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육 분야 교류·협력의 실태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육 분야 교류·협력의 실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한만길 최영표 이현영
서명 / 저자사항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육 분야 교류·협력의 실태 / 한만길 , 최영표 , 이현영.
발행사항
서울 :   통일연구원 ,   2004.  
형태사항
xx, 309 p. : 삽도 ; 24 cm.
총서사항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04-23
ISBN
8984792802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85-293
000 00723camccc200253 k 4500
001 000045525929
005 20100807022401
007 ta
008 050630s2004 ulka b 000c kor
020 ▼a 8984792802
035 ▼a (KERIS)BIB000009703172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370.95 ▼2 22
090 ▼a 370.95 ▼b 2004
100 1 ▼a 한만길
245 1 0 ▼a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육 분야 교류·협력의 실태 / ▼d 한만길 , ▼e 최영표 , ▼e 이현영.
260 ▼a 서울 : ▼b 통일연구원 , ▼c 2004.
300 ▼a xx, 309 p. : ▼b 삽도 ; ▼c 24 cm.
440 0 0 ▼a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 ▼v 04-23
504 ▼a 참고문헌: p. 285-293
700 1 ▼a 최영표
700 1 ▼a 이현영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2 청구기호 370.95 2004 등록번호 1115235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한만길(지은이)

지난 10년간 중국, 일본, 러시아 지역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탈북자들을 만나며 통일교육 연구에 힘쓰고 있다.현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이며 통일교육연구팀장으로 활동 중이다. 북한교육 실태, 탈북자 적응 문제, 통일교육 실태와 방안, 남북한 교육 통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은 책으로 <통일시대 북한교육론>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문화공동체 형성과 상호 이해의 관점 = 4
 3. 동북아 3국 교육 분야 교류ㆍ협력의 의의 = 6
Ⅱ. 중국과 일본 사회의 변화와 교육 = 9
 1. 중국 사회의 변화와 교육 = 11
 2. 일본 사회의 변화와 교육 = 26
 3. 중국 및 일본 교육의 특징과 시사점 = 50
Ⅲ. 중국과 일본의 국제 교육 교류ㆍ협력 정책 = 61
 1. 중국의 국제 교육 교류ㆍ협력 정책 = 63
 2. 일본의 국제 교육 교류ㆍ협력 정책 = 74
 3. 한국에 주는 시사점 = 104
Ⅳ. 교육기관별 교육 교류 실태 조사 = 115
 1. 실태조사 방법 = 117
 2. 교육 교류의 현황 = 119
 3. 교육 교류의 목적 및 내용 = 122
 4. 교육 교류의 성과 및 문제점 = 126
 5. 교육 교류사업의 과제 = 134
Ⅴ. 한국과 중국의 교육 교류 실태 분석 = 141
 1. 현황 = 143
 2. 서울 광남고등학교 사례 = 157
 3. 전남 목포기계공업고등학교 사례 = 168
 4. 대구대학교 사례 = 176
 5. 분석 및 평가 = 191
Ⅵ. 한국과 일본의 교육 교류ㆍ협력 실태 분석 = 201
 1. 현황 = 203
 2. 서울 광남고등학교 사례 = 222
 3. 서울 잠실고등학교 사례 = 235
 4. 건국대학교 사례 = 246
 5. 시ㆍ도 교육청 사례 = 254
 6. 분석 및 평가 = 264
Ⅶ. 결론 = 275
참고문헌 = 285
부록 = 295


관련분야 신착자료

日本. 文部科学省 (2022)
남강서원 (2022)
Freire, Paulo (2022)
Illich, Ivan D. (2023)
송선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