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지
머리말
연구요약
목차
Ⅰ.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2. 연구 내용 15
가. 성취기준의 개념과 국가 교육과정 내용 검토 15
나. 성취기준의 활용 실태 16
다. 성취기준 중심의 교육과정 내용 구성(안) 예시 16
3. 연구 방법 16
가. 문헌 분석 16
나. 전문가 협의회 16
다. 설문 조사 17
라. 워크숍 17
Ⅱ. 선행 연구 분석 18
1. 성취기준형 교육과정 개혁 운동의 배경 19
2. 우리나라에서의 성취기준 23
Ⅲ. 국가 교육과정의 교과별 성취기준 검토 26
1. 국어과 27
가. 우리나라 교육과정 27
나. 외국 교육과정 34
다. 시사점 52
2. 도덕과 55
가. 우리나라 교육과정 55
나. 외국 교육과정 60
다. 시사점 70
3. 수학과 72
가. 우리나라 교육과정 72
나. 외국 교육과정 75
다. 시사점 92
Ⅳ. 성취기준의 활용 실태 및 활용 방안 94
1. 성취기준의 활용 실태 분석 96
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96
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자료 103
다. 종합 및 시사점 110
2. 성취기준의 활용 방안 탐색 111
가. 성취기준 활용 방안에 대한 선행 연구 분석 112
나. 교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활용 방안 116
다.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자료 활용 방안 120
라. 설문 조사 분석 결과 종합 및 시사점 127
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개발(예시) 129
1. 국어과 130
2. 도덕과 135
3. 수학과 140
가. 초등학교 3학년 수학 성취기준의 예 140
나. 중학교 1학년 수학 성취기준의 예 141
Ⅵ. 결론 및 정책 제언 144
1. 교육과정 문서의 성취기준 상세화 145
2. 교육과정 문서의 성취기준과 평가를 위한 성취기준의 일원화 146
3. 성취기준 활용 방안에 대한 교사 연수 및 보급 147
4. 핵심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과 성취기준의 연계성 강화 147
참고문헌 148
ABSTRACT 151
부록 154
부록 1. 교육과정에서의 성취기준에 관한 설문조사 (초등 교사용) 155
부록 2. 교육과정에서의 성취기준에 관한 설문조사 (중ㆍ고등 교사용) 162
판권기 2
[표 Ⅲ-1-1] 제6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28
[표 Ⅲ-1-2] 제7차 교육과정에 제시한 국어과의 교육 목표 30
[표 Ⅲ-1-3] 제7차 교육과정 국어과 내용 체계 30
[표 Ⅲ-1-4] 국어과 듣기 영역의 7학년 내용 32
[표 Ⅲ-1-5]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듣기 내용 체계 33
[표 Ⅲ-1-6] 내용 기준 4. 언어 37
[표 Ⅲ-1-7] 성취 목표 2 : 읽기 39
[표 Ⅲ-1-8] 2학년 말에 있어서의 학습 성과들 52
[표 Ⅲ-2-1] 핀란드의 윤리과 교육과정 내용 예시: 인간 관계와 도덕적 성장 64
[표 Ⅲ-2-2] 중국 품덕과 생활 교과 교육과정 내용 예시 68
[표 Ⅲ-2-3] 싱가포르 중등학교 도덕과 내용 체계 사례 70
[표 Ⅲ-3-1] 제6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정수와 유리수'' 내용 72
[표 Ⅲ-3-2]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7-가 단계 ''정수와 유리수'' 내용 73
[표 Ⅲ-3-3]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정수와 유리수'' 내용 74
[표 Ⅲ-3-4] 미국 미시간 주의 수학 내용 기준과 학습 설계 기준 : 수감각과 기수법 76
[표 Ⅲ-3-5] key stage 1 수학 학습 프로그램의 수 영역 학습 주제 78
[표 Ⅲ-3-6] key stage 1 수학 학습 프로그램의 수 영역 학습 내용 (일부) 79
[표 Ⅲ-3-7] key stage 3의 2007년 수학 학습 프로그램 체제 80
[표 Ⅲ-3-8] key stage 3의 2007년도 수학 학습 프로그램의 ''범위와 내용'' 중 ''수와 대수'' 영역 80
[표 Ⅲ-3-9] 독일 바덴비르템 주의 8학년 수학과 교육과정 ''수 영역'' 내용 81
[표 Ⅲ-3-10] 핀란드 초 1, 2 수학과 교육과정 중 ''수와 계산'' 영역 관련 내용 82
[표 Ⅲ-3-11] 호주 빅토리아 주 수학과 5수준 교육과정 내용 84
[표 Ⅲ-3-12] 일본의 중학교 1학년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 86
[표 Ⅲ-3-13] 중국 수학과 교육과정 제3학단의 ''유리수'' 관련 내용 87
[표 Ⅲ-3-14] 싱가포르 수학과 교육과정 전문 (前文) 88
[표 Ⅲ-3-15] 싱가포르 초등학교 1-4학년 수학과 교육과정 91
[표 Ⅳ-1-1] 설문 응답 교사들의 지역 형태, 근무 경력, 학교급 분포 95
[표 Ⅳ-1-2] 국가 수준의 교과 교육과정 문서 내용 항목의 성취 기준형 진술로 구성된 사실의 인지 및 활용도 97
[표 Ⅳ-1-3] 교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 활용 용도 98
[표 Ⅳ-1-4] 수업에서의 성취 기준 활용 정도 100
[표 Ⅳ-1-5] 평가시 성취 기준 활용 정도 101
[표 Ⅳ-1-6] 성취 기준형으로 진술시 도움 정도 102
[표 Ⅳ-1-7]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 자료에 대한 인지 및 활용 정도 104
[표 Ⅳ-1-8]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 자료의 활용 용도 105
[표 Ⅳ-1-9]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 자료의 수업에서의 활용 정도 106
[표 Ⅳ-1-10]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 자료의 활용 정도 107
[표 Ⅳ-1-11]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 자료가 도움이 되는 이유 109
[표 Ⅳ-2-1] 교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을 활용하지 않는 이유 117
[표 Ⅳ-2-2] 성취 기준형으로 진술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 사항 119
[표 Ⅳ-2-3]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 자료의 미활용 이유 121
[표 Ⅳ-2-4]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 자료 활용 방안 122
[표 Ⅳ-2-5] 교육과정 문서와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자료의 통합 여부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