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설 : 문학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읽을 것인가
1. 문학이란 무엇인가 = 17
문학은 언어예술이다 = 17
문학은 삶의 재창조다 = 18
문학은 가르치고 기쁨을 준다 = 20
문학은 개성의 한 표현이다 = 21
문학은 문학작품 그 자체다 = 22
2. 문학작품과 작품일기 = 24
문학과 문학이론 = 24
감수성 취미의 교정 = 26
삼각형의 욕망 = 27
독자와 텍스트 = 29
경이의 체험 = 30
재인식의 체험 = 31
리얼리티와 감동 = 33
자기확대와 자기성찰 = 34
3. 문학은 어디서 왔는가 = 36
예술은 원초적인 정신활동 = 36
헤도니즘과 마르크시즘 = 37
가) 모방충동설 = 37
자연의 모방 = 37
관습적 이성 = 38
예술은 상징적 언어 = 39
나) 유희충동설 = 40
무상성의 활동ㆍ자유정신 = 40
예술은 일종의 놀이 = 41
다) 자기과시설 = 42
예술은 자기과시 = 42
라) 실용도구 유래설 = 43
헌과 그로세의 발생론적 起源說 = 43
한국문학의 기원 = 45
4. 예술과 언어ㆍ예술과 문학 = 46
모순의 언어 = 46
의미와 체험 = 47
말 없는 소리ㆍ인식의 소리 = 48
기술적 묘사와 표현적 묘사 = 51
언어의 외연적 사용과 내연적 사용 = 52
시와 산문 = 54
직관과 표현 = 56
예술의 표현성 = 56
5. 문학의 기능 = 59
가) 교육적 기능과 심리적 기능 = 60
지식의 문학 = 60
시인추방,『공화국』의 세계 = 60
문학당의정설 = 62
힘의문학 = 63
카타르시스;『시학』의 세계 = 64
이해 관계에서의 일탈과 무관심의 기쁨 = 65
프로이드와 니체의 예술론 = 66
나) 문학의 양면성ㆍ도덕성과 예술성 = 67
보들레르의 예술을 위한 예술 = 68
토마스만의 예술성 = 69
톨스토이의 도덕성 = 69
사르트르의 사회참여 = 70
니체의 藝術性과 倫理性 = 71
김동인과 신채호의 문학관 = 72
다) 양자는 상호보족적 = 73
6. 문학의 장르 = 75
가) 장르의 개념 = 75
장르는 문학의 종류 = 75
서정시ㆍ서사시ㆍ극시 = 75
유개념과 종개념 = 77
장르의 개방성 = 79
나) 장르 구분과 장르사 = 80
장르 구분의 기준 = 80
브륀티에르의 장르사 = 82
현대 장르 논의 = 83
다) 한국문학의 장르 = 84
시가ㆍ산문으로서의 양분설 = 84
시가ㆍ가사ㆍ문필로의 3분설 = 85
시가ㆍ가사ㆍ소설ㆍ희곡으로의 4분설 = 85
서정ㆍ서사ㆍ극으로서의 3분설 = 86
서정ㆍ교술ㆍ서사ㆍ희곡으로의 4분설 = 86
7. 수사학ㆍ문체와 톤 = 88
가) 문체의 개념 = 88
문체와 문체론 = 88
문체는 작가의 대현실안 = 89
나) 문체의 방법 = 90
관념체와 구상체 = 90
현실과 문장 주체와의 관계 = 91
언어학과 문체론 = 94
다) 문체와 어조 = 94
개성 있는 작가의 태도 = 94
목소리와 거리 = 95
라) 아이러니 = 96
아이러니란? = 96
말의 아이러니와 극적 아이러니 = 98
아이러니의 양상 = 99
8. 文學과 美의 類型 = 103
美의 여러 가지 類型 = 103
숭고미와 우아미 - 볼륨의 아름다움과 리듬의 아름다움 = 103
悲劇美와 喜劇美 - 갈등과 화해 = 105
9. 상호텍스트성 - 대화이론 = 108
작품에서 텍스트로 = 108
轉寫와 變容 = 109
해방의 기호ㆍ패러디 = 110
10. 문학의 구조 = 112
전체와 부분 = 112
동적 구조 = 113
형식과 내용의 동일성 = 114
유기적 형식과 기계적 형식 = 116
