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세계 각국의 노사관계 : 그 변신과 몰락

세계 각국의 노사관계 : 그 변신과 몰락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황조
서명 / 저자사항
세계 각국의 노사관계 : 그 변신과 몰락 / 김황조.
발행사항
서울 :   世經社 ,   1995.  
형태사항
478 p. ; 25 cm.
ISBN
8971270446
서지주기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000 00524namccc200205 k 4500
001 000045523422
005 20100807020053
007 ta
008 090518s1995 ulk b 001a kor
020 ▼a 8971270446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31.8 ▼2 22
090 ▼a 331.8 ▼b 1995a5
100 1 ▼a 김황조 ▼0 AUTH(211009)51028
245 1 0 ▼a 세계 각국의 노사관계 : ▼b 그 변신과 몰락 / ▼d 김황조.
260 ▼a 서울 : ▼b 世經社 , ▼c 1995.
300 ▼a 478 p. ; ▼c 25 cm.
504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3)/ 청구기호 331.8 1995a5 등록번호 11150192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황조(지은이)

<단체교섭론>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서론 = 13

 1. 노사관계론의 생성배경 = 16

 2. 노동문제의 근원 = 17

  1) 과학기술의 발전 = 18

  2) 규모의 거대화 = 19

  3) 효율성 원칙 = 19

  4) 조직의 힘 = 19

  5) 정부역할의 강화 = 20

  6) 정착된 노동력의 생성 = 20

 3. 노사관계 국제비교의 의의 = 21

 4. 노사관계 국제비교의 이론적 배경 = 24

 5. 노사관계 국제비교의 문제점과 유의사항 = 28

제2장 미국의 노사관계 = 35

 1. 역사적 배경 = 39

 2. 사용자의 노사관계 전략 = 44

 3. 노동운동의 조직과 특성 = 47

 4. 정부의 역할 = 51

 5. 단체교섭의 구조, 절차 및 협약의 내용 = 55

  1) 단체교섭의 구조 = 55

  2) 단체교섭의 절차와 전략 = 58

  3) 단체협약의 내용 = 63

 6. 노사분규와 그 조정 = 67

 7. 결론 = 71

제3장 영국의 노사관계 = 79

 1. 역사적 배경 = 83

 2. 사용자협회 = 86

 3. 노동조합 = 88

 4. 단체교섭의 구조, 절차 및 단체협약의 내용과 관리 = 91

  1) 단체교섭의 구조 = 92

  2) 단체교섭의 절차 = 96

  3) 단체협약의 내용 = 98

  4) 단체◆UFFFD◆약의 관리 = 100

 5. 노사분규의 제한과 그 조정 = 101

  1) 노사분규의 제한 = 101

  2) 노사분규의 알선, 조정 및 중재 = 105

 6. 근로자 경영참가 = 106

 7. 결론 = 109

제4장 호주의 노사관계 = 115

 1. 역사적 배경 = 120

 2. 노동조합의 조직구조와 활동 = 123

 3. 사용자조직의 구조와 활동 = 127

 4. 강제중재와 정부의 역할 = 129

 5. 단체교섭과 근로자 경영참가 = 133

 6. 노사분규의 제한과 그 조정 = 136

 7. 결론 = 141

제5장 독일의 노사관계 = 147

 1. 역사적 배경 = 153

 2. 사용자조직 = 156

  1) 산업별 사용자협회 = 156

  2) 공공부문의 사용자조직 = 158

  3) 기업내의 사용자측 교섭담당자 = 159

 3. 노동자조직 =159

  1) 산업별 노동조합 = 159

  2) 기업내의 근로자대표 = 162

 4. 정부의 역할 = 162

 5. 단체교섭과 공동결정제도 = 165

 6. 노사교섭의 절차와 전략 = 172

  1) 노사교섭의 절차 = 172

  2) 노사교섭의 전략 = 174

 7. 노사협약의 내용과 관리 = 178

 8. 노사분규와 그 조정 = 182

