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내용 17
제2장 기존문헌의 검토 19
제1절 학교폭력의 개념 19
제2절 학교폭력에 관한 이론적 논의 23
제3절 선행연구결과의 검토 36
제3장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 43
제1절 연구방법 43
제2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성격 47
제3절 학교폭력의 분포 50
제4절 독립변수의 분포 53
제5절 학교폭력의 상관관계 분석 62
제6절 학교폭력의 다중회귀분석 72
제4장 학교폭력 대처현황 및 문제점 83
제1절 경찰의 학교폭력대책 84
제2절 경찰대책의 문제점 88
제3절 검찰의 학교폭력대책 92
제4절 검찰대책의 문제점 97
제5장 학교폭력의 효율적 대처방안 103
제1절 사회적 대처노력의 활성화 103
제2절 학교연계경찰관제의 도입 108
제6장 결론 111
참고문헌 117
Abstract 123
[부록] 서울시 청소년의 생활실태에 관한 설문지 129
[연구자 약력] 148
판권지 148
표목차
[표 1-1] 성별 "당신의 성별은?" 48
[표 1-2] 현재 학력 "당신의 현재 학력은?" 49
[표 1-3] 가족구조 "당신의 부모님은 계십니까?" 49
[표 1-4] 아버지 교육정도 "아버지의 교육정도는?" 49
[표 1-5] 아버지 직업 "아버지의 직업은?" 50
[표 2-1] 학교폭력의 분포 52
[표 2-2] 학교폭력의 누적분포 53
[표 3-1] 부부폭력 "우리 아버지는 어머니를 자주 때리신다." 54
[표 3-2] 부부갈등 "우리 아버지와 어머니는 자주 싸우신다." 55
[표 3-3] 폭력훈육 "부모님께서 당신을 야단치거나 벌을 줄 때, 때리시는 편입니까?" 55
[표 3-4] 학교처벌친구 "친구들 중에서 학교에서 근신, 정학 또는 퇴학 등의 처벌을 받은 친구는 몇 명이나 됩니까?" 55
[표 3-5] 경찰체포친구 "친구들 중에 경찰서 잡혀간 적이 있는 친구는 몇 명이나 됩니까?" 56
[표 4-1] 부모애착1 "부모님은 나에게 늘 사랑과 애정을 보이신다." 57
[표 4-2] 부모애착2 "내가 외출했을 때 부모님은 내가 누구와 있는지 대부분 알고 계신다." 57
[표 4-3] 부모애착3 "내가 외출했을 때 부모님은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대부분 알고 계신다." 58
[표 4-4] 학교애착1 "나는 선생님께 내 고민을 털어놓고 이야기 할 수 있다." 58
[표 4-5] 학교애착2 "선생님은 나에게 사랑과 관심을 보여 주신다." 58
[표 4-6] 학교애착3 "나는 장래에 선생님과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 59
[표 5-1] 공부긴장1 "부모님의 공부에 대한 기대가 내가 감당하기에는 너무 벅차다." 60
[표 5-2] 공부긴장2 "나는 지금 공부 때문에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60
[표 6-1] 모멸감 변수의 분포 61
[표 7-1] 학습효과와 학교폭력의 상관관계 64
[표 7-2] 사회통제효과와 학교폭력과의 상관관계 66
[표 7-3] 긴장효과와 학교폭력과의 상관관계 67
[표 7-4] 모멸감과 학교폭력과의 상관관계 70
[표 7-5] 통제변수와 학교폭력과의 상관관계 72
[표 8-1] 욕ㆍ협박형 학교폭력에 대한 회귀분석 73
[표 8-2] 괴롭힘 학교폭력에 대한 회귀분석 75
[표 8-3] 강제형 학교폭력에 대한 회귀분석 76
[표 8-4] 신체형 학교폭력에 대한 회귀분석 77
[표 8-5] 성폭력 학교폭력에 대한 회귀분석 79
[표 8-6] 학교폭력전체에 대한 회귀분석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