낭만과 고전적 패턴 = 117
Ⅱ 시란 무엇이며 어떻게 읽을 것인가
1. 시란 무엇인가 = 121
모방론과 효용론 = 121
표현론 = 122
객관론 = 123
시의 원의 = 123
2. 시작품과 시읽기 = 125
언어의 변증법 = 125
관점과 대상 = 126
시의 제재론 = 127
낯설음의 시학 = 128
퍼스나ㆍ목소리 = 130
은유와 환유 = 133
3. 시의 특성 = 135
가) 시성이란 무엇인가 = 135
시의 관상학 = 135
상황과 역동성 = 136
정신과 물질의 동일시 = 137
대상과 자아의 동일화 = 139
동일한 분위기 속에 동화ㆍ동일시 = 141
나) 시의 난해성과 해석의 난점 = 143
시는 일종의 바벨탑 = 143
베일의 미학 - 모호성 = 144
시적 깊이 - 애매성 = 144
낯설게 하기 - 신기성 = 146
시 해석의 난점 = 147
4. 시의 구성요소 = 150
말소리ㆍ말뜻ㆍ암시 = 150
음악시ㆍ시각시ㆍ언어시 = 151
말뜻ㆍ느낌ㆍ어조ㆍ의도 = 152
가) 말소리의 구조 = 153
운율과 운율론 = 153
소리의 반복 = 156
리듬의 반복 = 159
반복과 변조 = 163
자유시ㆍ산문시 = 165
나) 語法의 구조 = 168
어법은 말의 선택 = 168
시어는 개성적인 언어 = 169
시어의 산문성 = 170
다) 이미지의 구조 = 172
이미지란? = 173
이미지의 세 가지 類型 = 174
이미지의 기능 = 176
이미지와 유추 = 178
기타ㆍ비유적 언어 = 182
5. 현대시의 이모저모 = 188
가) 주지적 계열 = 188
현대시 운동 = 188
흄의 안티ㆍ휴머니즘 = 189
파운드와 고전주의 시론 = 191
엘리엇의 감수성의 시론 = 192
랜섬의 형이상시 = 194
리쳐드의 포괄의 시 = 195
맥클리시의 詩法 = 197
나) 상징적 계열 = 198
상징주의와 지성 = 199
견자의 시학 = 200
다다이즘 = 201
초현실주의와 자동기술법 = 202
6. 한국 근대시의 구조적 전개 = 205
한국 근대시와 전통 = 205
한국 근대시와 전통 = 205
민중성과 작품성 = 206
낭만성과 현실성 = 208
한국시의 유기적 전개 = 213
7. 시조란 무엇인가 = 217
가) 시조의 세계 = 217
시조라는 것 = 217
자설시조와 타설시조 = 218
도선문후 = 221
실감실정 = 224
근대시에의 전환 = 227
나) 사설시조의 세계 = 228
사설시조 - 스타일 혼합 = 228
사설시조의 양면성 = 230
생활시 - 사설시조 = 232
다) 현대시조의 이모저모 = 234
각성과 저항의 시조 = 234
시조부흥운동 - 型의 시조 = 237
신시조운동 - 形의 시조 = 239
현대성과 시조성 = 241
Ⅲ 소설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읽을 것인가
1. 소설이란 무엇인가 = 247
소설의 형성 - 리얼리즘의 형식 = 247
소설의 개념 = 247
소설의 기원과 명칭 = 249
근대소설의 형성과 전개 = 251
리얼리즘 소설들 = 253
2. 소설작품과 작품읽기 = 255
허구와 진실 = 255
인간의 탐구ㆍ인생의 표현 = 257
3. 소설의 구성요소 = 259
가) 플롯 = 259
플롯의 개념 = 259
플롯의 전개 = 261
플롯의 단계 = 264
발단 = 264
갈등 = 266
절정 = 266
대단원 = 267
나) 캐릭터 = 268
캐릭터의 개념 = 268
개성과 보편성 = 269
캐릭터와 전형성 = 269
인물설정방법 = 271
평면적 인물과 입체적 인물 = 272
에펠레이션 = 275
캐릭터의 기능 = 275
다) 테마 = 277
