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대중가요사 (5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영미, 1961-
서명 / 저자사항
한국대중가요사 / 이영미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06   (2009)  
형태사항
407 p. : 악보 ; 23 cm
총서사항
민속원 ;344
ISBN
8956383685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648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522419
005 20120720201047
007 ta
008 061002s2006 ulkg 001c kor
020 ▼a 8956383685 ▼g 93670
035 ▼a (KERIS)BIB000010668921
040 ▼a 248003 ▼d 211009
082 0 4 ▼a 781.6309519 ▼2 22
085 ▼a 781.630953 ▼2 DDCK
090 ▼a 781.630953 ▼b 2006z1
100 1 ▼a 이영미, ▼d 1961- ▼0 AUTH(211009)103671
245 1 0 ▼a 한국대중가요사 / ▼d 이영미
260 ▼a 서울 : ▼b 민속원, ▼c 2006 ▼g (2009)
300 ▼a 407 p. : ▼b 악보 ; ▼c 23 cm
440 0 0 ▼a 민속원 ; ▼v 344
500 ▼a 색인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1.630953 2006z1 등록번호 1115367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영미(지은이)

한국 대중예술 연구자.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현대문학 비평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나 1984년부터 줄곧 대중가요, 민중가요, 마당극을 비롯한 연극과 뮤지컬 등 ‘말문학’에 대한 평론과 연구를 주 활동 영역으로 삼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책임연구원,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대우교수 등으로 일했고, 연구논문은 물론 신문과 잡지, 방송을 통해 친근한 평론을 많이 해왔다. 지은 책으로 《한국대중예술사, 신파성으로 읽다》, 《대중예술본색》, 《한국대중가요사》,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동백아가씨는 어디로 갔을까》, 《광화문 연가》, 《세시봉, 서태지와 트로트를 부르다》 등이 있고, 함께 지은 책으로는 《김내성 연구》, 《정비석 연구》,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초판 머리말 = 9
Ⅰ 한국대중가요사를 시작하며 = 17
 1. 서지 연구 비켜가기 = 19
 2. 한죽대중가요의 일반적 특성 = 24
 3. 작품, 양식, 세계, 수용자 = 29
  1) 작품과 수용자 = 31
  2) 수용자와 세계와 작품 = 35
  3) 작품과 양식 = 37
  4) 수용자와 세계와 양식 = 41
  5) 작가와 작가의식 = 43
Ⅱ 유행창가와 대중가요의 시작 = 47
 1. 전통의 단절과 창가의 등장 = 49
  1) 자생적 근대성의 불충분한 발전과 단절 = 49
  2) 친외세적 개화 지향의 창가 = 52
  3) 유행창가의 특성 = 55
 2. 대중가요의 탄생 = 62
  1) 유행창가의 음반화와 대중가요의 탄생 = 62
  2) 형성기의 대중가요 작품의 특성 = 64
Ⅲ 일제시대, 트로트와 신민요의 양립 = 71
 1. 트로트의 문법과 세계 인식 = 73
  1) 트로트 양식의 정립 = 73
  2) 일제시대 트로트 가요의 세계 인식과 정서 = 81
 2. 신민요와 트로트의 쌍두마차가 의미하는 것 = 95
  1) 신민요 양식의 정립과 트로트와의 교섭 = 95
  2) 신민요의 세계 인식과 태도 = 100
  3. 1940년대의 변화와 친일가요 = 105
Ⅳ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 트로트의 재생산과 새로운 양식의 혼돈 = 119
 1. 제재의 변화와 트로트의 재생산 = 121
  1) 트로트의 유지와 신민요의 쇠퇴 = 121
  2) 전쟁ㆍ분단의 슬픔과 트로트의 재생산 = 128
  3) 미세한 변화의 조짐들 = 136
 2. 미국문화의 유입과 대중가요의 변화 = 140
  1) 해방 전 미국 대중음악의 유입 = 140
  2) 1950년대 미국 대중음악 유입의 의미 = 142
  3) 과시적 이국취미(異國趣味)와 미국 대중음악의 흔적들 = 150
  4) 대중의 욕망과 도시의 향락 = 159
Ⅴ 1960년대, 이지리스닝의 정착과 이미자의 엘레지 = 165
 1. 이지리스닝의 정착 = 167
  1) 1960년대 이지리스닝의 대중음악사적 성격 = 167
  2) 1960년대 이지리스닝의 음악적 특성 = 173
  3) 도시의 즐거움과 서민의 희망 = 190
  4) 이지리스닝의 절제된 비극성 = 199
 2. 트로트의 변화와 유지 = 205
  1) 트로트 안정감과 느슨함 = 205
  2) 근대화의 낙오자와 찢긴 혈육의 아픔 = 209
Ⅵ 1970년대, 청년문화의 빛과 어둠 = 219
 1. 청년문화 포크송 = 221
  1) 포크송 대두의 사회적 맥락 = 221
  2) 서양음악 정착의 새로운 진전 = 230
  3) 자유와 순수와 관조 = 239
 2. 1970년대 전반기, 록과 이지리스닝, 그리고 트로트 = 264
  1) 부드러운 록과 신중현 = 264
  2) 이지리스닝과 트로트의 유지 = 271
 3. 대마초 사건과 1970년대 후반의 변화 = 277
  1) 대마초 사건과 포크의 좌절, 그리고 변질 = 277
  2) 트로트의 부활과 록 가수들의 투항 = 288
  3) 대학가요제와 록의 제2세대 캠퍼스 밴드 = 290
Ⅶ 1980년대, 조용필과 발라드의 시대 = 295
 1. 수퍼스타 조용필과 록의 새로운 전성기 = 297
  1) 대중가요계 천하통일, 조용필 = 297
  2) 주류의 다른 가수들 = 305
  3) 록 대중화 시대의 인간형과 세계 인식 = 309
 2. 트로트, 댄스뮤직, 발라드의 정립(鼎立)과 발라드의 융성 = 316
  1) 후반기의 주류 팝발라드 = 316
  2) 댄스뮤직과 트로트 = 321
 3. 언더그라운드의 본격화와 민중가요의 대중가요권 진출 = 326
  1) 언더그라운드 = 326
  2) 민중가요의 대중가요권 진출 = 334
Ⅷ 1990년대, 서태지와 포스트(post)서태지 = 339
 1. 1990년대 신세대 대중가요의 새로운 판도 = 341
  1) 1990년대의 화두 신세대 = 341
  2) 댄스뮤직과 언더그라운드의 구도 속의 서태지 = 345
 2. 1990년대 대중가요의 세계 인식과 태도 = 351
  1) 고립되고 인간의 자아 찾기 = 351
  2) 찢겨지고 뒤죽박죽인 세상 = 361
  3) 트로트와 포크의 운명 = 373
 3. 서태지의 은퇴와 포스트서태지 = 375
참고문헌 = 381
찾아보기 = 38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