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법은 사회의 브레이크인가, 엔진인가

법은 사회의 브레이크인가, 엔진인가 (5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Pierrat, Emmanuel 이충민, 역
서명 / 저자사항
법은 사회의 브레이크인가, 엔진인가 / 에마뉘엘 피라 ; 이충민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모티브북,   2009  
형태사항
399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거꾸로 읽는 법학
원표제
Antimanuel de droit
ISBN
9788991195349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Justice, Administration of -- Philosophy Law -- Philosophy Critical legal studies
000 00909namcc2200313 c 4500
001 000045520224
005 20120718111954
007 ta
008 090504s2009 ulka 001c kor
020 ▼a 9788991195349 ▼g 0336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340.1 ▼2 22
085 ▼a 340.1 ▼2 DDCK
090 ▼a 340.1 ▼b 2009z1
100 1 ▼a Pierrat, Emmanuel ▼0 AUTH(211009)51555
245 1 0 ▼a 법은 사회의 브레이크인가, 엔진인가 / ▼d 에마뉘엘 피라 ; ▼e 이충민 옮김
246 1 9 ▼a Antimanuel de droit
260 ▼a 서울 : ▼b 모티브북, ▼c 2009
300 ▼a 399 p. : ▼b 삽화 ; ▼c 24 cm
440 0 0 ▼a 거꾸로 읽는 법학
500 ▼a 색인수록
650 0 ▼a Justice, Administration of ▼x Philosophy
650 0 ▼a Law ▼x Philosophy
650 0 ▼a Critical legal studies
700 1 ▼a 이충민, ▼e▼0 AUTH(211009)22724
900 1 0 ▼a 피라, 에마뉘엘, ▼e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9z1 등록번호 1115361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9z1 등록번호 1115373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0.1 2009z1 등록번호 1211835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1 2009z1 등록번호 1512747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9z1 등록번호 1115361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9z1 등록번호 1115373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40.1 2009z1 등록번호 1211835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0.1 2009z1 등록번호 1512747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깨어 있는 자들이여, 법에 엔진을 달아라! 브레이크를 건 법에게 엔진을 달아주자는 책이 있다.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법대 교수인 에마뉘엘 피라의 법철학 입문서 <법은 사회의 브레이크인가, 엔진인가>는 엄숙하고, 모순투성이인 법과 그 체계를 이야기함으로써 법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고민할 것을 독려한다.

우리를 둘러싼 법은 일상을 지배하고, 사상과 의식 등 지배의 영역을 끊임없이 확대.재생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법은 끊임없이 살아 움직이는 유기체이며 엄숙주의 따위에 물들어 시대의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은 법이 아니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의문을 던진다. 법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 것일까? 법은 정말 만인 앞에 평등할까? 법은 완전무결할까?

"법은 깨어 있는 자들은 보호하지만, 바보들과 잠자는 사람들은 보호하지 않는다."라는 라틴어 경구가 있다. 이 경구는 어떤 법이든 나를 보호해 줄 것이라는 맹목적인 믿음을 가진 사람에게 꿈 깨라고, 법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지 않고 잠자는 사람을 위한 법은 없다고 말한다.

평범한 국민이 인터넷에서 몇 마디만 해도 법의 심판을 받고 인간의 기본권조차 침해당하는 국가에 살고 있는 한 우리를 둘러싼 법에 대한 고민은 끝없이 이어질 것이고, 법에 대한 끝없는 고민만이 우리를 법으로부터 보호받게 해 줄 것이다. 기본권은 보호받아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법 앞에 평등한 자신을 위한 책인 <법은 사회의 브레이크인가, 엔진인가>를 권한다.

누가 그들에게 브레이크를 걸었는가? 법대로 하라!

