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64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534376 | |
005 | 20100807034836 | |
007 | ta | |
008 | 090323s2009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93632033 ▼g 93070 | |
035 | ▼a (KERIS)BIB000011625816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46 ▼d 244002 | |
082 | 0 4 | ▼a 070.43 ▼a 070.19 ▼2 22 |
090 | ▼a 070.43 ▼b 2009z2 | |
100 | 1 | ▼a 김학희 ▼0 AUTH(211009)85063 |
245 | 1 0 | ▼a 방송보도 = ▼x Broadcast news reporting & writing / ▼d 김학희, ▼e 이재경 지음. |
260 | ▼a 서울 : ▼b 나무와숲 , ▼c 2009. | |
300 | ▼a 349 p. : ▼b 삽도 ; ▼c 26 cm. | |
500 | ▼a 이 책은 '방송뉴스 : 취재와 보도(서울:나무와 숲,1998)'의 개정증보판임 | |
504 | ▼a 참고문헌: p. 346-349 | |
700 | 1 | ▼a 이재경 ▼0 AUTH(211009)85062 |
740 | ▼a 방송뉴스 : 취재와 보도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43 2009z2 | 등록번호 1115414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70.43 2009z2 | 등록번호 1512740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70.43 2009z2 | 등록번호 1115414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70.43 2009z2 | 등록번호 1512740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방송뉴스 취재와 보도>의 개정증보판. 최근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방송 환경을 반영해 내용을 대폭 수정, 보강하였다. 책 제목도 방송의 일반뉴스와 함께 또 다른 보도 형식인 보도제작 부문까지 다룬 만큼 ‘방송뉴스’에서 좀더 넓은 의미의 ‘방송보도’로 바뀌었다.
이 책은 모두 4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전 판보다 1부가 더 늘어난 것이다. 최근 방송에서 갈수록 그 비중이 커져 가고 있는 보도제작 부문을 다룬 4부를 새로 추가했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케이블 TV와 IPTV 등 방송 매체의 증가로 방송기자가 아니더라도 방송기자에 준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현실에서 이들에게 필요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방송보도 최고의 이론서이자 실전의 길잡이!
디지털.다매체 시대의 방송 뉴스뿐 아니라 인터넷 뉴스와 보도제작 프로그램까지 아우른 방송보도 최고의 이론서이자 실전의 길잡이가 나왔다. 10년 전에 나왔던『방송뉴스 취재와 보도』의 개정증보판인『방송보도』가 그것. 최근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방송 환경을 반영해 내용을 대폭 수정?보강함으로써 거의 새 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달라졌다. 책 제목도 방송의 일반뉴스와 함께 또 다른 보도 형식인 보도제작 부문까지 다룬 만큼 ‘방송뉴스’에서 좀더 넓은 의미의 ‘방송보도’로 바뀌었다.
이 책은 모두 4부로 이루어져 있다. 『방송뉴스 취재와 보도』보다 1부가 더 늘어난 것. 최근 방송에서 갈수록 그 비중이 커져 가고 있는 보도제작 부문을 다룬 4부를 새로 추가했기 때문이다.
1부에서는 먼저 신문이나 잡지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영향력이 큰 방송 뉴스의 사회적 의미와 특성, 기사의 종류, 방송 과정, 보도부문 조직과 인력, 장비와 시설 등을 소개, 방송 뉴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다.
2부에서는 어떻게 취재를 하고 어떻게 기사를 쓰는지 방송 뉴스 취재와 제작의 기초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알기 쉽게 설명한다. 특히 잘못된 기사들을 종류별로 제시하며 어떻게 하면 더 나은 기사로 바꿀 수 있는지 보여주고, 데스크와의 관계와 리포트 녹음, 그림 편집에서의 주의사항 등도 알아본다. 뿐만 아니라 위장취재와 몰래카메라 등 자칫 소홀하게 생각하기 쉬운 취재윤리의 문제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3부에서는 실제 방송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기사를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사건?사고 기사에 비중을 두었지만 정치나 경제?사회?문화?스포츠 기사까지 범위를 확대해서 거의 모든 기사를 공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갈수록 중요한 기사로 인정받고 있는 기획 기사와 TV 뉴스에서 기사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나타나는 스케치 기사가 실제 보도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4부에서는 매거진식 시사보도 프로그램과 심층분석 프로그램 같은 시사보도 프로그램부터 미디어 프로그램 등 분야별 제작 프로그램과 다큐멘터리, 그리고 사회의 주요 문제를 다루는 토론 프로그램까지 상세하게 다뤄 거의 모든 분야의 보도제작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 들어 케이블 TV와 IPTV 등 방송 매체의 증가로 방송기자가 아니더라도 방송기자에 준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현실에서 이들에게 필요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이 책은 방송 관련 일을 하려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안내자가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재경(지은이)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와이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아이오와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MBC 사회부 및 경제부 기자로 일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를 지냈다. 현재는 윤세영 저널리즘 스쿨을 운영하는 이화여자대학교 저널리즘 교육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김학희(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어학과 졸업. 문화방송 보도국 기자. 보도국 전국부장, <100분 토론>, <...사실은> 담당 부장, 보도다큐 팀장, 보도제작국 부국장을 지냈으며, 2009년 현재는 보도국 편집에디터 소속으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방송뉴스 취재와 보도>, <염치>(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가 있다.

