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면역학 개요 = 3
1. 개념 = 3
2. 역사 = 4
3. 면역 종류 Smallpox immunization = 5
1) 자연면역(Natural or innate immunity) = 5
2) 획득면역(Acquired mmunity) = 7
4. 면역반응 = 9
1) 단계 = 9
2) 면역반응 분류 = 10
3) 항원인지 분자 = 11
4) 면역반응의 특수성 = 12
2장 항원(Antigen) = 17
1. 항원의 정의 = 17
2. 면역원성(Immunogenicity)과 반응원성(Reactivity) = 17
3. Hapten = 18
4. 항원분류 = 18
1) 완전항원(Complete antigen) = 18
2) 불완전항원(Incomplete antigen) = 19
5. 면역원성(항원성)에 영향을 주는 조건 = 20
1) 면역원 조건 = 20
2) 생물학적조건 = 20
3) 항원투여방법 = 21
6. 항원종류 = 21
1) 이종항원(Hetero antigen : Xenogeneic antigen) = 21
2) 동종항원(Iso-antigen : allogeneic antigen) = 21
3) 자가항원(Auto-antigen, Autologous-antigen) = 22
4) 이호성항원(Heterophil antigen) = 22
7. 항원의 형태 = 22
1) T-cell 비의존성항원(T-cell independent, TI) = 22
2) T-cell 의존성항원(T-cell dependent) = 23
8. 항원결정기(epitope) = 23
9. 초항원(super antigen) = 24
10. 면역증강물질(Adjuvants) = 25
3장 항체(Antibody) = 29
1. 항체의 기본구조 = 30
1) 성분 = 30
2) H-chain과 L-chain = 30
3) 영역(domain) = 30
4) 경첩영역(hinge region) = 31
5) 가변영역 구조 = 31
6) 항체분자 절편(fragment) = 32
2. 항체의 항원결정기 = 34
1) Isotype = 34
2) Allotype = 34
3) Idiotype = 35
3. 항체의 종류와 특성 = 37
1) IgG = 37
2) IgM = 38
3) IgA = 39
4) IgD = 42
5) IgE = 42
4. 단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 = 43
1) 개념 = 43
2) 단클론성 항체생성단계 = 44
4장 면역 관여세포 = 49
1. 림프계 세포 = 50
1) T-cell = 50
2) B-cell = 51
3) NK-cell = 52
2. 골수계 세포 = 54
1) Mononuclear phagocytes = 54
2) Granulocytic Cells = 55
3) APC(Antigen-presenting cells) = 58
5장 면역계 기관 = 63
1. 1차림프기관(Central or primary lymphoid organ) = 63
1) 흉선(Thymus) = 63
2) 태생기 간장과 골수(Fetal liver and bone marrow) 파브리시우스 낭(bursa of Fabricius) = 65
2. 말초면역장기(Peripheral, secondary lymphoid organ) = 65
1) 림프절(Lymph-node) = 65
2) 비장(Spleen) = 65
3) 점막연관 림프조직(Mucosal-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 67
6장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발현 = 71
1.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구조 및 재배합 = 71
1) L-chain 유전자 구조 및 재배합 = 71
2) H-chain 유전자 구조 및 재배합 = 72
2. 항체생성이론 및 항체의 다양성 = 77
1) 항체생성이론 = 77
2) 항체다양성의 기전 = 78
7장 보체 = 83
1. 보체계 단백 = 83
2. 보체활성화 경로 = 85
1) 고전 경로(Classical pathway ; CP) = 85
2) 대체경로(Alternative pathway, AP) = 87
3) 렉틴경로(Lectin pathway) = 88
4) 용해경로(Lytic pathway) = 89
3. 보체활성화에 의한 생물학적 활성산물 = 90
1) 키닌(Kinin) = 91
2) 아나필락시스독소(Anaphylatoxin) = 91
3) 화학주성인자(Chemotactic factor) = 91
4) 옵소닌(Opsonin) = 91
5) 기타 = 91
4. 보체활성조절 및 억제인자 = 93
1) C1 효소작용억제인자(C₁inhibitor : C1INH) = 93
2) C₄b결합단백(C₄b binding protein : C₄bBP) = 93
3) C₃bINA(C₃b inactivator : factor I) = 93
4) β₁H-globulin(factor H) = 93
5) S단백(MAC inhibitor) = 93
6) HRF(Homologous restriction factor : $$C_8$$bp) = 93
7) C₃전환효소파괴촉진인자(decay-activating factor, DAF) = 93
5. 보체결핍증 = 94
8장 B-cell 분화, 활성 및 기능 = 97
1. 분화단계 = 97
1) 초기단계 : Pro-B, Pro-B cell = 98
2) 미성숙 B-cell = 98
3) 성숙B-cell, Plasma-cell = 99
2. B-cell 표면 표지물질 = 100
1) B-cell 항원수용체(BCR) : 막상-Ig = 100
2) 막상-Ig 결합 신호전달물질 = 100
3) 항원제공 관련물질 = 100
4) Fc receptor(FcR) ; CD32 = 101
5) B-1(CD$$5_+$$B cell) = 101
3. B-cell 활성화 및 기능 = 101
