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96c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45530243 | |
005 | 20100807030018 | |
007 | ta | |
008 | 090416s2009 ulkadf 000c kor | |
020 | ▼a 9788961831512 ▼g 93060 | |
035 | ▼a (KERIS)BIB000011625584 | |
040 | ▼a 211014 ▼c 211014 ▼d 244002 | |
082 | 0 4 | ▼a 659.152 ▼2 22 |
090 | ▼a 659.152 ▼b 2009 | |
110 | ▼a 한국이벤트프로모션협회 | |
245 | 2 0 | ▼a (2008)이벤트 프로모션 사례집 / ▼d 한국이벤트프로모션협회. |
246 | 1 1 | ▼a Event Promotion |
260 | ▼a 서울 : ▼b 백산출판사 , ▼c 2009. | |
300 | ▼a 361 p. : ▼b 삽도, 도표, 도판 ; ▼c 26 cm.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659.152 2009 | Accession No. 15127483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이벤트대상 제도의 일환으로, 또한 향후 국내 이벤트 프로모션의 발전에 기여하는 길잡이로 삼고자 발간한 책이다. 이벤트프로모션의 개념, 각 부문별 동향과 다양한 실시사례 및 성과를 수록하고 있다.
이벤트는 국가와 지자체, 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개인의 삶을 기쁘게 하여 풍요롭게 만드는 창조적이며 매력적인 문화활동입니다.
한국이벤트프로모션협회가 공익을 위한 이벤트문화의 육성과 질적향상을 도모하고 국내 이벤트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활동을 해온 지 올해로 11년이 되었습니다.
협회가 창립되었던 11년 전과 비교하면 그동안 이벤트산업의 성장과 이벤트인이 증가, 이벤트이론의 체계화와 이벤트 관련학과의 증가 등 양적, 질적 측면에서 성장해왔으며, 이벤트는 지역활성화와 기업마케팅의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이번에 펴내는 ‘2008 이벤트프로모션 사례집’은 한국이벤트프로모션협회 발족 1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이벤트대상 제도의 일환으로 향후 국내 이벤트프로모션의 발전에 기여하는 길잡이로 삼고자 이벤트프로모션의 개념, 각 부문별 동향과 다양한 실시사례 및 성과를 수록하고 소개하였습니다.
‘2008 이벤트프로모션사례집’이 기업,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이벤트프로모션 관련 실무자들의 업무추진 및 계획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한국이벤트프로모션협회는 앞으로도 이벤트산업 제도개선 연구와 정책건의, 한국이벤트대상 시상, 이벤트 실무교육, 이벤트프로모션사례집발간 등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국내 이벤트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심사평
- 전종우 교수 / 단국대학교 언론영상학부
올해 처음으로 실시되는 한국 이벤트 대상 심사를 맡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심사자 본인 역시 학교로 오기 전에 광고대행사에서 이벤트와 프로모션관련 일을 하였기에 남다른 느낌을 가지고 심사에 임하였습니다. 어느 일이나 마찬가지이지만 첫걸음이 무척 중요합니다. 물론 새로운 일을 처음 시작함에 있어 부족한 부분도 있고 그에 따른 아쉬움도 있지만 이번 이벤트대상은 이벤트와 프로모션산업에 있어 의미있는 첫걸음이라 생각합니다. 최근 들어 산업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는 이벤트관련 산업현실에 비추어 보아 이벤트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었는데 이번 이벤트대상제정과 시상으로 인해 관련업계는 물론 학계에도 이벤트를 좀 더 과학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더욱 몇몇 아쉬운 점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볼 때 수상작품들은 훌륭한 기획력과 완성도를 보인 작품들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2007 휘센 합창페스티벌의 경우 제품의 주 타깃층인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새로운 접근이 돋보인 경우라 하겠습니다.
이러한 시작을 바탕으로 앞으로 노력을 기울인다면 한국이벤트대상으로 인해 이벤트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본 상을 제정하고 운영에 수고하신 이벤트프로모션협회 관계자분들에게 박수를 보내며 내년에는 더욱 다양하고 많은 이벤트가 참여하여 한국이벤트대상을 더욱 풍성하게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정광재 기자 / 매일경제신문 mbn경제부
1. 전반적으로 심사참가 신청기업들의 경우, 심사를 ‘자발적으로’ 의뢰한 데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성과를 거뒀고, 효과적으로 진행됐다는 점을 알 수 있었음.
