(211009)127444 |
700 | 1 | ▼a Wilson, Kelly G., ▼e 저 ▼0 AUTH(211009)25666 |
700 | 1 | ▼a 문성원, ▼e 역 ▼0 AUTH(211009)71105 |
700 | 1 | ▼a 김은선, ▼e 역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42 2009 | 등록번호 1115415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 청구기호 616.89142 2009 | 등록번호 13103649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9142 2009 | 등록번호 1115415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 청구기호 616.89142 2009 | 등록번호 13103649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내담자들뿐만 아니라 임상가들 사이에서도 부정적인 생각과 느낌을 극복해야 보다 생기가 넘치는 삶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그러한 목표를 이루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행동적 장애, 적응의 어려움, 생활에 대한 낮은 만족도로 끊임없이 고통을 겪는다.
이 책은 이성적인 변화 책략들이 토대로 하고 있는 바로 그 바탕을 바꾸어 놓는 방법으로 심리적 고통의 문제를 다루는 독창적인 심리치료 접근을 소개하고 있다.
내담자들뿐만 아니라 임상가들 사이에서도 부정적인 생각과 느낌을 극복해야 보다 생기가 넘치는 삶을 얻을 수 있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그러한 목표를 이루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행동적 장애, 적응의 어려움, 생활에 대한 낮은 만족도로 끊임없이 고통을 겪는다. 이 책은 이성적인 변화 책략들이 토대로 하고 있는 바로 그 바탕을 바꾸어 놓는 방법으로 심리적 고통의 문제를 다루는 독창적인 심리치료 접근을 소개하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Kirk D. Strosahl(지은이)
워싱턴 야키마에 있는 센트럴 워싱턴 가정의학과의 일차의료 심리학자이다. 이곳에서 그는 주로 저소득층 과소보험 내담자들이나 무보험 내담자 대상인 일반의료 실무에 ACT를 사용할 것을 장려하고 있다.
켈리 G. 윌슨(지은이)
미시시피대학교 심리학과의 부교수이다. 미시시피대학교의 Center for Contextual Psychology와 ACT Treatment Development Group의 소장이기도 하다.
스티븐 헤이즈(지은이)
네바다 재단 교수이자 네바다 대학 심리학과 임상 수련 책임자이다. 41권의 책과 600여 편의 논문을 냈고, 인간 언어와 인지의 속성, 이를 통해 인간의 고통을 이해하고 없애는 것과 인간 번영의 증진에 힘을 쏟았다. 많은 학회 활동을 했는데, 행동 인지 치료 학회Association for Behavioral and Cognitive Therapies와 맥락적 행동 과학 학회Association for Contextual Behavioral Science의 좌장이다. 행동 분석 진보를 위한 협회Society for the Advancement of Behavior Analysis에서 과학 응용 분야 기여상을 받았고, 행동 인치 치료 학회에서 공로상을 받았다.
문성원(옮긴이)
연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부를 마쳤으며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 아산병원과 경희의료원 정신과에서 심리 인턴 과정을 마쳤고, 연세대학교 학생상담소에서 상담원으로 근무한 바 있다. 2001년부터 지금까지 우석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프랑스 파리에 있는 Ecole des Hautes Etudes en Sciences Sociales(EHESS)와 뉴욕에 있는 Mount Sinai Hospital의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뉴욕의 William Alanson White Institute에서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수련을 받았고, 뉴욕의 Ackerman Institute for the Family에서 가족치료 과정을 수료했으며, 뉴욕 Schema Therapy Institute에서 International Training & Certification Program을 마쳤다. 