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48namccc200289 k 4500 | |
001 | 000045520402 | |
005 | 20100807013416 | |
007 | ta | |
008 | 090504s2008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57042656 ▼g 9335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82 | 0 4 | ▼a 352 ▼2 22 |
090 | ▼a 352 ▼b 1993j ▼c 2008-5 | |
100 | 1 | ▼a 윤수재 |
245 | 1 0 | ▼a 성과관리제도에 대한 해외사례 비교분석 : ▼b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 ▼d 연구책임자: 윤수재, ▼e 이광희, ▼e 홍재환. |
260 | ▼a 서울 : ▼b 韓國行政硏究院 , ▼c 2008. | |
300 | ▼a 338 p. ; ▼c 25 cm. | |
440 | 0 0 | ▼a KIPA 연구보고서 ; ▼v 2008-05 |
500 | ▼a 연구참여자: 오경아 | |
504 | ▼a 참고문헌: p. 296-306 | |
700 | 1 | ▼a 이광희 |
700 | 1 | ▼a 홍재환 |
700 | 1 | ▼a 오경아 |
710 | ▼a 한국행정연구원 | |
910 | ▼a KIPA | |
910 | ▼a (The)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52 1993j 2008-5 | Accession No. 15127281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1) 연구 필요성 = 2 2) 연구목적 = 4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6 1) 연구범위 = 6 2) 연구방법 = 8 3) 연구의 흐름도 = 9 Ⅱ 성과관리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선행연구 검토 = 13 1) 해외사례연구 = 13 2) 시사점 = 19 2. 성과관리와 평가 = 21 1) 성과관리 = 22 2) 평가 = 28 3) 성과관리와 평가의 관계 = 32 3.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 38 1) 평가모형 도출을 위한 주요 판단준거 = 38 2) 평가모형의 유형 = 42 4. 분석 틀 = 52 1) 평가로부터 성과관리로의 변화 = 52 2) 성과관리 분석기준 = 53 Ⅲ 영국의 성과관리 1. 역사적 맥락 = 64 1) 1960년대∼1990년대 = 64 2) 2000년대 이후 = 66 2. 성과관리 제도 현황 = 67 1) 성과관리 체계 = 67 2) 성과관리 제도 운영 = 74 3. 성과관리 모형 분석 = 93 1) 효과성 모형 = 93 2) 경제성 모형 = 116 3) 책임성 모형 = 129 4) 소결 = 139 Ⅳ 캐나다의 성과관리 1. 역사적 맥락 = 142 1) 1960년대∼1990년대 = 142 2) 2000년대 이후 = 144 2. 성과관리 제도 현황 = 151 1) 체계 = 151 2) 성과관리 제도의 운영 = 157 3. 성과관리 제도 분석 = 170 1) 효과성 모형 = 170 2) 경제성 모형 = 189 3) 책임성 모형 = 199 4) 소결 = 206 Ⅴ 뉴질랜드의 성과관리 1. 역사적 맥락 = 210 1) 1980년대∼1990년대 = 210 2) 2000년대 이후 = 212 2. 성과관리 제도 현황 = 214 1) 체계 = 214 2) 성과관리 제도 운영 = 219 3. 성과관리 제도 분석 = 233 1) 효과성 모형 = 233 2) 경제성 모형 = 245 3) 책임성 모형 = 251 4) 소결 = 256 Ⅵ 사례분석 결과 종합 및 비교 1. 모형별 분석 결과 비교 = 262 1) 효과성 모형 = 262 2) 경제성 모형 = 271 3) 책임성 모형 = 277 2. 해외사례 비교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 = 281 1) 효과성 모형 차원 = 281 2) 경제성 모형 차원 = 284 3) 책임성 모형 차원 = 286 Ⅶ 결론 1. 연구내용 요약 = 290 2. 정책적 제언 =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