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528339 | |
005 | 20220602102229 | |
007 | ta | |
008 | 090309s2009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18023199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1594384 | |
040 | ▼a 211014 ▼c 244014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352.14 ▼2 22 |
085 | ▼a 352.14 ▼2 DDCK | |
090 | ▼a 352.14 ▼b 2009z3 | |
100 | 1 | ▼a 김병준, ▼g 金秉準, ▼d 1954- ▼0 AUTH(211009)73827 |
245 | 1 0 | ▼a 지방자치론 / ▼d 김병준 저 |
260 | ▼a 파주 : ▼b 法文社, ▼c 2009 | |
300 | ▼a xxiii, 661 p. ; ▼c 27 cm | |
504 | ▼a 서지적 각주와 색인 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52.14 2009z3 | 등록번호 15127338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 | 청구기호 352.14 2009z3 | 등록번호 15129809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지방자치의 본질과 그 역사는 어떠한가? 또 지방자치가 긍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며,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는 이 부분에 있어 어떠한 상황에 있는가? 이 책은 이러한 물음과 그에 대한 답을 정리하고 있다.
내용에 있어서는 지방자치의 본질과 역사(제1편, 제2편)에 이어 지방자치의 핵심요소들을 하나하나 정리하고 있다. 제3편은 구역과 계층의 문제, 제4편은 지역사회 권력구조와 지방정치 및 선거의 문제, 제5편은 자치권과 지방재정을 포함한 자치권능의 문제, 제6편은 지방의회와 집행기관을 포함하는 지방정부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문제, 그리고 제7편은 정부간관계와 주민참여를 정리하고 있다.
지방자치에 관한 기본서이다. 지방자치의 의의와 역사, 지방정부의 자치권과 자치사무, 지방정치와 지역사회 권력구조, 지방재정, 지방정부의 구성과 운영, 그리고 정부간관계와 주민참여 등 지방자치와 관련된 제반 문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분권론자로 지방자치 문제에 오랫동안 천착해 왔을 뿐 아니라 정부 안에서 직접 지방자치관련 제도개혁을 주도했던 저자의 폭넓은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 미국과 영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의 지방자치관련 역사와 제도가 비교론적 시각에서 정리되어 있는 것도 큰 특징 중의 하나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병준(지은이)
[학력] 대구상업고등학교 졸업 영남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한국외국어대학 대학원(정치학석사) 미국 Univ. of Delaware 대학원(정치학박사) [약력: 시작연도순]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서울특별시 시민평가단장 경제정의실천연합 지방자치특별위원회 위원장 전국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자문교수 경찰위원회 위원(제4대) 일본 게이오대학 방문교수 국민대학교 교수협의회 회장/ 전국 사립대학 교수협의회연합회 공동회장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장/ 전국 행정대학원장협의회 공동회장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무분과 간사위원 대통령자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 대통령(청와대) 정책실장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대통령 정책특별보좌관 경제신문 이투데이 회장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선거대책위원회 상임선대위원장

목차
