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이미지시대의 역사기억 : 다큐멘터리, 전복을 위한 반복 (4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남수영
서명 / 저자사항
이미지시대의 역사기억 : 다큐멘터리, 전복을 위한 반복 / 남수영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새물결,   2009  
형태사항
272 p. : 삽화 ; 19 cm
ISBN
9788955592764
서지주기
참고문헌(p. 260-267)과 색인수록
000 00710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530614
005 20101127160637
007 ta
008 090617s2009 ulka b 001c kor
020 ▼a 9788955592764 ▼g 9368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070.18 ▼2 22
085 ▼a 070.18 ▼2 DDCK
090 ▼a 070.18 ▼b 2009
100 1 ▼a 남수영
245 1 0 ▼a 이미지시대의 역사기억 : ▼b 다큐멘터리, 전복을 위한 반복 / ▼d 남수영 지음
260 ▼a 서울 : ▼b 새물결, ▼c 2009
300 ▼a 272 p. : ▼b 삽화 ; ▼c 19 cm
504 ▼a 참고문헌(p. 260-267)과 색인수록
536 ▼a 2008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았음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115393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115736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116009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211895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211895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211897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512802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1153937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115736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1160095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211895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211895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211897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070.18 2009 등록번호 1512802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그동안 다큐멘터리가 ‘객관적 사실의 반영’이라는 의미에 국한되어 극영화에 비해 고루한 장르 중 하나로만 대중에게 소구되었다면, 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다큐멘터리에 대한 전례 없는 관심은 과연 다큐멘터리의 무엇이 대중의 인식 변화를 이끌어냈는가를 되묻게 한다. 다큐멘터리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저자는 수많은 이미지의 여러 형태 중에서 다큐멘터리의 이미지에 주목하고 있다. 다큐멘터리 이미지를 특정 사건의 기록에만 그치지 않고 “지나간 역사를 현재형으로 고민하게 하는 동시에 현실 인식이 내포하는 허구성을 폭로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인 경험을 이끌어내”는 매개체로써 그 활용 범위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이 책은 다큐멘터리 이미지가 수용자에게 반복적인 의미로 다가오는 것에 대해, 역사는 ‘첫 번째는 비극으로, 두 번째는 희극으로’ 반복된다는 칼 마르크스의 말과 들뢰즈의 ‘반복’ 개념을 이론적 논의의 근거로 삼고 있다. 다시 말해 일어난 사실을 재구성하는 다큐멘터리의 양면성과 다큐멘터리 이미지가 단순히 사실의 복사물에만 그치는지, 아니면 미래지향적 가치를 내포하며 수용자에게 반복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총 2부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1부 ‘기억의 매개’에서 <도쿄가>를 통해 다큐멘터리가 ‘사실의 반영’이기보다는 ‘기억의 반영’에 가깝다는 논지를 개인 영역에서 다루고 있으며, 2부 ‘반복의 역사와 그 미래’에서는 <독일에서의 삶>, <독일의 가을>, <세상의 이미지와 전쟁의 기록> 등의 작품을 통해 본격적으로 기억과 반복의 철학적 . 집단적 . 현실 참여적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다큐멘터리 속 이미지들은 어떻게 역사를 기억하는가!”

이미지 시대, 다큐멘터리의 재발견
그동안 다큐멘터리가 ‘객관적 사실의 반영’이라는 의미에 국한되어 극영화에 비해 고루한 장르 중 하나로만 대중에게 소구되었다면, 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다큐멘터리에 대한 전례 없는 관심은 과연 다큐멘터리의 무엇이 대중의 인식 변화를 이끌어냈는가를 되묻게 한다. 다큐멘터리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저자는 수많은 이미지의 여러 형태 중에서 다큐멘터리의 이미지에 주목하고 있다. 이미지는 필연적으로 서사를 포함하고 있거니와 ‘기억’과 연결되어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다큐멘터리 이미지는 어떤 사실의 기록을 뛰어넘어 개인의 기억, 나아가 역사의 기억과 맞닿아 있어 지나치기 쉬운 현실을 직면하게 해준다. “실재화 개념은 이미 과거의 ‘가상성’을 포함한다는 것과, 역으로 과거의 가상성이란 이미 그 미래의 실재성을 약속한다는 것을 동시에 증명한다”는 전제하에서 하나의 사건은 과거 - 현재 - 미래의 시간에 반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언제든지 현실화의 가능성을 안고 있다. 여기서 저자는 다큐멘터리 이미지를 특정 사건의 기록에만 그치지 않고 “지나간 역사를 현재형으로 고민하게 하는 동시에 현실 인식이 내포하는 허구성을 폭로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인 경험을 이끌어내”는 매개체로써 그 활용 범위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기억, 차이에 근거한 반복을 실행시키다
이 책은 다큐멘터리 이미지가 수용자에게 반복적인 의미로 다가오는 것에 대해, 역사는 ‘첫 번째는 비극으로, 두 번째는 희극으로’ 반복된다는 칼 마르크스의 말과 들뢰즈의 ‘반복’ 개념을 이론적 논의의 근거로 삼고 있다. 다시 말해 일어난 사실을 재구성하는 다큐멘터리의 양면성과 다큐멘터리 이미지가 단순히 사실의 복사물에만 그치는지, 아니면 미래지향적 가치를 내포하며 수용자에게 반복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면서 저자는 다큐멘터리 이미지를 통해 과거 사건들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의미들을 현재에 유미한 것으로 풀어낸다는 뜻에서 이를 “창조적 반복”으로 명명하며, 4편의 국외 다큐멘터리를 통해 다큐멘터리 이미지를 통한 반복 개념과 그것이 역사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이야기하고 있다. 총 2부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1부 ‘기억의 매개’에서 <도쿄가>를 통해 다큐멘터리가 ‘사실의 반영’이기보다는 ‘기억의 반영’에 가깝다는 논지를 개인 영역에서 다루고 있으며, 2부 ‘반복의 역사와 그 미래’에서는 <독일에서의 삶>, <독일의 가을>, <세상의 이미지와 전쟁의 기록> 등의 작품을 통해 본격적으로 기억과 반복의 철학적 . 집단적 . 현실 참여적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다큐멘터리, 이미지 중심의 포스트모던 문화를 미래지향적으로 이끌어갈 힘!
상업적 소비 만능주의가 주도하는 진부하고 탈정치적인 현란한 이미지들 속에서 우리의 주체적 시각을 되찾는 것은 단순한 이데올로기적 당위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 현상을 주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현재 전 지구적 트렌드를 주도하는 이미지 중심의 포스트모던 문화를 미래지향적으로 이끌어갈 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다큐멘터리 이미지의 반복은 지나간 역사를 현재형으로 고민하게 하는 동시에 우리의 현실 인식이 내포하는 허구성을 폭로함으로써 필연적으로 미래지향적인 경험을 이끌어낸다. _서문 중에서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남수영(지은이)

