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연구요약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5
3. 연구 방법 및 절차 = 18
가. 연구 방법 = 18
나. 연구의 절차 = 19
4. 연구의 기대 효과 및 한계 = 20
Ⅱ.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방안 = 21
1. 서론 = 21
2. 교사의 교직 수행 지능 및 교수 역량 제고 = 21
가. 교사의 교직수행지능 제고 = 21
나. 교사의 교수역량 제고 = 25
3. 교사양성 및 임용 체제의 개선 = 30
가. 교사양성 및 임용 체제의 현황 = 30
나. 교사양성 및 임용 체제의 문제점 = 38
다. 교사양성 및 임용 체제의 개선방안 = 45
4. 교사평가 체제의 개선 = 46
가. 교사평가 체제의 현황 = 47
나. 교사평가 체제의 문제점 = 52
다. 교사평가 체제의 개선방안 = 54
5. 결론과 제언 = 56
가. 교직수행지능과 교수역량 제고 = 56
나. 교사양성 및 임용 체제 개선 = 57
다. 교사평가 체제 개선 = 58
Ⅲ.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국어과 교사의 교과 및 수업 전문성 신장에 대한 인식과 실태 = 82
1. 연구 목적 = 82
가. 교사 전문성 신장의 필요성 = 82
2. 연구 방법 및 절차 = 84
가. 연구 대상 = 84
나. 연구 도구 = 88
3. 연구 결과 및 논의 = 89
가. 국어과 수업 목표의 이상과 현실 = 89
다. 수업 운영의 장애 요인 = 100
라. 수업 정상화의 필요 요소 = 102
마. 동기 유발 방식의 이상과 실제 = 105
바. 국어 수업 자료 = 113
사. 학생의 수업 참여의 이상과 실제 = 118
아. 교사 수업 평가 = 123
자. 국어 시험 결과의 처리 = 125
차. 학습자에게 중요한 교과 영역 = 126
카. 문법 영역의 중요 지도 순위 = 132
타. 한자 교육 = 133
4. 결론과 제언 = 142
Ⅳ. 공교육 발전을 위한 영어과 교사의 평가 전문성 개선 방안 = 146
1. 서론 = 146
2. 영어 학습 평가 시 고려할 사항 = 147
가. 평가와 교수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 147
나. 수험자의 영어 지식이 아니라 영어 사용능력을 측정해야 한다 = 147
다. 교수ㆍ학습 목표의 전체를 평가해야 한다 = 148
라. 영어의 4가지 기능을 분리해서 측정하기 보다는 통합해서 측정하여야 한다 = 148
마. 다양한 평가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149
3. 공교육에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영어과 평가 방안 = 149
가. 영어과 평가의 종류 = 150
나. 영어과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 152
4. 공교육 발전을 위한 미래의 영어과 평가 방향 = 159
가.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평가 = 159
나. 학습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평가 = 161
다. 학생의 성장과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 = 161
라. 평가 결과 활용 = 162
마. 평가의 윤리성 확보하기 = 164
5. 결론과 제언 = 167
Ⅴ.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과학 수업전문성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과 실태 = 169
1. 서론 = 169
가. 공교육 정상화와 과학 수업 전문성 = 169
나. 과학 수업 전문성과 구성주의 = 170
다. 연구의 목적 = 176
2. 연구 방법 및 절차 = 177
가. 연구 대상 = 177
나. 연구 도구 = 178
다. 연구 결과 분석 = 180
3. 연구 결과 및 논의 = 180
가. 공교육 정상화에 대한 이해 및 인식 = 180
나. 과학수업의 하위 영역별 이상과 현실 = 185
다. 수업 영역 별 이상과 실제 사이의 일치와 불일치의 요인 = 200
4. 결론과 제언 = 204
가. 결론 = 204
나. 제언 = 207
Ⅵ. 역사 교과 탐구 활동과 수능문제의 상관성 강화 방안 = 208
1. 서론 = 208
2. 검인정 '한국근ㆍ현대사' 교과서에서 탐구 활동의 특징과 문제점 = 209
3. 수능 기출 문제의 경향과 문제점 = 219
4. 구미권 교과서에서 탐구 활동과 평가 방법 = 228
가. 역사적 사고력의 단계성에 입각한 평가 방법 = 228
나. 역사학적 탐구방식에 입각한 평가 방법 = 235
다. 교과 탐구 활동과 대학 평가 방식의 연계성 강화 = 238
5. 결론과 제언 - 탐구활동 방식의 조정과 수능 문제 출제 방식의 개선 = 241
Ⅶ. 요약 및 제언 = 244
1. 요약 = 244
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방안 = 244
나.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국어과 교사의 교과 및 수업 전문성 신장에 대한 인식과 실태 = 245
다. 공교육 발전을 위한 영어과 교사의 평가 전문성 개선 방안 = 248
라.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과학 수업전문성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과 실태 = 249
마. 역사 교과 탐구 활동과 수능문제의 상관성 강화 방안 = 251
2. 제언 = 252
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방안 = 252
나.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국어과 교사의 교과 및 수업 전문성 신장에 대한 인식과 실태 = 253
다. 공교육 발전을 위한 영어과 교사의 평가 전문성 개선 방안 = 255
라.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과학 수업전문성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과 실태 = 256
마. 역사 교과 탐구 활동과 수능문제의 상관성 강화 방안 = 256
참고 문헌 = 258
[부록: 설문지] =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