목차
목차 개정증보판을 내며 = 5 초판 서문 = 9 1부 방송 뉴스에 대한 이해 1. 방송 뉴스와 현대 사회 = 21 방송 뉴스의 사회적 의미 = 21 방송 뉴스의 영향력 =22 의식공동체의 주역 의제설정의 주도 세력 언어 문화의 주도 디지털ㆍ다매체 시대, 확장되는 방송 뉴스 영역 = 24 2. 방송 뉴스의 특성과 기사의 종류 = 25 방송 프로그램의 두 종류 : 보도와 제작 = 25 보도-기자 제작-PD 방송 뉴스의 특성 = 27 방송 뉴스는 빠르고 넓게 확산된다 모든 방송 뉴스는 생방송이다 기자 리포트는 미리 만든다 편성에 따라 정해진 시각에 방송된다 방송 뉴스의 종류 = 29 종합뉴스 일반뉴스 방송 기사와 신문 기사의 차이 = 30 구어적 표현을 쓴다 마감시간이 없다 기사 문장이 짧다 현장적ㆍ감각적 표현 방송 기사의 종류 = 32 형태별 분류 내용별 분류 3. 뉴스의 방송 과정 = 41 뉴스 프로그램은 어떻게 방송되는가 = 41 편집부서의 기능과 역할 = 41 기사 취사선택과 배열 스트레이트 기사의 방송 과정 = 46 리포트 기사의 방송 과정 = 47 스트레이트성 리포트 기획성 리포트 TV 일반뉴스의 방송 과정 = 50 기사 편집 큐시트 작성과 업무 연락 관련 준비 방송 TV 종합뉴스의 방송 과정 = 52 기사 편집-편집회의 큐시트 작성과 조치 관련 준비 방송 라디오 뉴스의 방송 과정 = 58 기사 편집, 큐시트 작성 방송 인터넷 뉴스 = 60 새로운 네트워크 사회 시청자가 변하고 있다 인터넷 뉴스의 기능 4. 방송보도 부문 조직 = 65 변화와 진통의 보도 부문 조직 = 65 보도국 = 66 편집부서 취재부서 국제팀 영상자료실 CG실(Computer Graphic) 기상센터 5. 방송보도를 만드는 사람들 = 72 국장 = 72 부국장(팀장 또는 에디터) = 73 각 부장들(선임 데스크 또는 팀장) = 73 편집기자 = 74 취재기자 = 74 스포츠기자 = 75 영상취재기자 = 75 앵커와 아나운서 = 76 기상캐스터 = 78 기술감독(TD : Technical Directer) = 79 그 밖의 인력 = 79 6. 방송 뉴스 제작 장비 = 81 취재 현장에 필요한 장비 = 81 카메라 무선 마이크 삼각대 휴대용 조명 TV 뉴스 제작 시설과 장비 = 86 뉴스센터 방송타워 편집기 라디오 뉴스의 장비와 시설 = 88 AMU(Audio Mixing Unit) 스튜디오 생방송 뉴스용 장비들 = 90 전화 중계차 SNG 헬기 2부 방송 뉴스 취재와 제작의 기초 7. 좋은 방송기자는 어떤 사람인가 = 95 취재기자의 자질 = 96 편집기자의 자질 = 96 카메라기자의 자질 = 97 동료와 함께 일할 줄 아는 사람 = 98 8. 방송기사 취재는 어떻게 하는가 = 99 취재란 무엇인가 = 100 기삿거리 찾기 = 100 좋은 취재기자의 조건 = 101 끊임없는 노력 뉴스 흐름에 대한 이해 새로운 것에 대한 안목 보도 여건의 숙지 출입처 제도 = 103 취재원은 무엇인가 = 104 모든 사람이 취재원이다 믿을 만한 취재원을 가릴 수 있어야 한다 취재원에게 책임 있게 행동하라 정직하게 취재하라 문서나 자료 형태의 취재원도 중요하다 지켜야 할 취재 관행 = 107 엠바고(embargo) 온 더 레코드(on the record) 오프 더 레코드(off the record) 배경 설명(background) 방송 기사에서 취재원 밝히기 = 108 취재원을 밝힌 경우 취재원을 밝히지 않은 경우 익명의 취재원 인터뷰 취재시 주의사항 = 111 직접 인터뷰 전화 인터뷰 서면 인터뷰 그림 취재 = 113 스탠드 업(Stand-Up) = 114 9. 