2. 성공적인 진행에도 불구하고, 평가를 하는 데 있어서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질 수밖에 없었는데. 이번 평가가 처음이라, 평가대상이 수 년 간에 걸쳐 실시된 행사들이 동일선상에서 평가되는 어려움이 있었음
예산이나 행사실행 주체별 편차가 컸기 때문에, 동일선상에서 평가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음.
예를 들어 10 억 규모 행사와 5000만 원 규모 판촉행사가 동시에 평가되는 까닭에, 평가에 어려움이 있었음.
전반적으로 공익캠페인에 대한 평가가 우호적으로 나오는 결과가 있었으며, 이를 감안하면 순수 영리목적의 캠페인과 공익적 요인에 대한 캠페인이 나눠서 평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임.
지방축제의 경우, 최근 남발되는 경우가 많아 축제차별화 측면에서 조금 더 세심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 또 지방축제가 최근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개최되는 경우가 많다는 차원에서, 지방축제의 지역경제 기여도(문화체육관광부 자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진행될 경우 더 완성도 있는 평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김명호 서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관광레저개발과
아마도 이러한 이벤트 기획서의 평가시도는 국내 최초인 듯싶다.
(사)한국이벤트프로모션협회에서 그간 실시되었던 이벤트 사례를 나름대로 평가해 보고 발전 지향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시도는 대단히 의미있는 일이며 오히려 다소 늦은 감도 없지 않다 . 이제라도 이러한 자체 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국내이벤트가 한층 업그레이드되고 관련 종사자들의 권익 향상에 기여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평가 대상 이벤트는 2000년부터 2007년 동안 이루어진 사례 중 기획서를 제출한 30건 이었다. 최초의 시도여서 그랬는지 다소 편차가 심하고 기간의 텀이 길어 비교가 다소 곤란한 점도 있었으나 주어진 심사기준에 의거 상대적이 아닌 절대적 평가관점을 견지 하였다. 판촉이벤트, 지역축제, 공공이벤트, 전시, 컨벤션 등 5개 분야로 각각 10건, 6건, 5건, 5건, 4건을 심사하였는데 우선 사례 분류에서도 아직 더 개선해야 할 점은 있었지만 처음치고는 무난한 분류라고 생각되었다.
내용면에서도 모든 사례가 하나같이 공을 들이지 않은 것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예산규모에 따라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걸 또한 알 수 있었다. 이를테면 예산규모가 몇 천만 원 사례와 몇 십억 원 사례와는 상대적 비교는 할 수 없었고, 주어진 규모에 따른 최소의 투입 최대의 산출을 평가에 염두를 두었다.
전반적으로 볼 때, 기획은 뛰어나나 실천과 사후평가는 자료가 다소 부족하여 파악하기 힘든 경우가 많았다. 향후 이러한 실천과정과 사후평가를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심사를 통해서 느낀점은 이벤트업계가 이러한 일련의 자정노력에 힘을 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이벤트는 기획이 60%이상이다. 총체적인 아이디어 집합체인 기획은 그 자체만으로도 재산적 가치가 있는 중요한 문화콘텐츠로 보호를 받아야 한다.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이벤트업계의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고 업그레이드를 위해서는 축적과 데이터뱅크가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멸실되기 쉬운 이벤트 사례를 데이터화 하여 축적 하는 한편 후세들을 위한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아무튼 이벤트계의 자정 노력에 박수를 보낸다. 많은 발전이 있기를 기원하며...