역서로는 Serge Moscovici의 다수를 바꾸는 소수의 심리학(Social Influence and Social Change), Jeffrey Young의 성격장애의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제1부 인간이 겪는 문제와 그것에 대한 접근 제1장 인간이 겪는 괴로움에 대한 딜레마 = 3 주류 심리학의 기본 가정 = 4 파괴적인 정상성 가정 = 11 제2장 ACT의 철학적 및 이론적 근거 = 19 기법만으로 충분하지 않은 이유 = 20 철학의 필요성 = 24 기능적 맥락주의 = 26 관계적 틀 이론과 규칙에 의한 지배 : 언어에 기초한 행위에 대한 시각 = 39 요약 : 기능적 맥락주의, 규칙에 의한 지배, 그리고 관계적 틀 이론의 함축적 의미 = 66 제3장 정신병리 및 인간의 괴로움에 대한 ACT 모델 = 73 인간을 옭아매는 시스템 = 76 우리 주위에 만연해 있는 경험 회피 = 86 경험 회피의 파괴적 효과 = 90 경험 회피가 실효성을 보일 수 없을 때 = 97 어떻게 해서 인간은 투쟁 속으로 빠져 들게 되는가? = 101 ACT : 수용하라, 선택하라, 행동을 취하라 = 113 맥락적인 인지행동 치료로서의 ACT = 116 맺음말 = 116 치료자를 위한 개인적 연습 = 118 제2부 임상적 방법들 제4장 창조적인 무희망 : 통상적인 변화 아젠다에 도전하기 = 129 이론적 초점 = 129 임상적 초점 = 133 고지에 입각한 동의 = 134 시스템을 끄집어내기 = 136 시스템과 직면하기 : 창조적 무희망 = 145 실효성 없는 시스템을 포기하지 못하게 만드는 장애물들 = 161 투쟁 놓아 버리기라는 대안 = 162 치료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들 = 164 다음 단계로의 진전 = 167 임상가에 대한 개인적 작업 = 168 임상적 증례 = 168 부록 : 내담자 숙제 = 169 제5장 통제는 해결책이 아니라, 바로 문제이다 = 171 이론적 초점 = 173 임상적 초점 = 175 투쟁에 이름을 부여하기 : 통제가 바로 문제다 = 175 감정적 통제는 어떻게 학습되는가 = 186 통제가 명백하게 성공이었는지 검토하기 = 190 통제에 대한 대안 : 자발성 = 196 비자발성에 대한 대가 = 201 치료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들 = 205 다음 단계로의 진전 = 208 임상가에 대한 개인적 작업 : 통제가 문제인가? = 208 임상적 증례 = 209 부록 : 내담자에게 주는 과제 = 210 제6장 언어와의 융합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수용을 가르치기 = 219 이론적 초점 = 219 임상적 초점 = 223 언어의 오만을 공격하기 = 223 언어와의 융합에서 벗어나기 = 227 원인이라 생각하는 이유를 공략하기 = 241 문제 있는 언어적 습관 무너뜨리기 = 245 평가 대 기술 = 248 자발성 : 탈문자화의 목표 = 251 치료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들 = 257 다음 단계로의 진전 = 258 임상가에 대한 개인적 작업 : 당신 자신에 대한 당신 자신의 관점 = 259 임상적 증례 = 260 부록 : 내담자에게 주는 과제 = 262 제7장 자신을 발견하기, 융합에서 자신을 구분해 내기 = 265 이론적 초점 : 여러 가지 모습의 자기 = 266 임상적 초점 = 276 개념화된 자기에 대한 애착을 약화시키기 = 277 관찰적 자기에 대한 인식을 만들기 = 278 관찰적 자기에 관한 경험적 연습 = 282 치료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들 = 292 다음 단계로의 진전 = 295 임상가에 대한 개인적 작업 : 당신의 자아가 방해가 되고 있습니까? = 296 임상적 증례 = 297 제8장 가치 두기 = 299 이론적 초점 = 301 임상적 초점 = 306 가치 두기 : 나침반의 바늘 = 308 과정이 결과가 되게 하는 과정을 통해 그 과정은 결과가 된다 = 321 가치 명료화 : 나침반의 방향 정하기 = 324 가치, 목표, 행동 그리고 장벽에 대한 평가 = 325 장벽을 갖고 있는 자발성과 자발성을 갖고 있는 장벽 = 335 치료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들 = 336 다음 단계로의 진전 = 339 임상가를 위한 개인적 작업 : 방향 취하기 = 339 임상적 증례 = 340 제9장 자발성 그리고 적극적 참여 : ACT 실행하기 = 343 내담자가 처하는 곤경, 그리고 빠져나오는 출구 = 343 이론적 초점 = 344 임상적 초점 = 347 응용된 자발성이 가지고 있는 경험적 속성 = 347 가치, 목표, 그리고 행동과 다시 연결시키기 = 352 과정으로서의 참여 행동 = 354 참여적 행동은 장애물을 초래한다 = 355 우리 여정에 필요한 지도 : FEAR와 ACT = 357 참여 행동에 대한 일차적인 장벽 = 364 행동 치료로서의 ACT = 376 종결과 재발 방지 = 376 치료에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들 = 378 임상가를 위한 개인적 작업 : 적극적인 참여 행동 = 380 임상적 증례 = 381 부록 : 내담자를 위한 과제 = 383 제3부 ACT 활용하기 제10장 효과적인 ACT 치료적 관계 = 389 ACT에서의 긍정적인 지렛점 = 390 ACT에서의 부정적인 지렛점 = 401 치료적 관계 = 406 요약 = 407 제11장 맥락 안에서의 ACT = 409 21세기에 있어서의 ACT의 적절성 = 413 참고문헌 = 421 찾아보기 =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