인터넷 경제논객 미네르바 구속, 용산 철거민 참사, ‘PD수첩 제작진’ 체포.압수수색 시도……. 암울한 경제위기 상황 속에서 숨 가쁘게 달려온 2009년의 3분의 1을 장식한 사건들이다. 이 사건들의 공통점을 한 단어로 정리하자면 ‘인권침해’가 아닐까 한다.
여기서 잠깐, 대한민국 헌법 제10조를 보자.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 이는 한 국가의 최고 법규인 헌법에 명시된 기본권 보장에 관한 조항이다. 사족을 좀 달자면, 기본권은 ‘기본적 인권’을 말하는 것이고, 인권은 ‘인간으로서 당연히 가지는 권리’를 말한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2009년의 3분의 1을 장식한 사건들은 ‘인간으로서 당연히 가지는 권리를 침해당한 공통점이 있다’고 정리할 수 있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기본권의 하나인 ‘표현의 자유’를 누려야 마땅한 이들에게 국가의 법이 내세운 죄목은 허위 사실 유포, 명예 훼손, 업무 방해였다. 국가는 가진 자의 밥그릇을 보호하기 위해, 모두가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어보고자 노력했던 자에게 ‘법’이라는 이름의 브레이크를 건 것이다. 이쯤이면 한 국가의 국민으로서 한 가지 의문이 생길 것이다. 기본권도 보장해주지 않는 국가에서 법이란 무엇이며, 법으로부터 보호받을 방법은 없는 것일까?

깨어 있는 자들이여, 법에 엔진을 달아라!

여기 브레이크를 건 법에게 엔진을 달아주자는 책이 있다.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법대 교수인 에마뉘엘 피라의 법철학 입문서 <법은 사회의 브레이크인가, 엔진인가>는 엄숙하고, 모순투성이인 법과 그 체계를 이야기함으로써 법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고민할 것을 독려한다. 우리를 둘러싼 법은 일상을 지배하고, 사상과 의식 등 지배의 영역을 끊임없이 확대.재생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법은 끊임없이 살아 움직이는 유기체이며 엄숙주의 따위에 물들어 시대의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은 법이 아니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의문을 던진다. 법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 것일까? 법은 정말 만인 앞에 평등할까? 법은 완전무결할까?
“법은 깨어 있는 자들은 보호하지만, 바보들과 잠자는 사람들은 보호하지 않는다.”라는 라틴어 경구가 있다. 이 경구는 어떤 법이든 나를 보호해 줄 것이라는 맹목적인 믿음을 가진 사람에게 꿈 깨라고, 법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지 않고 잠자는 사람을 위한 법은 없다고 말한다. 평범한 국민이 인터넷에서 몇 마디만 해도 법의 심판을 받고 인간의 기본권조차 침해당하는 국가에 살고 있는 한 우리를 둘러싼 법에 대한 고민은 끝없이 이어질 것이고, 법에 대한 끝없는 고민만이 우리를 법으로부터 보호받게 해 줄 것이다. 기본권은 보호받아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법 앞에 평등한 자신을 위한 책인 <법은 사회의 브레이크인가, 엔진인가>를 권한다.

이 책의 구성
법이 가지는 무게 때문에 법을 마주하기 두렵다면 에마뉘엘 피라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보자. 알면 알수록 놀라운 사법 사건들을 통해 보는 쉽고 흥미로운 법 이야기는 저자의 재치 있는 글 솜씨를 만나 법의 무거운 가면을 벗긴다. 자상한 피라는 그래도 법이 무겁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 모두가 알만한 이미지를 본문 구석구석에 삽입하고, ‘읽어보기’ 코너를 마련해 각 장에 관련된 고전부터 판결문까지 각 장의 이해를 돕는 글들을 실어놓았다.