2008 한국 이벤트대상 수상내역
1. 판촉이벤트 부문
최우수상 : 2007 휘센합창페스티벌 (주)LG애드 프로모션본부
우수상 : 롯데리아 환경캠프 (주)아트카오스
우수상 : 2002 코카콜라 사이버월드컵 (주)지컴
장려상 : 2006 GM대우윈스톰페스티벌 (주)코래드
2. 지역축제 부문
최우수상 : 2000 충주세계무술축제 한국지역문화이벤트연구소
우수상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안동축제관광조직위원회
장려상 : 2007 고창복분자축제 스타라인 전주
3. 공공이벤트 부문
최우수상 : 2005 대한민국 과학축전 (주)유니원커뮤니케이션즈
우수상 : 한국 관광주간 청도프로모션 (주)리더PMC
4. 전시 부문
최우수상 : E3 2006 웹젠전시 (주)에프엠커뮤니케이션즈
우수상 : 2005 독일수학박물관
마테마티쿰 한국전시 (주)문화공방디케이비
5. 컨벤션 부문
최우수상 : 제53차 FIFA총회 개회식 (주)퍼프컴
우수상 : 2005 세계신문협회 총회 (주)매크로매트릭스
개폐막식
6. 이벤트학술 부문
최광환 (주)LG애드 프로모션본부 상무
- 논문명 : 한국지역축제 핵심성공요인(CSF)의 측정변수 개발에 관한 연구
7. 자랑스런 이벤트인 부문
최유진 공주영상대 이벤트연출과 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척 발간사 = 7 심사평 = 8 PART 1 이벤트프로모션 개념 및 동향 = 15 1. 이벤트프로모션 개념 = 16 2. 2000년대 이벤트프로모션의 변화 = 23 3. 공공 이벤트 = 30 4. 지역축제 동향 = 36 5. 우리나라 컨벤션 전시의 동향: 1981년∼2010년도 = 43 PART 2 이벤트프로모션 사례 = 49 [판촉이벤트] 1. 2007 휘센합창페스티벌(최우수상)/(주)LG애드 BTL팀 = 53 2. 2006 롯데리아 환경캠프(우수상)/(주)아트카오스 = 65 3. 2002 코카콜라 월드 사이버컵(우수상)/(주)지컴 기획3본부 = 71 4. 2006 GM대우 윈스톰 윈터 페스티벌/(주)코래드 BTL팀 = 79 5. 2007 교보그룹 대산문화재단 대학생 동북아 대장정/(주)매크로매트릭스 프로모션사업1부 = 89 6. 2007 삼성전자 新나는 센스 아카데미/(주)에프엠커뮤니케이션즈 프로모션본부 = 99 7. 2007 Mister Donut 명동 1호점 오픈 프로모션/(주)유니원커뮤니케이션즈 = 107 8. 2007 브라운 & 페블비치 Two Tops Festival/(주)지컴 기획2본부 = 115 9. 2007 Starbucks Discovery Who?/(주)지컴 기획3본부 = 127 10. 2006 코카콜라 붉은 원정대/(주)지컴 기획1본부 = 135 [지역 축제] 1. 2000 충주세계무술축제(최우수상)/한국지역문화이벤트연구소 = 149 2. 2006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우수상)/(재)안동축제관광조직위원회 = 155 3. 2007 제3회 고창복분자축제(장려상)/(주)전주 스타라인 = 163 4. 2006 안동 국제탈춤페스티벌 관광홍보프로모션/한국지역문화이벤트연구소 = 171 5. 2006 안성 남사당바우덕이축제 홍보마케팅/한국지역문화이벤트연구소 = 179 6. 2007 제4회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 및 제10회 광주왕실도자기축제/(주)LG애드 PR팀 = 187 [공공이벤트] 1. 2005 대한민국 과학축전(최우수상)/(주)유니원커뮤니케이션즈 = 197 2. 2007 한국관광주간 In 청도(우수상)/(주)리더PMC 기획1팀 = 207 3. 2002 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주)LG애드프로젝트팀 = 217 4. 2002 FIFA Worldcup in 광주/(주)매크로매트릭스 프로모션사업1부 = 227 5. 2006 독일월드컵 태극전사 승리기원 페스티벌/(주)유니원커뮤니케이션즈 = 243 [전시] 1. E3 2006 웹젠 전시(최우수상)/(주)에프엠커뮤니케이션즈 프로모션본부 = 257 2. 2005 독일 수학박물관 "마테마티쿰"한국 체험전(우수상)/(주)문화공방DKB 공연전시사업부 = 265 3. 2003년 쌍용모터쇼와 2007년 인피니티 모터쇼/(주)유니원커뮤니케이션즈 = 275 4. 2007 대전국제축산박람회/(주)문화공방DKB 프로젝트사업부 = 283 5. 2007 서울모터쇼 (주)한라공조 전시관/(주)코래드 BTL팀 = 291 [컨벤션] 1. 2002 제53차 FIFA총회/(주)퍼프컴 프로젝트본부 = 301 2. 2005 세계 신문협회 총회/(주)매크로매트릭스 프로모션사업1부 = 321 3. 2006 노벨평화상수상자 광주정상회의/(주)유니원커뮤니케이션즈 = 329 4. 2006 제38회 세계화학올림피아드/(주)에프엠커뮤니케이션즈 프로모션본부 = 339 PART 3 한국이벤트프로모션협회 소개 =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