영화 이론 및 미디어 연구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이론과 교수. 서울대학교, 워싱턴 주립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등에서 수학하였고, 뉴욕 대학교에서 비교 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대 비평 이론과 시지각의 현상학에 이론적 관심을 두고 연구해 오고 있다. 저서 『이미지 시대의 역사 기억: 다큐멘터리, 전복을 위한 반복』은 2010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바 있으며, 2017년에는 우호인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최근 연구로 「몸-짓, 영화의 논리: 환영적 신체에서 ‘매체로서의 신체’ 개념으로」, 「사라진 매체: 암호, 또는 ‘가시적인 것’의 비밀」, 「영화 이미지의 인용 불가능성, 또는 어떻게 ‘콧수염’은 신화가 되었는가」, 「거짓으로서의 영화: 영화의 매체 특정성에 대한 고찰」, 그리고 『텍스트 테크놀로지 모빌리티』(공저)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새로운 만남을 위한 반복 = 11
제1부 기억의 매개
 1 이미지 시대의 역사 반복: 영화적 사실성과 다큐멘터리
  Ⅰ. 영화 기술의 발달과 관찰자의 기억 = 25
  Ⅱ. 전영상적 현실의 부정과 영화적 향수 = 36
  Ⅲ. 다큐멘터리와 역사 기억, 그리고 창조적 반복 = 46
  Ⅳ. 낡은 이미지 속의 기억 = 60
 2 기억의 매개: 영화, 그 타협할 수 없는 비전〈도쿄가〉
  Ⅰ. 기억으로의 여행 = 67
  Ⅱ. 이야기꾼의 매개된 기억 = 76
  Ⅲ. 매개된 이미지, 그 기억의 몸짓 = 86
  Ⅳ. 벤더스가 찾은 이야기 = 98
제2부 반복의 역사와 그 미래
 3 가정형으로 현재를 살다〈독일에서의 삶〉
  Ⅰ. 기억의 부재와 영화적 현실성 = 111
  Ⅱ. 기억의 개입: 익숙함과 낯섦, 그 차이의 변주 = 118
  Ⅲ. 잠재성: 미래형의 가정 = 127
  Ⅳ. 영화의 동시성과 역사적 '의미'의 발견 = 134
 4 진부한 반복 vs 아이러니〈독일의 가을〉
  Ⅰ. 반복되는 비극 = 153
  Ⅱ. 독일의 기억 = 159
  Ⅲ. 집단 기억과 악의 진부함 = 169
  Ⅳ. 역사 이미지의 잉여적 의미 = 177
  Ⅴ. 진부함을 뛰어넘는 기억의 되새김 = 186
 5 현실은 시작되어야 한다: 영화의 본질적 침묵 극복하기〈세상의 이미지와 전쟁의 기록〉
  Ⅰ. 한 장의 사진 = 196
  Ⅱ. 파괴와 보존의 기록 이미지 = 201
  Ⅲ. 이미지와 텍스트: 기록과 그 기억의 의미 = 209
  Ⅳ. 현실의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다 = 220
후기 천사의 시선 = 231
주
참고자료
찾아보기
감독 소개

관련분야 신착자료

조용중 선생 추모문집간행위원회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 (2022)
김경모 (2022)
엄기영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