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서론 민주주의의 지구화 = 23
Ⅰ. 민주주의의 지구화, 아시아의 의식지도 - 아시아 수요조사의 의의와 목적 = 43
Ⅱ. 아시아 지도의 조각 찾기 - 아시아 수요조사의 진행 = 47
Ⅲ. 민주주의 지구화 흐름 속의 아시아 - 아시아 수요조사결과 분석 = 51
1. 조각과 전체 - 아시아 수요조사분석의 개요 = 51
2. 조각 맞추기 - 결과 분석 = 54
2.1. 민주주의 국제협력에 대한 기본 인식 및 정향
2.1.1. 민주주의 국제협력에 대한 인식
2.1.1.1. 민주주의 국제협력은 필요한가?
2.1.1.2. 어떤 지원 방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2.1.1.3. 어떤 형태의 네트워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
2.1.2 민주주의 국제협력의 동기에 대한 인식
2.1.2.1. 어떤 동기에서 민주주의 국제협력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하는가?
2.1.2.2. 민주주의 국제협력은 공여국에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가?
2.2. 민주주의 국제협력에 대한 평가 - 민주주의 국제협력 경험에 기반한 평가 = 74
2.2.1. 민주주의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2.2.2. 민주주의 국제협력의 장애 요인
2.3. 자국의 민주주의에 대한 평가 = 81
2.3.1. 자국 민주주의의 수준 평가
2.3.2. 자국 민주주의의 핵심 이슈
2.3.3. 민주주의 결함의 원인
2.3.3.1. 민주주의 발전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문제점
2.3.3.2. 민주주의를 저해하는 문화적 요인의 심각성
2.3.4. 민주주의 발전의 핵심 요소
2.4. 민주주의 국제협력에 대한 수요 = 93
2.5.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과 기대 = 96
2.5.1.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평가
2.5.1.1. 한국을 대표하는 인상
2.5.1.2. 한국 민주주의의 수준
2.5.2. 한국 민주주의 국제협력에 대한 기대
2.5.2.1. 한국에 기대되는 민주주의 국제협력 프로그램
2.5.2.2.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추진해야 할 프로그램
2.5.3.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
3. 소결 - 아시아 민주주의 국제협력을 위한 교훈 = 108
Ⅳ. 부록
1. 몽골 = 129
2. 방글라데시 = 175
3. 캄보디아 = 221
4. 인도 = 167
5. 인도네시아 = 313
6. 말레이시아 = 359
7. 네팔 = 405
8. 필리핀 = 451
9. 스리랑카 = 497
10. 대만 = 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