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vol.1]----------
목차
서문 = ⅴ
목차 = 1
제1장 중세 종교음악 = 11
고대 그리스의 음악 전통과 계승 = 12
피타고라스 = 12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 13
보에티우스 = 14
중세와 그리스도교 = 15
중세음악의 일반적 특징 = 16
교회음악 = 17
성무일도 = 17
미사 = 18
통상문과 고유문 = 19
평성가와 그레고리오 성가 = 20
성가의 선율 양식과 노래 방법 = 20
중세의 교회선법 = 22
시편창법 = 23
그레고리오 성가의 변천: 트로푸스와 부속가 = 24
트로푸스 = 25
부속가 = 26
중세 음악이론: 귀도 다레초 = 27
6음 체계 = 28
기보법 = 28
요약 = 29
제2장 다성음악의 발달 = 31
초기 다성음악 = 31
오르가눔 = 31
11세기 오르가눔 = 33
12세기 오르가눔 = 34
6개의 리듬형 = 35
파리양식의 다성음악 = 37
레오냉 = 38
페로탱 = 40
콘둑투스 = 41
모테트 = 41
프랑코 기보법 = 44
요약 = 47
제3장 중세의 세속음악 = 49
세속음악 = 49
단성 노래 = 50
라틴어노래 = 50
트루바두르 = 51
트루베르 = 54
그 밖의 언어를 사용한 노래들 = 55
단성노래의 연주 = 57
중세의 기악음악과 악기 = 57
에스탕피 = 58
악기 = 59
요약 = 60
제4장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14세기 음악 = 63
아르스 노바 = 63
필립 드 비트리 = 64
동형리듬 모테트 = 65
기욤 드 마쇼 = 67
14세기 말의 프랑스 세속음악 = 72
무지카 픽타 = 73
이탈리아 트레첸토 음악 = 74
마드리갈 = 75
카치아 = 76
발라타 = 77
란디니 = 77
요약 = 79
제5장 초기 르네상스 음악 = 81
르네상스와 인문주의 = 81
르네상스 = 81
인문주의 = 83
시대 상황 = 83
르네상스 음악의 일반적 특징 = 84
4성부 다성음악 = 84
대위법과 모방기법 = 84
호모포니와 다성음악 짜임새 = 85
가사그리기 = 86
악보 인쇄술의 발달 = 87
영국음악 = 88
포부르동 = 89
던스터블 = 90
부르고뉴 작곡가 = 91
두파이 = 93
뱅슈와 = 97
요약 = 98
제6장 네덜란드 작곡가들 = 101
오케겜과 오브레흐트 = 102
오케겜 = 102
오브레흐트 = 107
죠스껭 데 프레와 동시대인들 = 109
죠스켕 데 프레 = 109
이삭 = 118
죠스켕 데 프레 이후의 작곡가들 = 119
클레멘스 = 119
공베르 = 119
빌라르트 = 120
요약 = 121
제7장 민족양식의 등장 = 123
이탈리아 = 123
마드리갈 = 125
초기 마드리갈 = 127
중기 마드리갈 = 128
후기 마드리갈 = 129
프랑스 = 132
파리 샹송 = 133
독일 = 135
영국 = 136
마드리갈 = 136
류트노래 또는 에어 = 137
스페인 = 139
요약 = 140
제8장 후기르네상스 종교음악 = 141
개신교음악 = 141
독일 = 142
그 밖의 나라들 = 147
영국 = 148
가톨릭 음악 = 149
팔레스트리나 = 151
팔레스트리나와 동시대인들 = 155
요약 = 159
제9장 기악음악과 베네치아 악파 = 161
르네상스의 악기들 = 163
관악기 = 163
현악기 = 164
건반악기 = 166
타악기 = 167
기악음악의 종류 = 168
성악음악에서 유래된 곡 = 168
춤곡 = 170
즉흥곡 = 172
변주곡 = 173
베네치아 악파 = 176
요약 = 179
제10장 바로크시대의 음악양식과 작곡가 = 181
17세기 유럽의 사회환경 = 182
17세기 유럽의 문화환경 = 183
바로크 음악양식의 특징 = 184
두 양식 = 185
선율과 리듬 = 185
감정이론 = 186
화성과 장단조 = 187
계속저음 = 188
성부짜임새 = 188
대비와 콘체르타토양식 = 189
관용적 어법과 악기음색 = 191
음악어법의 양면성 = 191
작품종류와 형식 = 192
바로크 작곡가의 삶과 후원체계 = 192
바로크 작곡가 = 192
바로크 작곡가의 삶 = 193
후원체계 = 195
제11장 바로크시대의 성악음악 = 199
오페라 = 202
몬테베르디 = 204
프랑스 오페라 = 211
영국 오페라 = 213
독일 오페라 = 215
칸타타와 오라토리오 = 215
이탈리아 가톨릭음악 = 217
