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58c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45521042 | |
005 | 20121201162912 | |
007 | ta | |
008 | 000201s1998 ulka b 000c kor | |
020 | ▼a 8932210926 ▼g 93320 | |
020 | 1 | ▼a 8932210721 (세트) |
035 | ▼a (KERIS)BIB000007203133 | |
040 | ▼a 241027 ▼d 211009 | |
041 | 0 | ▼a kor ▼b eng |
082 | 0 4 | ▼a 332.673095193 ▼2 22 |
085 | ▼a 332.67309539 ▼2 DDCK | |
090 | ▼a 332.67309539 ▼b 1998 | |
100 | 1 | ▼a 조명철 ▼g 趙明哲 |
245 | 1 0 | ▼a 북한의 외국인투자유치 정책과 투자환경 / ▼d 趙明哲, ▼e 洪翼票 |
246 | 1 1 | ▼a North Korea's investment environment and policy for inducing foreign investment |
260 | ▼a 서울 : ▼b 對外經濟政策硏究院, ▼c 1998 | |
300 | ▼a 238 p. : ▼b 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政策硏究 = ▼a Policy analysis ; ▼v 98-20 |
504 | ▼a 참고문헌: p. 232-234 | |
700 | 1 | ▼a 홍익표 ▼g 洪翼票, ▼e 저 |
830 | 0 | ▼a 정책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v 98-20 |
900 | 1 0 | ▼a Cho, Myoung-Chul, ▼e 저 |
900 | 1 0 | ▼a Hong, Ihk-Pyo, ▼e 저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2/ | Call Number 332.67309539 1998 | Accession No. 1115180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2/ | Call Number 332.67309539 1998 | Accession No. 11152064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序論 = 19 Ⅱ. 北韓의 外國投資 誘致政策 및 現況 = 21 1. 외국인 투자 유치정책의 변화 = 21 가. 원조 및 차관도입기(1948∼84) = 21 나. 「합영법」시기(1984∼91) = 24 다. '自由經濟貿易地帶' 설치와 외국인투자유치 확대기(1992∼현재) = 27 2. 관련기구 및 법적 ·제도적 정비 = 35 가. 대외경제 관련기구 = 35 나. 법적 ·제도적 정비 = 39 다. 외국인투자법제의 주요 내용 = 45 3. 외국인 투자 유치현황 = 62 가. 외국인투자 유치실적 및 특징 = 62 나. 주요국별 대북투자 현황 = 65 다. 나진 ·선봉 자유경제무역지대 = 77 Ⅲ. 北韓의 外國人投資環境 = 89 1. 최근 북한의 경제현황 및 정책대응 = 89 가. 최근 북한경제 현황 = 89 나. 북한의 정책대응과 전망 = 95 2. 외자기업의 경영환경 = 100 가. 노동력 및 임금수준 = 100 나. 지리적 이점 및 조세감면 혜택 = 102 다. 사회간접자본의 취약 = 104 라. 경제특구 = 106 Ⅳ. 北韓의 地域別 投資環境과 評價 = 112 1. 지역별 투자여건 = 112 가. 평양·남포지역 = 112 나. 함흥지역 = 129 다. 김책·단천지역 = 136 라. 원산지역 = 140 마. 신의주지역 = 147 바. 강계 ·만포지역 = 154 사. 안주 ·박천지역 = 158 아. 해주 ·개성지역 = 162 2. 지역별 투자환경에 대한 평가 = 168 가. 지역별 투자우선 순위 = 168 나. 지역별 투자평가 = 170 Ⅴ. 北韓의 外國人投資誘致의 問題點과 展望 = 176 1. 외국인투자유치의 문제점 = 176 가. 임금수준 결정에서의 문제점 = 176 나. 노동관리상의 문제점 = 183 다. 물류비용의 문제점 = 186 라. 현장 접근의 문제 = 191 마. 자금 지원의 문제 = 195 바. 기업윤리의식의 전망 = 201 2. 외국인투자유치의 전망 = 206 가. 직접투자를 증대시키기 위한 전제 = 206 나. 북한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의 효과 = 207 다. 외국인직접투자의 전망 = 209 Ⅵ. 韓國記業의 對北投資 活性化 方案 = 220 1. 대북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과제 = 220 2. 개별기업들의 대북진출 방안 = 223 Ⅶ. 要約 및 結論 = 229 參考文獻 = 232 Executive Summary =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