1) 흉선의존항원(Thymus dependent-Ag, TD-Ag)에 의한 B-cell 활성 = 101
2) 흉선비의존항원(Thymus independent-Ag, TI-Ag)에 의한 B-cell 활성 = 103
9장 T-cell 분화, 활성 및 기능 = 107
1. T-cell 분화 = 107
2. TCR 특성 = 108
1) TCR 유전자 재배열 및 다양성 = 108
2) TCR-CD3 복합체 = 109
3) TCR과 MHC분자 상호작용 = 110
3. T-cell 보조 분자(T-cell accessory molecules) = 110
4. 흉선 선별(thymic selection) = 111
5. T-cell 활성화 및 기능 = 112
1) Th cell(CD$$4_+$$T)의 활성 = 112
2) Cytokine생성에 따른 CD$$4_+$$T세포의 아형 = 113
3) CD$$4_+$$T 기억세포 = 115
4) CD$$8_+$$T 세포의 기능 및 표적세포살해 = 115
5) 미감작 T세포의 활성화경로 = 116
10장 세포성 면역 = 121
1. 세포성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세포 = 121
1) 보조 T-cell(helper T cell : Th) = 121
2) 세포독성 T-cell(Cytotoxic T-lymphocyte, CTL) = 122
3) 활성화 대식세포 = 124
4)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s, NK) = 125
2. ADCC작용(Antibody-dependent cell-mediated cytotoxicity) = 125
3. 싸이토카인(Cytokine) = 126
1) 싸이토카인 특성 = 126
2) 기능에 따른 분류 = 128
11장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 항원처리와 제시 = 135
1. 항원처리과정과 항원제시 = 135
1) MHC-Ⅰclass 발현세포에서의 항원처리 및 제공 = 135
2) MHC-Ⅱclass 발현세포에서의 항원처리 및 제공 = 136
2. 자기 MHC-제한(Self MHC restriction) = 138
12장 주요조직적합성 복합체: MHC = 141
1. HLA 항원분자 구조 = 142
1) HLA-제1항원(class-Ⅰ항원) = 142
2) HLA-제2항원(class-Ⅱ항원) = 143
2. HLA항원의 다양성과 유전 = 144
3. MHC 분자 합성 및 표현 = 147
4. HLA 항원 검사 = 147
1) HLA-class Ⅰ 항원 검사법 = 148
2) HLA-class Ⅱ 항원검사법 = 150
5. HLA의 임상응용 = 151
6. MHC(HLA)분자의 기능 = 152
13장 과민반응 = 155
1. 제1형 과민증(Anaphylactic hypersensitivity) = 156
1) 발생기전 = 158
2) 제1형 과민면역반응 매개인자 = 159
3) 제1형 알러지질환 및 검사 = 160
2. 제2형 과민증(Antibody-dependent cytotoxic hypersensitivity) = 160
1) 작용기전 = 161
2) 제2형 과민증 질환 = 161
3. 제3형 과민증(Immune complex mediated hypersensitivity) = 162
1) 작용기전 = 162
2) 제3형 과민증에 의한 반응 = 164
4. 제4형 과민증 : 지연형 과민증(Delayed-type hypersensitivity) = 164
1) 작용기전 = 164
2) 제4형 과민반응형 = 165
3) 조직장애 및 진단검사 = 166
14장 면역결핍 = 169
1. 1차 면역결핍 = 169
1) 특이면역계 = 169
2) 비특이 면역계 = 173
2. 2차 면역결핍 = 175
1)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 175
2) 노화관련 면역결핍 = 178
3) 종양 및 다른 질환과 관련된 면역결핍 = 178
15장 자가면역 = 181
1. 자가면역질환 기전(병인) = 181
1) 격절항원의 노출(Emergence of a sequestered antigen) = 181
2) 자가항원의 변형(Modification) = 182
3) 교차반응성 항원의 침입(Cross reactive antigen) = 183
4) 다클론성 B-cell 활성화(Polyclonal B-cell activation) = 183
5) 자가반응성 클론의 도피(Escape of auto reacive clone) = 184
6) 억제 T-cell 상실(loss of T-suppressor cell) = 184
2. 자가면역질환 = 185
1) 장기특이적 자가면역질환 = 185
2) 전신성 자가면역질환 = 186
3) 진단과 치료 = 188
3. 관용(tolerance) = 190
1) 관용의 면역적 특성 = 191
2) 관용 유도기전 = 191
16장 감염방어 면역 = 195
1. 국소면역 = 195
2. 바이러스 감염의 면역방어 = 196
1) 세포매개면역반응 = 196
2) 항체매개면역반응 = 198
3) 인터페론 = 199
3. 세균 감염의 면역방어 = 200
1) Phagocytosis 기전 = 200
2) 식세포기능에 대한 세균 저항성 = 205
3) 면역용균현상에 의한 항균작용기전 = 205
4) 세포내 기생성 세균 진균의 방어 = 206
4. 기생충의 방어 = 208
17장 이식면역 및 종양면역 = 213
1. 이식면역 = 213
1) 이식의 종류 = 213
2) 동종이식 거부반응의 종류 = 214
3) 동종이식 거부반응관여 면역계세포와 면역반응 = 215
4) 이식의 법칙 = 216
5) 숙주대 이식편반응(HVG 반응) = 217
6) 이식편대 숙주반응(GVH 반응) = 218
7) 이식편 생착률 = 218
2. 종양면역 = 219
1) 종양관련항원 = 219
2) 종양에 대한 면역반응(기전) = 221
3) 종양 면역요법 = 222
찾아보기 =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