오라토리오 = 217
독일 루터교회의 음악 = 219
요약 = 222
제12장 바로크 시대의 기악음악 = 223
악기와 오케스트라 = 224
바로크의 기악장르 = 226
모음곡 = 227
소나타 = 231
푸가 = 234
토카타 = 238
코랄 퓨렐류드 = 239
협주곡 = 246
합주협주곡 = 246
독주협주곡 = 247
서곡 = 248
요약 = 250
제13장 18세기 전반의 대가들 = 251
18세기 전반의 음악환경 = 252
안토니오 비발디 = 253
장 필립 라모 = 257
요한 세바스찬 바흐 = 261
성악작품 = 268
죠지 프리데릭 헨델 = 271
요약 = 277
참고문헌 = 279
찾아보기 = 279
[volume. vol.2]----------
목차
서문 = ⅴ
목차 = 1
제14장 고전시대의 개관 = 13
시대구분 = 15
시대 설정과 범위 = 15
전고전시대 = 18
갈랑 양식
감정과다 양식
질풍노도
시대 환경 = 23
계몽주의 = 23
민중의 교육 = 24
음악 수요층의 확대 = 24
음악 연구의 촉진 = 24
양식적 특징 = 27
보편성의 추구 = 27
구조적 단아함 = 27
민요적 선율
음악적 주기
주제_동기 가공작업
완결체로서의 작품
장르와 형식 = 31
대표적 장르
악장구조로서의 소나타형식
요약 = 35
제15장 고전시대의 성악음악 = 37
오페라 = 38
오페라 세리아의 퇴조 = 38
수용 상황
변화의 시도
글룩과 모차르트
오페라 부파의 번성 = 42
장르의 태동
장르의 발달
프랑스의 오페라 코미크 = 46
독일의 징슈필 = 48
교회음악 = 50
미사
오라토리오
가곡 = 54
동시대의 작곡가들
세 대가들
요약 = 58
제16장 고전시대의 실내악 = 59
건반악기 음악 = 60
건반악기 위상의 강화 = 60
피아노소나타 = 63
피아노의 등장
형성과정
음악적 특징
현악 앙상블 = 68
이중주 = 68
바이올린소나타
첼로의 부상
삼중주 = 69
피아노삼중주
현악삼중주
현악사중주 = 71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관악기를 포함한 앙상블 = 76
관악기의 활용 = 76
요약 = 78
제17장 고전시대의 오케스트라 음악 = 79
교향곡 = 80
교향곡 장르의 형성 = 80
초기의 모습
장르의 확립
하이든 = 82
교향곡 작곡의 시작
교향곡 창작의 절정
모차르트 = 87
초기 교향곡
후기의 세 교향곡
베토벤 = 92
베토벤 교향곡의 위상
음악외적 사고의 도입
베토벤 교향곡의 유산
협주곡 = 100
독주협주곡의 번성 = 100
협주곡의 종류
악장의 구성
하이든 = 103
모차르트 = 104
베토벤 = 107
요약 = 109
제18장 19세기의 시대적 배경 = 111
19세기의 정치적 사회적 배경 = 112
새로운 유럽의 탄생 = 112
19세기 사회와 음악 = 113
19세기의 미학적 경향 = 115
낭만주의 = 115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 118
역사주의와 민족주의 = 119
절대음악과 프로그램음악 = 121
19세기 음악의 특징 = 123
피아노와 리트의 발달 = 123
19세기 음악형식 = 124
요약 = 126
제19장 19세기 오페라 = 127
이탈리아 오페라 = 128
로시니 = 128
벨리니 = 129
도니체티 = 130
베르디 = 131
푸치니 = 134
프랑스 오페라 = 135
마이어베어 = 136
베를리오즈 = 138
독일 오페라 = 139
베버 = 139
바그너 = 141
요약 = 149
제20장 19세기 오케스트라 음악 = 151
19세기 교향곡 = 152
슈베르트 = 152
멘델스존 = 155
슈만 = 157
브람스 = 158
브루크너 = 163
19세기 프로그램음악 = 163
베를리오즈 = 164
리스트 = 168
협주곡 = 172
요약 = 174
제21장 19세기 실내악과 성악음악 = 175
실내악 = 175
브람스 = 176
피아노 음악 = 178
슈베르트 = 179
슈만 = 181
쇼팽 = 181
레가토와 루바토
마주르카와 폴로네즈
야상곡
발라드
에튀드와 프렐류드
리스트 = 186
성악음악 = 188
독일 리트 = 188
후기 리트
오케스트라 리트
프랑스 멜로디 = 194
합창음악 = 196
세속 합창곡
종교 합창곡
오라토리오
요약 = 198
제22장 19세기말의 음악적 양상 = 201
민족주의 음악 = 202
러시아 = 202
무소르크스키
림스키-코르사코프
차이코프스키
보헤미아 = 208
스메타나
드보르작
스칸디나비아 = 210
그리그
시벨리우스