주제의 의미 = 277
동기의 구체화 = 277
주제의 특성 = 279
주제와 일반성 = 280
4. 서사의 수사학 - 소설의 문장 = 282
요약은 재주 있는 여행가 = 282
장면은 현실의 시간 = 284
묘사는 그림이다 = 285
소설문장의 분석 = 286
5. 화자의 시학 - 시점과 거리 = 289
가) 시점 : 서술의 초점 = 289
시점이란 무엇인가? = 289
일인칭 서술 = 290
일인칭관찰자 서사 = 292
삼인칭관찰자 서술 = 293
전지적 작가 서술 = 294
나) 거리 = 295
거리란 무엇인가? = 295
거리의 영상 = 296
다) 환경ㆍ배경과 분위기 = 298
환경의 효용 = 298
분위기 = 300
상징과 패턴 = 302
시간과 공간구조 = 304
6. 현대소설의 이모저모 = 306
모더니즘ㆍ내면성 탐구 = 306
조이스와『율리시스』 = 307
현대소설은 내적 고백체 = 309
앙띠 로망ㆍ반소설 = 310
Ⅳ 희곡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읽을 것인가
1. 희곡이란 무엇인가 = 315
희곡의 개념 = 315
희곡과 연극 = 316
희곡의 제약 = 317
희곡의 컨벤션ㆍ약속 = 319
2. 희곡작품과 작품읽기 = 321
드라마틱한 상황 = 321
무대지시문과 대사 = 323
3. 희곡의 구조 = 327
희곡의 기본구조 = 327
플롯의 패턴 = 328
희곡 구조의 실례 = 330
反플롯 = 331
4. 희곡의 장르성 = 333
가) 비극 = 333
비극의 개념 = 333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극론 = 335
카타르시스와 비극의 기능 = 337
슈얼의 비극론 = 338
비극의 특징 = 339
나) 희극 = 341
희극의 개념 = 341
아리스토텔레스의 희극론 = 342
베르그송의 웃음 = 343
희극의 유형 = 346
희극적인 것 = 348
5. 현대 희곡의 이모저모 = 350
모더니즘ㆍ반사실주의 = 351
표현주의 연극 = 351
부조리 연극 = 354
브레히트의 서사극론 = 356
Ⅴ 비평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읽을 것인가
1. 비평이란 무엇인가 = 361
비평의 개념 = 361
이론비평과 실제비평 = 361
이해와 해석 = 365
2. 작품평가의 기준 = 367
진실성의 기준 = 367
효용성의 기준 = 368
독창성의 기준 = 369
복잡성과 일관성 = 370
3. 비평의 방법 = 374
비평의 좌표 = 375
역사주의 비평 = 376
형식주의 방법 = 378
문학사회학 = 391
심리주의 비평 = 395
신화주의 비평 = 401
4. 현대비평의 이모저모 = 406
방법론의 다원성ㆍ기호학 등 = 406
독자반응 비평ㆍ독서이론 = 407
Ⅵ 문학의 흐름
1. 문학의 두 가닥 흐름 = 415
문예사조의 개념 = 415
문학의 두 줄기 = 416
헬레니즘과 히브리즘 = 417
2. 주요 문예사조의 흐름 = 419
고전주의 = 419
낭만주의 = 421
리얼리즘 = 423
상징주의ㆍ모더니즘 = 427
현대 사조의 이모저모 = 429
세계문학과 한국문학 = 431
3. 현대 한국 문학의 흐름 = 434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 = 434
1920년대 문학 = 436
1930년대 이후의 문학 = 439
8ㆍ15 이후의 한국 문학 = 442
참고문헌 = 443
찾아보기 = 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