1부 법률 이론들에서는 세속주의 공화국인 프랑스 법 이론의 역사를 간단히 살펴보며, 과거의 이론들은 보이지 않게 숨어 있을 뿐 현재의 법률과 법정에 현존하고 있다고 말한다.
2부 의식儀式은 어려운 법률 용어, 변호사, 판사 등 엄숙주의에 물든 법의 문제점을 이야기하며 문학이나 영화를 통해 법을 이야기함으로써 독자들이 스스로 법의 무거운 가면을 벗기고 한층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도록 이끈다.
3부 과오와 실책에서는 넘쳐나는 법 조항들과 일관성 없는 법이 가져온 과오와 실책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이와 관련된 실제 사건들을 이야기한다. 이는 법이 가진 엄숙성을 두려워하지 말고 법 앞에 깨어 있어야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고 속삭이는 듯하다.
4부 전선戰線의 이동은 인종 차별, 검열, 시민불복종, 낙태 등 현재 사회 논쟁의 중심에 있는 법리적 이슈들을 다룸으로써 법의 사회적 의미와 역할을 재검토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에마뉘엘 피라(지은이)

프랑스 파리 8대학에서 법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수이자 변호사. 파리 변호사협회 회원으로 지적 재산권 문제를 전문으로 하는 변호사 사무실을 운영 중이기도 한 에마뉘엘 피라는 사회적 논란을 불러일으킨 미셸 우엘벡 사건, 베글 동성 결혼 사건 등의 변호를 맡은 바 있으며, 법에 관한 여러 저술을 집필했다. 또한 다섯 권의 소설을 펴낸 작가이자, 도색문학 전문가로 과거 검열의 금지를 받았던 도색문학 작품의 재간에 힘쓰는 등 문단과의 인연도 깊다.

이충민(옮긴이)

서강대학교에서 불문학 학사 · 석사를 받았고, 파리8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으며, 서강대학교에서 프루스트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강대학교 연구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질 들뢰즈의 『프루스트와 기호들』(공역), 란다 사브리의 『담화의 놀이들』, 미셸 드 세르토의 『루됭의 마귀들림』, 다이 시지에의 『공자의 공중곡예』 등을 한국어로 번역했고, 프루스트 연구서 『통일성과 파편성?프루스트와 문학장르』를 썼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이 책을 읽기 위한 규칙이 존재하는가? = 9
1부 법률 이론들 - 누구나 자기 식대로 사물을 본다 = 25
 1장 법과 종교 = 26
 2장 자연법에서 국제법으로 = 43
 3장 실증주의에서 실정법주의로 = 57
 4장 법은 민중재판과 완전히 무관한가? = 69
2부 의식(儀式) - 무대 위의 법 = 85
 1장 법의 상징물들 = 86
 2장 법의 언어 = 97
 3장 웅변술 = 107
 4장 연극성 = 117
 5장 변호사 = 128
 6장 판사 = 136
 7장 문학, 영화, 법 = 149
3부 과오와 실책 - 법의 작동 = 163
 1장 입법 인플레이션 = 164
 2장 일관성 없는 입법 = 172
 3장 삼권분립 원칙의 훼손 = 183
 4장 소송만능주의 = 195
 5장 법의 미국화 = 206
 6장 느려터진 사법 절차 = 217
 7장 편파성 = 228
 8장 사법적 오류 = 239
 9장 증거 = 252
 10장 정신병자와 법 = 267
4부 전선(戰線)의 이동 - 법은 사회의 브레이크인가, 엔진인가? = 275
 1장 법과 미디어 = 276
 2장 시민불복종 = 286
 3장 나의 몸과 타자의 몸 = 302
 4장 성(性)과 법 = 318
 5장 소수자, 인종 차별, 기억 = 330
 6장 검열과 그 새로운 가면들 = 341
 7장 문화와 법 = 353
 8장 명예에서 존엄성으로 = 366
 9장 처벌 = 376
 10장 사형 = 387
법을 예술 장르로 바라본다면 = 395
찾아보기 = 398

관련분야 신착자료

Dreier, Horst (2023)
김삼웅 (2023)
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 (2022)
Marmor, Andrei (2022)
박주영 (2023)
양천수 (2022)
손동유 (2022)