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ⅰ
Ⅰ. 연구의 개요 = 1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1.2 연구의 목적 = 2
1.3 연구의 방법 = 3
1.4 연구의 범위와 내용 = 4
1.5 관련 선행연구의 내용 분석 = 5
Ⅱ. 환경변화와 기초연구 = 9
2.1 환경변화와 전망 = 9
2.1.1 국가사회의 환경변화 = 9
2.1.2 대학 연구와 교육의 환경 변화 = 11
2.2 기초연구의 개념과 중요성 = 17
2.2.1 기초연구의 개념 = 17
2.2.2 기초연구의 특성 변화 = 18
2.2.3 기초연구의 중요성 및 역할 = 20
2.3 기초연구에 대한 정부지원의 타당성 = 21
2.4 기초연구관련 법률 분석 = 23
2.4.1 우리나라 법률 분석 = 23
2.4.2 주요 국가 법률 분석 = 28
Ⅲ. 정부정책 방향 및 기초연구 동향 = 31
3.1 고등교육정책 변화 = 31
3.1.1 신정부 주요 정책방향 = 31
3.1.2 참여정부와 신정부 주요 정책 비교 = 32
3.2 산업구조의 변화 = 33
3.2.1 산업의 변화 추이 = 33
3.2.2 산업정책의 주요내용 = 35
3.2.3 산업인력 수요와 공급 = 38
3.2.4 시사점 = 41
3.3 주요 국가의 기초연구 정책 동향 = 43
3.3.1 미국 = 43
3.3.2 일본 = 47
3.3.3 중국 = 47
3.3.4 EU와 회원국 = 48
3.3.5 시사점 = 57
3.4 우리나라 연구개발 현황 및 수준 = 59
3.4.1 연구개발 투자 및 인력 = 59
3.4.2 연구개발 투자 성과 = 60
3.4.3 기초연구 수준 = 61
3.4.4 기초연구 인프라 현황 = 63
3.4.5 기초연구 경제사회 기여도 = 64
Ⅳ. 주요 국가의 연구지원기관 조직 및 사업구조 = 65
4.1 주요 국가의 연구지원기관 소개 = 65
4.1.1 미국 NSF = 65
4.1.2 독일 DFG = 67
4.1.3 영국 EPSRC = 69
4.1.4 일본 JSPS = 71
4.1.5 스페인 CSIC = 73
4.1.6 시사점 = 77
4.2 한국연구재단(NRF) = 78
4.2.1 설립배경 및 주요 기능 = 78
4.2.2 사업구조 및 추진방향 = 79
4.2.3 시사점 = 85
Ⅴ. 설문조사결과 분석과 해석 = 87
5.1 조사설계 = 87
5.1.1 설립조사 개요 = 87
5.1.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87
5.2 조사결과 분석과 해석 = 89
5.2.1 개인적 특성 = 89
5.2.1 주요 내용 분석 및 해석 = 90
Ⅵ. 기초연구 중장기 방향과 과제 = 99
6.1 SWOT 분석 = 99
6.2 비전 및 추진과제 = 101
6.2.1 비전 및 목표 = 101
6.2.2 중점 및 세부 추진과제 = 106
6.3 추진과제별 주요 내용 = 108
6.3.1 기초연구역량 강화 = 109
6.3.2 우수연구인력 양성ㆍ활용 = 122
6.3.3 대학연구기반 조성 = 130
6.3.4 연구네트워크 구축 = 140
6.3.5 연구성과 확산ㆍ활용 = 149
6.4 투자방향 및 성과지표 개선 = 158
6.4.1 향후 투자의 기본 방향 및 계획 = 158
6.4.2 성과지표 개선 = 160
Ⅶ. 연구 요약 및 시사점 = 163
7.1 연구요약 = 163
7.2 연구의 시사점 = 164
참고문헌 = 169
부록 = 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