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 2
2. 연구의 목적 = 3
3. 연구범위와 방법 = 4
1) 연구범위 = 4
2) 연구방법 = 4
4. 연구의 기대효과 = 6
Ⅱ 고위공무원단제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고위공무원단제도의 도입배경과 목적 = 8
1) 외국 고위공무원단제도의 도입과 이론적 배경 = 8
2) 우리나라 고위공무원단 제도의 이론적 쟁점 = 21
2. 고위공무원단제도에 대한 선행연구 = 24
1) 국내 선행연구 = 24
2) 해외 선행연구 = 38
3. 연구의 분석틀 = 48
1) 전채 연구분석의 체계도 = 48
2) 평가모형 = 49
Ⅲ 고위공무원단제도의 현황 및 실태 분석
1. 고위공무원단제도의 도입배경과 추진경과 = 56
1) 도입배경 = 56
2) 추진경과 = 61
2. 고위공무원단제도의 내용 = 65
1) 관리체계 = 65
2) 임용 = 66
3) 역량평가와 능력발전 = 67
4) 보상 및 성과관리 = 69
5) 신분관리 = 70
6) 보수 = 70
3. 고위공무원단제도 관련 법규의 검토 = 71
1) 주요 법령 검토 = 71
2) 고위공무원단 인사규정의 변천과 주요 내용 = 75
4. 고위공무원단의 인력 현황 = 77
1) 보직별 현황 = 78
2) 직종별 현황 = 79
3) 입직종류별 현황 = 79
4) 연령별 현황 = 80
5) 학력별 현황 = 82
6) 출신지역별 현황 = 82
7) 부처별 인원 현황 = 84
5. 현황분석을 통해 나타난 고위공무원단의 문제점 = 85
1) 성과향상 측면의 문제점 = 85
2) 책임강화 측면의 문제점 = 86
3) 인재관리와 경쟁강화 측면의 문제점 = 87
4) 역량강화 측면의 문제점 = 90
Ⅳ 주요 외국의 고위공무원단 운영평가 사례분석
1. 미국 = 94
1) 관리체계 = 94
2) 임용 = 98
3) 역량평가와 능력발전 = 102
4) 보상과 성과관리 = 115
5) 신분관리 = 112
2. 캐나다 = 123
1) 관리체계 = 123
2) 임용 = 128
3) 역량평가와 능력발전 = 136
4) 보상과 성과관리 = 142
5) 신분관리 = 151
3. 호주 = 154
1) 관리체계 = 154
2) 임용 = 155
3) 역량평가와 능력발전 = 157
4) 보상과 성과관리 = 160
5) 신분관리 = 162
4. 영국 = 163
1) 관리체계 = 163
2) 임용 = 164
3) 역량평가와 능력발전 = 166
4) 보상과 성과관리 = 167
5) 신분관리 = 170
5. 소결론: BSC관점에 따른 시사점 = 170
1) 미국 = 170
2) 캐나다 = 179
3) 호주 = 184
4) 영국 = 186
Ⅴ 고위공무원단 평가
1. 조사설계 = 190
1) 자료수집 = 190
2) 분석방법 = 192
2. 제도평가 = 193
1) 효율성관점 = 193
2) 고객관점 = 200
3) 내부프로세스관점 = 209
4) 학습과 성장관점 = 217
5) 소결론 = 227
3. 집단별 차이 검증 = 229
1) 고위공무원,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일반국민 간 차이분석 = 229
2) 고위공무원, 고위공무원단 후보자 간 차이분석 = 231
3) 소결론 = 236
4. 고위공무원단 제도 실증모형의 평가 = 237
1) 신뢰성검증 = 237
2) 연구모형의 타당성 검증 = 243
3) 모형의 분석 = 244
4) 분석결과의 함의 = 247
5. AHP 분석 결과 = 248
1) 1단계 분석 결과 = 249
2) 2단계 분석 결과 = 250
3) 3단계 분석 결과 = 252
Ⅵ 결론 : 고위공무원단제도 개선방안 제언
1. 효율성관점 = 258
1) 목표 = 258
2) 개선안 = 260
2. 고객관점 = 267
1) 목표 = 267
2) 개선안 = 269
3. 내부프로세스관점 = 275
1) 목표 = 275
2) 개선안 = 276
4. 학습과 성장관점 = 281
1) 목표 = 281
2) 개선안 = 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