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67camccc200289 k 4500 | |
001 | 000045528488 | |
005 | 20100807024541 | |
007 | ta | |
008 | 090604s2009 bnk b FA 000c kor | |
020 | ▼a 9788983123152 ▼g 94340 | |
035 | ▼a (KERIS)BIB000011666070 | |
040 | ▼a 241050 ▼c 241050 ▼d 244002 | |
082 | 0 4 | ▼a 327 ▼2 22 |
090 | ▼a 327 ▼b 2009z6 | |
245 | 0 0 | ▼a 외교론 / ▼d 권선홍 외 공저. |
260 | ▼a 부산 : ▼b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 ▼c 2009. | |
300 | ▼a 253 p. ; ▼c 23 cm. | |
440 | 0 0 | ▼a 국제관계연구총서 ; ▼v 6 |
500 | ▼a 공저자: 고홍근, 김호준, 성병욱, 손기섭, 황영주 | |
504 | ▼a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권선홍 |
700 | 1 | ▼a 고홍근 |
700 | 1 | ▼a 김호준 |
700 | 1 | ▼a 성병욱 |
700 | 1 | ▼a 손기섭 |
700 | 1 | ▼a 황영주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27 2009z6 | 등록번호 1512746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고홍근(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어과를 졸업,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도 네루대학교 초빙 교수와 부산외대 동양어대 학장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인도인민당의 부상과 인도정치: 1990년대의 회고>, <까우띨리야와 한비(韓非): 고대 인도와 중국의 정치사상에 대한 비교연구>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힌디가 뭐예요?>, <인도민족주의와 힌두이즘>, <비서구세계의 국제관계사상(공저)> 등이 있다.
황영주(지은이)
부산외국어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외교전공 교수
권선홍(지은이)
부산외국어대학교 외교학과 교수
김호준(지은이)
부산외국어대학교 외교학과 교수
성병욱(지은이)
부산외국어대학교 외교학과 강사
손기섭(지은이)
일본 도쿄대학교 대학원 졸업 (정치학박사) 2006년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원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부산외대 외교학과 학과장, 국제관계연구소장 부산외대 언론사 주간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 방문교수 <저서> 현대 일본외교와 중국 21세기 동북아공동체 형성의 과제와 전망(공저) 동아시아 리저널리즘 내셔널리즘 글로벌리즘(공저) 「동북아 해양영토 분쟁의 현재화 분석」 「일본 자민당의 전후 국가전략」 「한일 안보경협 외교의 정책결정」 「Structural Changes and Conflicts in Japan-China Relations in Koizumi Cabinet」 등

목차
목차 책머리에 외교의 의미 / 성병욱 Ⅰ. 서론 = 9 Ⅱ. 외교개념의 다의성 = 12 Ⅲ. 외교양상의 변화 = 20 Ⅳ. 세계화시대의 외교 = 27 Ⅴ. 결론 = 35 제1부 비서구문명권의 외교 유교문명권의 외교 / 권선홍 Ⅰ. 머리말 = 43 Ⅱ. 외교 개념 = 49 Ⅲ. 외교 규범 = 58 Ⅳ. 외교 제도 = 74 Ⅴ. 맺음말 = 80 힌두문명권의 외교 / 고홍근 Ⅰ. 들어가면서 = 89 Ⅱ. 라∼자만달라(R◆U0101◆jamandala; Circle of Kings) = 93 Ⅲ. 국력: ?띠(Shakti) = 97 Ⅳ. 외교 = 105 Ⅴ. 마치면서 = 119 제2부 서양외교의 변천 중세 유럽에서의 외교: 정치적 주체와 객체의 부재 / 황영주 Ⅰ. 서론 = 125 Ⅱ. 하나의 사회와 중첩된 주제 = 128 Ⅲ. 교황의 사절에서 군주의 사절로 = 135 Ⅳ. 정치적 주체와 객체의 부재 = 148 Ⅴ. 결론 = 152 르네상스 이탈리아 외교의 성격: 근대 외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황영주 Ⅰ. 서론 = 157 Ⅱ. 여러 가지 혼재성(complexity) = 161 Ⅲ. 상주사절제도의 등장, 임무 및 확장 = 169 Ⅳ. 국가이성과 국가체제의 부재 = 178 Ⅴ. 결론 = 183 제3부 미국과 일본의 외교 21세기 미국의 외교 / 김호준 Ⅰ. 일극체제와 미국의 파워 = 189 Ⅱ. 미국외교의 목표 = 193 Ⅲ. 미국의 선택 = 199 Ⅳ. 미국외교의 평가 = 206 일본의 외교: 미중일관계의 정치역학 / 손기섭 Ⅰ. 머리말 = 219 Ⅱ. 일본 외교정책의 결정요인과 주요 행위자 = 222 Ⅲ. 일본 외교의 근간 구도로서의 미일동맹 = 224 Ⅳ. 일본외교에서의 중일관계의 전환 = 235 Ⅴ. 후쿠다 정권의 외교정책 = 245 Ⅵ. 맺음말 =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