목차 제1편 지방자치의 의미와 발전방향 제1장 지방자치의 의의와 형태 = 3 제1절 지방자치의 의의 = 3 1. 지방자치의 개념 = 3 2. 지방자치의 목적 = 6 제2절 지방자치의 구성요소: 필수 요소 = 9 1. 구역 = 9 2. 주민 = 9 3.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정부 = 10 4. 자치권 = 11 제3절 지방자치의 계보와 그 차이 = 12 1. 지방자치의 계보 = 12 2. 차이의 의미 = 14 제2장 지방자치의 양면성과 발전방향 = 17 제1절 지방자치와 민주성 = 18 1. 관계긍정설 또는 불가분설 = 18 2. 관계부정설 = 21 제2절 지방자치와 효율성 = 25 1. 관계긍정설 = 25 2. 관계부정설 = 30 제3절 양면성의 구조와 지방자치의 발전방향 = 32 1. 양면성의 구조 = 32 2. 지방자치의 발전방향: 지방자치를 위한 4중주(四重奏) = 36 제2편 지방자치의 전개: 영국, 미국, 한국 제1장 영국 지방자치의 전개 = 41 제1절 19세기 이전의 지방자치: 소수의 자치 = 42 1. 농촌지역에서의 지방자치 = 42 2. 도시지역에서의 지방자치 = 47 제2절 19세기 이후의 지방자치 = 50 1. 지방자치의 심화: 과두정치에서 민주정치로 = 50 2. 지방정부의 정비와 기능강화 = 52 제2장 미국의 연방제와 정부간관계의 변화 = 63 제1절 연방제로의 발전 = 64 1. 국가연합(Confederation) 체제: 연방제 이전의 미국 = 64 2. 연방제의 성립: 제헌의회∼연방헌법의 채택 = 65 제2절 연방제의 확립과 이원적 연방제로의 발전 = 68 1. 연방제의 확립: 연방헌법 채택 이후∼남북전쟁 = 68 2. 연방권한의 확대: 남북전쟁 이후∼경제공황 이전 = 72 3. 연방제 확립기와 연방 권한 확대기의 특징: 이원적 연방제 = 76 제3절 연방의 역할강화와 불균형 관계 = 77 1. 협력적 연방제: 경제공황∼1950년대 = 77 2. 창조적 연방제(Creative Federalism): 존슨 행정부 = 80 제4절 균형화를 위한 노력과 그 이후 = 82 1. 신연방제: 닉슨 행정부와 레이건 행정부 = 82 2. 1990년대 이후의 동향 = 84 3. 연방제와 정부간관계의 큰 흐름 = 87 제3장 미국 지방정부와 지방자치의 역사 = 89 제1절 식민지 시대의 지방자치와 지방정부 = 89 1. 타운 자치정부의 발달 = 89 2. 도시 자치정부의 발달과 내부구성 = 92 제2절 독립 이후 남북전쟁까지의 지방정부와 지방자치: 민주성의 강화 = 95 1. 지방정부 수의 증가와 헌장 제정방식의 변화 = 95 2. 투표권의 확대와 지방정치과정의 변화 = 97 3. 지방정부 구성방식의 변화 = 98 제3절 20세기 전후의 지방자치와 지방정부: 효율성의 강화 = 100 1. 도시화와 도시정부의 비효율 = 100 2. 비판과 냉소, 그리고 개혁운동 = 102 제4절 뉴딜에서 '위대한 사회(Great Society)'까지의 지방자치와 지방정부 = 106 1. 교외화(suburbanization)와 정책의제의 지리적 분화 = 106 2. 지방정부 기능의 확대와 정부간 관계의 변화 = 107 3. 정책문제의 성격변화와 지방정부의 구조변화: 리더십과 전문성의 강조 = 109 4. 횡적 협력체계의 강화: 특별지방정부의 증가 = 110 제5절 최근의 경향과 과제 = 111 1. 최근의 경향 = 111 2. 미국 지방자치와 지방정부의 과제 = 113 제4장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전개 = 115 제1절 건국 이전의 지방자치 = 115 1. 조선시대의 지방행정과 지방자치 = 115 2. 일제 점령기의 지방행정과 지방자치 = 124 3. 미군정기의 지방행정과 지방자치 = 127 제2절 건국 이후의 지방자치 = 129 1. 제1ㆍ2 공화국에서의 지방자치 = 129 2. 제3공화국 이후의 지방자치 = 135 제3절 맺는 말 = 143 제3편 자치조직: 지방정부(지방자치단체)의 형태, 계층, 구역 제1장 지방정부의 종류와 형태 = 147 제1절 지방정부의 의미와 종류 = 147 1. 지방정부의 의미 = 147 2. 지방정부의 종류 = 148 제2절 지방정부의 형태: 기관구성 = 157 1. 일반적 형태 = 157 2.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기관구성: 중앙통제형 강시장-의회제 = 170 제2장 지방정부의 계층 = 173 제1절 계층의 의미: 단층제와 중층제 = 173 1. 지방정부 계층의 의미 = 173 2. 단층제와 중층제의 장ㆍ단점 = 175 제2절 여러 나라의 지방정부 계층 = 178 1. 미국의 지방정부 계층 = 178 2. 영국의 지방정부 계층 = 181 3. 독일의 지방정부 계층 = 184 4. 프랑스의 지방정부 계층 = 186 5. 일본의 지방정부 계층 = 189 제3절 우리나라의 지방정부 계층 = 191 1. 역사적 전개 = 191 2. 현황 = 194 3. 