 9. 결론 = 186

제6장 스웨덴의 노사관계 = 193

 1. 역사적 배경 = 196

 2. 노동조합의 조직과 운영 = 201

 3. 사용자조직의 구조와 노사관계관리 = 204

 4. 정부의 역할 = 205

 5. 단체교섭 = 207

  1) 단체교섭의 구조 = 207

  2) 단체협약의 내용 = 211

 6. 노사분규와 그 조정 = 215

  1) 노사분규의 성격과 추이 = 215

  2) 쟁의행위의 제한과 조정 = 217

 7. 근로자 경영참가 = 221

  1) 노사간의 협력협약 = 221

  2) 정부의 산업민주화입법 = 223

 8. 결론 = 226

제7장 일본의 노사관계 = 231

 1. 역사적 배경 = 236

 2. 사용자의 노사관계관리 = 240

  1) 사용자조직 = 241

  2) 대기업 사용자의 노사관계관리 = 243

  3) 중소기업 사용자의 노사관계관리 = 246

 3. 노동조합의 조직과 특성 = 247

  1) 노동조합의 조직 = 248

  2) 노동조합의 특성 = 250

 4. 정부의 역할 = 251

 5. 단체교섭 = 255

  1) 단체교섭의 구조 = 255

  2) 단체교섭의 절차와 전략 = 259

  3) 단체협약의 내용과 관리 = 263

 6. 단체교섭과 노사협의회 = 267

 7. 결론 = 270

제8장 소련의 노사관계 = 277

 1. 역사적 배경 = 281

 2. 소련노동조합의 조직과 기능 = 287

 3. 임금결정과 소련노동조합 = 290

 4. 작업장에서의 노사관계 = 295

 5. 노사분규와 그 조정 = 298

 6. 결론 = 303

제9장 유고슬라비아의 노사관계 = 309

 1. 역사적 배경 = 316

 2. 근로자 자주관리의 조직과 기능 = 319

  1) 근로자 평의회 = 320

  2) 운영위원회 = 322

  3) 관리자 = 322

  4) 경제단위와 연합노동자 기본조직 = 323

 3. 기업내 자주관리에 대한 외부기관의 영향력 = 325

  1) 노동조합의 영향력 = 325

  2) 유고 공산주의자연맹의 영향력 = 328

  3) '코뮨'의 영향력 = 329

  4) 상공회의소의 영향력 = 330

 4. 기업내부의 영향력 분포 = 331

 5. 근로자 자주관리와 파업 = 337

 6. 결론 = 341

제10장 한국의 노사관계 = 349

 1. 역사적 배경 = 354

  1) 해방 전의 노사관계 = 354

  2) 해방 후 1950년대의 노사관계 = 355

  3) 1960∼1970년대의 노사관계 = 357

  4) 1980년대의 노사관계 = 360

  5) 1990년대의 노사관계 = 363

 2. 노동조합의 조직과 활동 = 366

  1) 노동조합조직 = 366

  2) 노동조합의 이념 및 주요활동 = 373

 3. 사용자조직과 경영전략 = 377

  1) 사용자조직 = 377

  2) 사용자의 노사관계전략 = 381

 4. 정부의 노사관계정책 = 383

  1) 해방 후 1950년대까지의 노사관계정책 = 383

  2) 1960년대의 노사관계정책 = 384

  3) 1970년대의 노사관계정책 = 385

  4) 1980년대의 노사관계정책 = 386

  5) 1990년대의 노사관계정책 = 390

 5. 단체교섭 = 391

  1) 단체교섭의 구조 = 392

  2) 단체교섭의 절차 = 396

  3) 단체교섭의 기법과 전략 = 397

  4) 단체교섭의 대상항목 = 401

  5) 단체협약의 관리 = 403

 6. 노사분규 및 그 조정 = 405

 7. 노사협의회 = 411

  1) 노사협의회의 정의와 변화과정 = 411

  2) 노사협의회의 현황과 운영실태 = 413

 8. 결론 = 421

제11장 결론 = 427

 1. 노동조합운동 = 429

 2. 사용자의 조직과 정책 = 434

 3. 정부의 역할 = 440

 4. 단체교섭 = 445

 5. 노사분규와 파업 = 452

 6. 근로자 경영참가 = 459

색인 = 469



관련분야 신착자료

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노무사모임. 20주년 기념 출간위원회 (2022)
김의환 (202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