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參與的 目標設定과 學習成果와의 關聯性 硏究

參與的 目標設定과 學習成果와의 關聯性 硏究

Material type
학위논문
Personal Author
김기평
Title Statement
參與的 目標設定과 學習成果와의 關聯性 硏究 = (A)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ory Goal Setting and the Learning Outcome / 金基評.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2009.  
Physical Medium
viii, 65 p. : 삽도 ; 26 cm.
기타형태 저록
(DCOLL211009)000000007015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조직관리 전공 , 2009.2.
학과코드
0510   6K04   67  
General Note
단면인쇄임  
지도교수: 강수돌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 61-63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목표설정 , 학습성과 ,,
000 01013namccc200289 k 4500
001 000045533021
005 20100807033331
007 ta
008 090626s2009 ulka bmAC 000a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5 ▼a 0510 ▼2 KDCP
090 ▼a 0510 ▼b 6K04 ▼c 67
100 1 ▼a 김기평
245 1 0 ▼a 參與的 目標設定과 學習成果와의 關聯性 硏究 = ▼x (A)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ory Goal Setting and the Learning Outcome / ▼d 金基評.
260 ▼a 서울 : ▼b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c 2009.
300 ▼a viii, 65 p. : ▼b 삽도 ; ▼c 26 cm.
500 ▼a 단면인쇄임
500 ▼a 지도교수: 강수돌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 ▼c 조직관리 전공 , ▼d 2009.2.
504 ▼a 참고문헌 : p. 61-63
530 ▼a PDF 파일로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목표설정 ▼a 학습성과
776 1 8 ▼w (DCOLL211009)000000007015
900 1 ▼a 강수돌 , ▼e 지도교수
900 1 ▼a Kim, Ki Pyeong
945 ▼a KINS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參與的 目標設定과 學習成果와의 關聯性 硏究 (133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K04 67 Accession No. 16304888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K04 67 Accession No. 16304888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Thesis)/ Call Number 0510 6K04 67 Accession No. 15305595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K04 67 Accession No. 16304888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K04 67 Accession No. 16304888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Thesis)/ Call Number 0510 6K04 67 Accession No. 15305595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이 연구는 목표설정에 따른 153명의 학생들의 학습 성과를 비교하여 참여적 목표설정이 방임과 지시적 목표설정에 비해 학습 수행과 결과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 성과의 측정은 2과목의 평균 시험점수와 목표달성과 탈락이라는 기준으로 구분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이론을 기초로 연구가설 7개와 모형 1개를 설정하였으며, 변인에 있어서는 학습주체 소속과 학년 및 학습수용능력을 매개변인으로 하였고, 목표설정요인 즉, 지시적, 참여적, 방임적 목표설정 그룹을 독립변인, 학습결과 및 목표달성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목표설정요인이 학습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P<0.0001)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지시와 참여 간에는 학습결과에 차이가 없고 지시와 방임, 참여와 방임 간에는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표설정요인과 목표달성도를 분석한 결과 목표달성도가 지시적 집단에 비해 참여적 집단에서 더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학습목표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시적 또는 방임적 보다는 참여적 목표설정방식을 선택 할 때 효과를 볼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uch the participatory vs. directive vs. laissez-faire goal setting would have an effect on the learning performance and outcome by comparing 153 students' learning results from various goal settings. The learning results were measured by the average exam points of two subjects. And also measured by the criterion of success in their goal achieve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seven hypotheses and one model for this research were set up, based on some precedent researches and theories. The variables were composed of three, the first, schools(elementary, middle, high), grades and learning abilities as the circumstance variables, the second, the goal setting factors, namely these three groups: directive, participatory and laissez-faire as the independent ones, and the third, the learning outcome and goal achievement as the dependent ones. The main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like below. Firstly, goal setting factors had a different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P<0.0001). In detail,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directive and participatory groups, where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between the directive and laissez-faire groups, so was between the participatory and laissez-faire ones. Second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oal setting factors and the goal achieving ratio showed that the participatory group had a certainly better goal achieving ratio than directive one. At last this study implies that the teachers or parents should choose the participatory goal setting method rather than a directive or a laissez-faire one, if they expect their students to achieve their academic goal.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목적 = 1
 제 2 절 연구내용 = 2
제 2 장 이론적 배경 = 4
 제 1 절 목표설정이론 = 4
  1. 목표의 개념 및 특성 = 4
  2. 목표설정 제이론 = 6
   (1) Locke(1968)의 이론 = 7
   (2) Garland의 인지 매개이론 = 9
   (3) Burton의 경쟁적 목표설정이론 = 11
 제 2 절 목표설정과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 14
  1. 목표설정방법 = 14
  2. 목표설정의 주체 = 16
   (1) 지시적 목표 = 16
   (2) 참여적 목표 = 17
   (3) 자기 설정 목표 = 17
제 3 장 실증연구 = 19
 제 1 절 연구모형, 가설 및 방법 = 19
  1. 연구모형 = 19
  2. 연구가설 = 20
  3. 연구 방법 = 21
 제 2 절 연구결과 = 24
  1. 기초자료 = 24
  2. 가설검증 = 27
   (1) 가설 1에 대한검증 = 27
   (2) 가설 2에 대한검증 = 30
   (3) 가설 3에 대한검증 = 31
   (4) 가설 4에 대한검증 = 36
   (5) 가설 5에 대한검증 = 40
   (6) 가설 6에 대한검증 = 44
   (7) 가설 7에 대한검증 = 49
  3. 로지스틱회귀분석 = 51
   (1) 학습성취도가 목표달성도에 미치는 영향 = 51
   (2) 목표설정요인이 목표달성여부에 미치는 영향 = 51
   (3) 소속학교가 목표달성여부에 미치는 영향 = 52
   (4) 학습수용능력이 목표달성여부에 미치는 영향 = 53
제 4 장 결론 및 연구의 한계 = 54
 제 1 절 요약(Summary) = 54
 제 2 절 결론 = 56
 제 3 절 제언 = 58
 제 4 절 한계점과 향후과제 = 60
[참고문헌 ] = 61
ABSTRACT = 6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