특징과 문제점 = 195 제3장 지방정부의 구역 = 198 제1절 구역의 의미와 설정기준 = 198 1. 구역의 의미 = 198 2. 구역설정의 기준 = 199 3. 구역과 계층, 그리고 기능배분 = 202 제2절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구역 = 203 1. 현황 = 203 2. 우리나라 지방정부 구역의 문제점 = 205 제4장 우리나라 지방정부 계층 및 구역개편 논의: 1990년대 이후 = 208 제1절 개편논의의 전개 = 208 1. 서울시 분할론: 서울시 해체론 = 209 2. 도 폐지론 = 212 3. 광역시 폐지론 = 213 4. 대도시 자치구 폐지론 = 215 5. 도.농통합형 기초지방정부 개편론: 시ㆍ군통합 = 217 제2절 개편의 어려움과 대안: 기능조정과 특별지방정부 = 218 제3절 구역개편의 원칙: 보론 = 220 1. 산업경제 기능 수행을 위한 대규모성의 확보: 산업경제권과의 일치 = 220 2. 획일적인 계층논리로부터의 탈피 = 221 3. 실현 가능성과 정치적 논리의 존중 = 222 4. 주민이 주도하는 개편의 추진 = 222 5. 기능배분과 재정문제와의 연계 = 223 제4편 지방정치: 지역사회 권력구조와 지방선거 제1장 지역사회 권력구조 = 227 제1절 지방자치와 권력구조 = 227 1. 권력구조의 의의 = 227 2. 권력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29 제2절 권력구조에 대한 시각 = 233 1. 엘리트론 = 233 2. 성장기구론 = 236 3. 다원론 = 239 4. 계급이론: 마르크스주의 = 243 5. 레짐이론 = 246 제3절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권력구조 = 249 1. 연구동향 = 249 2.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권력구조 = 251 제2장 지방선거의 기능과 유형 = 259 제1절 지방선거의 기능과 대상 = 259 1. 지방선거의 기능 = 259 2. 지방선거의 대상: 선출직의 범위 = 261 제2절 지방선거의 원칙과 유형 = 263 1. 지방선거의 원칙 = 263 2. 지방선거의 유형 = 265 제3장 지방선거제도 = 268 제1절 선거권과 피선거권 = 268 1. 선거권(투표권) = 268 2. 피선거권 = 275 제2절 투표제도 = 277 1. 비밀ㆍ직접선거 = 277 2. 의무투표 = 278 제3절 선거구제도 = 280 1. 지방선거와 선거구 = 280 2. 선거구의 운영 = 283 제4절 정당참여와 정당배제 = 287 1. 정당의 기능과 정당참여 = 287 2. 정당배제와 정당참여의 논리 = 289 3. 우리나라에서의 정당참여ㆍ정당배제 = 291 제5절 선거운동과 선거관리 = 293 1. 선거운동 = 293 2. 선거관리: 선거비용과 선거공영제 = 296 제4장 우리나라 지방선거의 전개 = 300 제1절 지방선거의 실시와 결과 = 300 1. 개 괄 = 300 2. 제1공화국과 제2공화국에서의 지방선거 = 302 3. 제6공화국 이후의 지방선거 = 306 제2절 우리나라 지방선거의 특징과 한계 = 319 1. 특징과 한계 = 319 2. 과제 = 328 제5편 지방정부의 자치권과 재정 제1장 지방정부의 자치권 = 333 제1절 자치권의 근원과 이에 대한 보장과 제한 = 333 1. 자치권의 내용 = 333 2. 자치권의 근원 = 337 3. 자치권에 대한 보장과 제한 = 340 제2절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자치권 = 343 1. 자치권에 대한 보장 = 343 2. 자치권에 대한 제약 = 346 제2장 사무배분의 의의와 방식 및 원칙 = 357 제1절 사무배분의 의의와 정치경제적 의미 = 357 1. 의의 = 357 2. 사무배분의 정치경제적 의미 = 358 제2절 사무배분의 방식 = 360 1. 일반적 방식 = 360 2. 우리나라의 사무배분 방식 = 366 제3절 사무배분의 원칙 = 369 1. 사무배분 원칙의 의의 = 369 2. 자주 소개되는 원칙: '셔프의 원칙' 등 = 370 3. 새로운 흐름 = 371 4. 우리나라에서의 사무배분원칙 = 377 제4절 사무배분 기구 = 381 1. 사무배분의 주요 주체 = 381 2. 우리나라의 사무배분기구와 사무이양 실적 = 382 제3장 지방정부의 사무: 사무배분 구조 = 385 제1절 지방정부 사무의 구성: 위임사무와 자치사무 = 385 1. 위임의 방식: 단체위임사무와 기관위임사무 = 385 2. 우리나라 지방정부 사무의 구성 = 390 제2절 지방정부의 사무 = 391 1. 일반적 경향 = 391 2.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사무 = 392 제4장 지방재정: 자주재원과 의존재원 = 399 제1절 자주재원 = 399 1. 지방세 수입 = 400 2. 