방송 기사의 특징과 좋은 기사 쓰기 = 115 방송 기사의 구성 요소 = 116 제목 리드 본문 방송 기사 리드의 종류 118 본문형 리드 요약형 리드 질문형 리드 나열형 리드 직접 인용 리드 고발형 리드 리드와 앵커 멘트 = 122 방송 기사에 적합한 어법과 표기법 = 122 존댓말을 사용한다 표준말을 쓴다 쉬운 말을 쓴다 구어체를 사용한다 품위 있는 표현을 사용한다 '하여'와 '되어'는 안 된다 숫자의 표현 시제 표현법 기사쓰기의 과정 = 126 기사쓰기에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요령 = 127 기사의 초점을 기억하라 리드는 여러 개 준비하라 나중에 고쳐라 시청자의 질문을 생각하라 소리 내어 읽어 보라 기사의 정확성과 구체성을 확인하라 좋은 방송 기사의 요건들 = 129 짧은 단문으로 써라 능동형 문장을 써라 문장의 길이를 변화시켜라 전문용어를 피하라 세부 묘사가 중요하다 피해야 할 기사 어법 '∼라는 ∼이다' '∼하는 거, 하는 걸로' 기사 고치기의 중요성과 데스크의 역할 = 136 기사 고치기의 과정 데스크 작업과 데스크의 역할 기사의 송고 = 150 리포트 완제품과 주의사항 = 150 녹음 작업과 기사읽기 그림과 소리 편집 10. 방송 뉴스 취재의 윤리적 고려사항 = 155 위장취재란 무엇인가 = 157 몰래카메라 기법은 어떠한 경우를 포함하는가 = 158 언론 윤리의 이론적 토대 = 159 위장취재와 몰래카메라의 윤리적 검토 = 162 위장취재와 관련한 고려사항 몰래카메라와 관련한 고려사항 바람직한 취재 자세 = 167 3부 방송 기사의 보도 11. 발생 기사 = 171 사건ㆍ사고 기사 = 172 사건ㆍ사고 기사는 관심의 대상이다 취재 훈련은 사건ㆍ사고로 시작한다 사건ㆍ사고 기사의 생명은 현장성이다 사회의 구조적 문제도 다룬다 사건ㆍ사고 취재 요령 = 174 현장 취재 주요 취재 내용 주요 취재원 2단계 취재 유형별 사건ㆍ사고 기사 = 178 교통사고 화재 사건 범죄 사건 시위 재난 정치ㆍ경제 스포츠 12. 발표 기사 = 214 경찰 검거 기사 = 215 검찰 검거 기사 = 220 판결 기사 = 224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ㆍ날씨 기사 = 227 13. 기획 기사 = 236 기획 기사의 특징 = 236 기획 기사의 종류 = 237 스트레이트성 기획 일반 기획 14. 스케치 기사 = 261 스케치 기사의 특징 = 261 기사작성 요령 = 262 종류별 스케치 기사 = 263 휴일 스케치 명절 스케치 기념일 스케치 사건사고성, 그 밖의 스케치 4부 보도제작 프로그램 15. 시사보도 프로그램 = 283 제작 과정 = 283 기획회의 취재와 구성회의 기사쓰기와 데스크 작업 소리와 그림 편집 종합편집과 방송 매거진식 시사보도 프로그램 = 287 심층분석 시사보도 프로그램 = 295 16. 분야별 제작 프로그램 = 306 미디어 비평 프로그램 = 306 미디어 비평 프로그램의 기능 다루는 내용 경제 전문 프로그램 = 309 북한 전문 프로그램 = 311 특파원 참여 프로그램 = 312 다큐멘터리 = 314 특성 종류 17. 토론 프로그램 = 318 토론 방식의 종류 = 318 찬반토론 기자회견식 토론 현장토론 끝장토론 난상토론 제작 과정 = 321 기획회의 출연자 섭외 구성회의 대본쓰기 방청객 섭외 리허설 방송 일반 토론 방송 = 325 선거 토론 방송 = 333 유래 선거 토론 방송의 특징 제작 과정 방송 과정 참고문헌 =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