영국 = 211
엘가
윌리엄스
미국 = 212
고트초크
맥도웰
비치
조플린
스페인 = 216
후기 낭만주의 = 217
슈트라우스 = 217
교향시
오페라
말러 = 219
교향곡
인상주의 = 225
인상주의 음악 = 227
리듬과 선율
화성과 음계
음색
표제
드뷔시 = 229
요약 = 234
제23장 20세기 초반의 음악적 상황 = 235
사회적 배경 = 235
과학기술의 발달과 문명의 이기 = 236
음악과 현대문명 = 237
음악과 다른 예술 분야 = 238
작곡가들의 사회적 변화 = 242
새로운 음악을 향하여 = 244
서양음악사에 나타나는 "새로움"의 개념들 = 244
20세기 초의 모더니즘 = 245
계승과 단절의 양면성 = 247
현대음악과 청중 = 248
요약 = 249
제24장 무조성과 음렬기법 = 251
「세기말의 비엔나」 = 252
비엔나의 음악적 환경 = 252
표현주의 = 253
제2 비엔나악파 = 256
아놀트 쇤베르크 = 257
초기 작품들 = 257
무조성 음악의 시도 = 258
음렬기법의 태동 = 259
음렬기법의 기본 원리 = 260
미국으로의 이주와 후기 작품 = 263
무조성 음악의 역사적 필연성에 관하여 = 263
알반 베르크 = 264
쇤베르크와의 만남 = 264
1차대전과 오페라《보체크》 = 265
《서정적 모음곡》 = 266
오페라《룰루》와 베르크의 말년 = 267
안톤 베베른 = 267
쇤베르크와의 수업 = 267
베베른 음악의 일반적 경향 = 268
초기작품 = 269
음렬음악의 시대 = 270
나치의 집권과 베베른의 말년 = 271
요약 = 272
제25장 새로운 양식의 조성음악 = 273
민족적 양식과 신고전주의 = 274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275
초기 무용음악 = 275
불새
페트루시카
봄의 제전
신고전주의 음악 = 281
풀치넬라
외디푸스 왕
시편 교향곡과 그 이후
미국으로의 이주와 후기 음렬음악 = 283
음렬음악의 수용
스트라빈스키 음악양식의 다양성
벨라 바르톡 = 285
바르톡의 민족주의 = 285
바르톡의 신고전주의 = 286
파울 힌데미트 = 287
음악적 경향 = 287
실용음악
작곡기법과 이론
그 밖의 작곡가들 = 289
프랑스 = 289
라벨
프랑스 6인조
러시아 = 291
요약 = 293
제26장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음악 = 295
음렬음악과 총렬음악 = 296
메시앙과 총렬주의의 태동 = 296
불레즈와 슈톡하우젠의 총렬음악 = 298
음렬음악의 확산 = 302
새로운 음향의 추구 = 302
구체음악 = 303
전자음악 = 304
음색작곡 = 307
리게티
그 밖의 음색작곡
아방가르드음악 = 312
케이지의 예술관과 그 영향 = 313
해프닝과 플럭서스
우연성음악 = 315
알레아 = 319
미니멀음악 = 320
라이히
글래스
요약 = 325
제27장 20세기 말의 음악적 상황과 최근 음악 = 327
시대적 상황 변화 = 327
포스트모더니즘 = 328
음악과 포스트모더니즘 = 328
여성작곡가
크로스오버 음악
실험정신의 연장으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 = 330
음악극의 다양한 시도 = 330
실험적 음악극
신표현주의 오페라
퍼포먼스 = 334
컴퓨터음악 = 335
실험성의 연장 = 336
모더니즘과의 단절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 = 337
신낭만주의 = 337
새로운 단순성 = 340
인용기법 = 341
짐머만과 베리오의 인용음악
인용기법의 다양성
21세기 음악 전망 = 347
예술음악의 영역을 넘어서 = 348
요약 = 349
제28장 20세기 한국 서양음악의 전개 = 351
서양문화의 유입과 수용 = 351
서양음악의 유입 = 352
초기 한국 교회음악
양악대
학교를 통한 음악교육
일제 강점기 = 354
음악교육
1세대 음악가들의 연주활동
1세대 작곡가들의 창작 활동
홍난파
해방과 음악 = 362
이념적 갈등과 음악
음악교육
창작계와 연주계 상황
김동진
김순남
한국 전쟁 시기의 음악
1950년 이후의 한국 서양음악 = 367
한국 현대음악 = 367
1960년대 = 368
나운영
1970년대 = 370
백병동
강석희
1980년대 이후 = 372
이건용
이만방
요약 = 375
참고문헌&찾아보기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