세외수입 = 409 제2절 의존재원 = 416 1. 의존재원과 재정조정 = 416 2. 의존재원의 종류 = 420 3. 자주재원과 의존재원의 비율: 상급정부 지원금 = 423 제5장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재정구조 = 425 제1절 자주재원 = 425 1. 지방세 수입 = 425 2. 세외수입 = 435 제2절 의존재원 = 438 1. 의존재원과 자치권 = 438 2. 의존재원의 종류 = 439 제3절 재정수입구조의 종합적 이해 = 449 1. 재정수입구조 종합 = 449 2. 재정자립도와 재정력 지수 = 451 제6편 지방정부의 조직과 운영 제1장 지방의회의 권한과 기능 = 457 제1절 기관구성 형태와 지방의회의 권한과 기능 = 457 1. 기관분리형 아래에서의 지방의회의 권한과 기능 = 457 2. 기관통합형 아래에서의 지방의회의 권한과 기능 = 460 3. 절충형 아래에서의 지방의회의 권한과 기능: 시정관리관제 = 461 4. 종합: 기관구성과 지방의회의 권한과 기능 = 463 제2절 우리나라 지방의회의 권한과 기능 = 464 1. 일반적 권한과 이에 대한 제약 = 464 2. 기대되는 기능과 그 수행 = 471 3. 기능의 활성화 = 480 제2장 지방의회의 조직과 운영 = 482 제1절 지방의회의 의원정수와 지방의원의 지위 = 482 1. 지방의회의 의원정수 = 482 2. 지방의원의 지위 = 489 제2절 지방의회의 조직과 운영: 우리나라 = 493 1. 조직 = 493 2. 운영 = 499 제3장 지방자치단체장과 자치행정조직: 우리나라 = 505 제1절 지방자치단체장 = 505 1. 기관구성 형태와 지방자치단체장의 지위와 역할 = 505 2. 지방자치단체장의 지위와 역할: 우리나라 = 506 3.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 우리나라 = 509 4. 자치단체장의 역할 = 517 제2절 자치행정조직과 인력 = 523 1. 자치행정조직 = 523 2. 인력: 지방정부의 공무원 = 527 제4장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공급 = 529 제1절 지방정부의 서비스 공급유형 = 529 1. 서비스의 종류와 지방정부의 수비범위 = 529 2. 공공서비스 공급의 유형: 사바스(E. Savas)의 유형 = 532 3.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공급유형: 사바스 모형의 수정 = 536 4. 공공서비스 공급의 경향 = 538 제2절 서비스 공급의 주요 방식: 계약, 지방공기업, 제3섹터 = 540 1. 계약 = 540 2. 지방공기업: 우리나라의 경우 = 545 3. 제3섹터 기업 = 551 제7편 정부간관계와 주민참여 제1장 정부간관계와 중앙통제 = 563 제1절 정부간관계의 의미와 연구경향 = 563 1. 정부간관계의 의미 = 563 2. 정부간관계의 연구경향 = 567 제2절 정부간관계의 유형 = 572 1. 동반자형과 대리인형 = 572 2. 동등권위형, 내포권위형, 중첩권위형: D. Wright = 575 제3절 우리나라의 정부관계 변화 = 578 1. 민선체제 이전의 정부간관계 = 578 2. 민선체제 이후의 정부간관계 = 579 제2장 지방정부의 갈등과 협력: 지역이기주의와 정부간 협력체제 = 581 제1절 지방정부의 갈등: 지역이기주의 = 581 1. 죄수의 딜레마와 지역이기주의 = 581 2. 우리나라에서의 지역이기주의 = 586 제2절 지방정부의 협력체제: 광역행정 = 598 1. 협력의 필요성과 형태 = 598 2. 우리나라에서의 지방정부의 협력: 광역행정 = 602 제3장 지방자치와 주민참여: 불확실성의 시대의 지방정부 = 607 제1절 주민참여의 개념과 형태 = 607 1. 주민참여의 개념 = 607 2. 주민참여의 형태 = 610 제2절 주민참여의 기능과 한계 = 614 1. 주민참여의 기능 = 614 2. 주민참여의 역기능 = 619 제3절 우리나라에서의 주민참여 = 621 1. 직접민주주의 3제도 = 621 2. 개별적 참여: 반상회, 공청회, 위원회, 민원과 청원 = 626 3. 집합적 참여: 주민감사청구, 주민소송, 주민참여예산제도 등 = 628 제4절 주민참여의 활성화와 기능화 = 630 1. 주민참여의 활성화 = 631 2. 주민참여의 기능화 = 632 제4장 프로슈밍과 시민공동생산 = 636 제1절 프로슈밍과 시민공동생산의 의의 = 636 1. 프로슈밍 혁신 = 636 2. 시민공동생산 논의의 배경과 개념 = 638 제2절 시민공동생산의 형태와 현황 = 643 1. 시민공동생산의 범위와 형태 = 643 2. 형태 = 645 3. 현황 = 647 제3절 시민공동생산의 과제 = 649 1. 과제 = 649 2. 전망 = 653 찾아보기 = 6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