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판권기
머리말 / 김성열
목차
I. 제1회 연구포럼 : 미래사회와 한국교육 / 정강정 5
I. 학교교육의 환류체계 7
II. 미래사회 8
1. 지식 8
2. 사람 9
3. 사회 9
III. 미래를 향한 교육 11
1. 인간이냐, 인적자원이냐? 11
2. 교육목표의 우선 순위 12
3.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 13
IV. 총체적 교육을 위한 리더십 14
1. 리더십의 주체 14
2. 리더십의 요체 : 신뢰도 14
3. Leadership Theory 15
4. 이상적인 Leadership의 유형 16
5. 교육자의 Leadership 요소 17
〈소결론〉 18
〈토론〉 18
〈결론〉(내용없음) 18
II. 제2회 연구포럼 : 국정철학 공유・확산 교육 / 최현정 19
MB..? 21
건국〉산업화〉민주화 22
국가비전 22
실천규범 23
국정운영목표 23
신발전체제 24
5대 국정지표 24
이명박 정부의 국정철학 키워드 25
III. 제3회 연구포럼 : 당신의 잠자는 창조뇌를 깨워라 / 임선하 27
강사소개 29
워밍업 30
전문가가 되는 방법 30
전문성의 품계 31
창의적 생각 놀이 31
나는 창의적인가? 32
도대체 창의성은 무엇인가? 32
창의성의 ''4P 접근법'' 33
창의성이란? 33
임선하의 DESK 이론 34
창조 사회 독해 코드 35
교육,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36
코끼리는 알고 있을까? 37
자기 책임의 원칙 37
자기 책임의 원칙 연습 38
정답 속에 갇힌 아이들 정답 교육에 당한 사람들 38
해답교육 연습하기 39
해답 교육의 효과 40
유기적 세계관은 창의성의 기반 40
창의는 수 많은 자극들의 통합을 통해 얻어진다 41
창의성 교육에서 익혀야 할 것들 41
창의성 자극의 다양성 42
마무리 정리 : 성속변증법 48
IV. 제4회 연구포럼 : 뉴질랜드 초・중등 교육정책 및 전망 / Frances Kelly 49
Kia ora!(Annyeong Haseyo!) 51
New Zealand''s School System - Key Aspects 56
Teaching & Learning - Ensuring quality in New Zealand schools 58
Assessment - Assessing performance in New Zealand education 61
NCEA - Qualifications in the New Zealand system 64
New Zealand Curriculum(NZC) - a framework for the 21st(이미지참조) century knowledge economy 70
Future-focus - Current policy initiatives 75
V. 제5회 연구포럼 : 우리나라 선진화를 위한 KICE의 역할 / 임해규 79
1. 교육과정 81
2. 교육평가 81
3. 대학 입시 체제 82
4. 대학수학능력시험 82
5. 마무리 82
VI. 제6회 연구포럼 83
연구윤리의 최근 동향 : 표절을 중심으로 / 이인재 85
1. 연구윤리란 무엇인가? 86
1-1./1) 연구윤리의 개념 86
1-2/1-1. 연구윤리의 범위 86
1-3. 연구부정행위의 발생 원인 87
1-4. 연구활동의 스팩트럼 87
2. 국내외 연구윤리의 최근 동향 89
3. 표절의 개념과 범위 93
4/3. 표절의 유형 : 타인의 저작물 활용에서의 표절 94
4-1/3-1. 자신의 저작물 활용에서의 표절 95
4-2/3-2. 표절에 포함되지 않는 유형 96
5/4. 표절의 판정 기준 96
5-1/4-1. 표절의 판정 기준(안) 97
6/5. 표절 예방을 위한 연구자의 자세 97
7/5. 표절 예방을 위한 올바른 인용 98
참고 자료 100
청렴국가 실현을 위한 공직자의 자세 / 정기창 102
I. 왜 청렴인가? 103
1. 청렴은 행복의 필요조건 103
2. 부패는 국가를 망하게 한다 107
II. 우리나라 청렴도의 현주소 111
III. 청렴도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 113
1. 기본방향 113
2. 추천전략 114
3. 국민권익위원회의 역할(PEOPLE) 114
IV. 공직자의 자세 115
1. 공직자의 상징성과 "축소(절제)된 사생활의 원칙" 115
2. 청렴의 개념 확대 추세 115
3. 공직자 행동강령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