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통합학급 및 특수학급 편성ㆍ운영의 배경 = 7
1. 통합교육의 개념 = 7
2. 통합교육의 법적 근거 = 8
3. 통합학급 및 특수학급의 성격과 특성 = 15
4.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실태 분석 및 통합교육의 효율화를 위한 논의 = 18
Ⅱ. 통합학급 및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실제 = 26
1. ''통합교육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교육과정 편성 절차 = 26
2.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기준 = 30
3. 초등학교의 통합학급 및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실제 = 39
가. 교과 = 39
나. 재량 활동 = 49
다. 특별 활동 = 50
4. 중등학교의 통합학급 및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실제 = 51
가. 교과 = 51
나. 재량 활동 = 59
다. 특별 활동 = 60
Ⅲ. 통합학급 및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위한 실천 과제 = 62
1.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위한 실천 과제 = 62
2.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위한 실천 과제의 적용 사례 = 70
3. 통합학급 및 특수학급의 편성ㆍ운영을 위한 행정 지원 = 89
4. 통합교육 실천을 위한 행정 지원 = 91
Ⅳ. 통합학급 및 특수학급 운영 효율화를 위한 보완 조치 = 92
1. 장애 이해 교육 = 92
2. 부모 교육 = 95
3. 진로ㆍ직업 교육 지원 = 96
【참고 문헌】 = 98
【부록】
Ⅰ.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조정 사례 = 101
Ⅱ. 특별 활동(계발 활동) 교육과정 조정 사례 = 104
Ⅲ. 협동 학습 = 107
Ⅳ. 또래 교수와 멘토링 = 117
Ⅴ. 특수학급의 교수-학습 모형 =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